$\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척지역 특산물인 곰치, 풍덕구이, 곰취, 곤드레의 향토식품 소재화를 위한 영양적 특성 연구
Nutritional Properties, as Food Resources for Menu Development, of Cubed Snailfish, Shaggy Sea Raven, and Two Kinds of Wild Vegetables that are Staple Products in Samcheok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5 no.6, 2009년, pp.690 - 702  

서정희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종옥 (서정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미현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재철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양희완 (강원랜드 조리팀) ,  이병용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영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선주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혜련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삼척지역에서 생산되는 농 수특산물인 곰치, 풍덕구이, 곰취, 곤드레의 화학적 영양학적 조성을 평가하고 이를 메뉴에 적용함으로써, 이들 4종의 식품소재 및 이를 활용한 메뉴의 식품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겨울철에 수집된 삼척산 곰치와 풍덕구이는 일반성분 조성에 있어 유기물에 해당하는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다소 낮은 경향이 관찰되었고, 이는 계절적 인자, 즉 산란기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삼척산 건조 곤드레는 100 g 당 조단백질 24.2 g, 칼슘 1356.0 mg, 철 33.9 mg이 함유되어 있었고, 이는 전국 규모로 수집되어 평가된 식품성분표 상의 수치보다 각각 4.3배, 15배, 13배나 높은 함량이었다. 또한, 필수 미량원소 중 하나인 아연은 삼척산 곤드레에서 정선산보다 6.2배나 높은 함량인 26.2 mg/100 g이 함유되어 있었다. 건조 곤드레와 더불어 곰취 나물의 경우에도 칼슘의 함량이 높았는데, 이는 삼척 지역이 석회석 생산지라 토양 내 칼슘 함량이 다른 지역보다 높다는 사실과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아미노산 조성 평가에 있어서는, 4종의 식품 소재 모두 풍미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이 전체 아미노산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함으로써, 메뉴의 단맛과 감칠맛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곰치와 풍덕구이는 n-3 PUFA와 n-6 PUFA로 구성된 고도불포화지방산(PUFA)에 속하는 지방산들이 전체 지방산 중 각각 30.6%와 31.6%를 차지하였고, 특히 곰치는 n-3 PUFA의 함량이 n-6 PUFA보다 2배 이상 높게 함유되어 있어, 지방산 조성과 연관된 영양 지표인 n-6/n-3 비율을 기준으로 한 식품의 가치 평가에서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라 할 수 있다. 앞서 평가한 이들 식품소재의 영양학적 가치가 메뉴로 적용 가능한지를 탐색한 두 번째 단계의 연구에서는, 기존 상용 메뉴의 주재료를 삼척지역 농·수 특산물로 대체하여 음식을 제조한 후 영양학적 측면에서 이들 메뉴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칼슘과 아연의 함량이 높았던 삼척산 곤드레를 주재료로한 곤드레 해장국은 단백질, 칼슘, 철분, 아연의 함량이 1일 권장섭취량(RI) 대비 31.5%, 49.3%, 100.0%, 77.8%로 각각 평가됨으로써, 단백질과 무기질의 함량이 매우 높은 메뉴로 확인되어 한국인의 건강식으로 개발될만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었다. 또한, 곰치어죽, 풍덕구이 조림, 곰취 산채 찜만두 1인분은 낮은 열량 임에도 불구하고 단백질과 철분의 제공량이 1일 권장섭취량의 30%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빈혈 발생이 높은 성장기 어린이와 가임기 여성, 임산부 등을 대상으로 하는 영양성이 강조된 차별화된 메뉴 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paris tessellatus(cubed snailfish), Hemitripterus villosus(shaggy sea raven), Ligularia fischeri, and Cirsiu setidens, which are staple products in Samcheok, were studied as food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a representative local menu. Thus, their nutrition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an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곰취와 곤드레는 영양적 측면뿐 아니라, 생리활성과 기능성에 관한 체계적 연구도 비교적 많이 진행되어 온 대표적 산채류이다. 본 연구에서는 (i) 곰취와 곤드레가 현재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고, (ii) 일반적으로 채소류를 구성하는 영양성분들은 그 채소류가 생산되는 토양의 무기질 조성에 직접적 영향을 받으며, (iii) 석회석 생산지인 강원도 삼척 지역은 토양 내 칼슘 함량이 매우 높은 점 등을 고려하여, 삼척산 산채류가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산채류에 비해 영양적 차이가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역적 영향과 강하게 상관되어 있는 산채류와 어류로 구성된 4종의 식품소재인 곰취, 곤드레, 곰치, 풍덕구이의 화학적 특성 및 영양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둘째, 이들 특산물이 가지고 있는 식품·영양학적 가치가 차별화된 향토음식 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역적 영향과 강하게 상관되어 있는 산채류와 어류로 구성된 4종의 식품소재인 곰취, 곤드레, 곰치, 풍덕구이의 화학적 특성 및 영양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둘째, 이들 특산물이 가지고 있는 식품·영양학적 가치가 차별화된 향토음식 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그 과정을 통해, 생산량에 비해 활용 범위가 제한적인 식품소재를 향토음식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많은 후속 연구들에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 영역에서는 삼척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수특산물인 곰치, 풍덕구이, 곰취, 곤드레의 일반성분 및 주요 무기질을 직접 분석하고, 식품성분표 상에서 제공하는 수치들, 즉 전국 규모에서 수집된 동종시료들의 영양성분 함량과 비교함으로써, 삼척지역 특산물의 식품학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Table 3, 4).
  • 본 연구 영역에서는, 앞서 평가한 지역 특화 식품소재의 영양적 가치를 메뉴로 적용하여 영양이 강화된 지역 특화 메뉴 개발이 가능한지를 탐색하였다. 우선 실험적으로, 기존의 메뉴 중 그 주재료를 곰치, 풍덕구이, 곰취, 곤드레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17종의 메뉴를 검토하였고, 대체 후 기호성을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전복죽, 대구지리, 시래기해장국, 가자미찜, 야채만두를 영양 평가 대상 메뉴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삼척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수특산물인 곰치, 풍덕구이, 곰취, 곤드레의 화학적·영양학적 조성을 평가하고 이를 메뉴에 적용함으로써, 이들 4종의 식품소재 및 이를 활용한 메뉴의 식품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삼척지역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는 대표적 농·수특산물인 2종의 산채류, 곰취(Ligularia fischeri)와 곤드레(Cirsiu setidens), 그리고 2종의 어류, 곰치(Liparis tessellatus)와 풍덕구이(Hemitripterus villosus)를 지역을 대표하는 향토음식으로 개발하기 위해, 식품소재로서의 삼척산 농·수 특산물의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반영한 경쟁력 있는 메뉴 개발이 가능한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 풍덕구이(Hemitripterus villosus)는 쏨뱅이목 삼세기과에 속하는 생선으로, 머리 부분은 뭉툭하지만 강한 가시가 여러 개 있고, 돌기가 있으며, 울퉁불퉁하고, 피부 전체에 미세한 가시를 가진 작은 돌기가 덮여 있어, 실제 가식부 함량이 높지 않아 매운탕이나 속풀이 국을 제외하면 어획량에 비해 이용도가 매우 낮은 어류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곰치와 풍덕구이의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영양성이 강조된 차별화된 메뉴 개발이 가능한지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이들 어류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많은 역학조사와 임상연구에서 고도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중 docosahexaenoic acid(DHA)와 eicosapentaenoic acid(EPA) 를 포함한 n-3 PUFA가 심혈관계 질환에 대해 치료 및 보호효과가 있으며, n-3 PUFA의 특이적 급원 식품인 어패류 섭취는 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었다(De Moreno JEA 등 1976, Dyerberg J와 Bang HO 1995, Leaf A와 Weber PC 1988, Simopoulos AP 1989).
  • 위에서 평가된 4종의 지역 농·수 특산물의 영양학적 가치가 메뉴로 적용 가능한지를 탐색한 본 단락의 연구결과는 Table 7과 같다. 즉, 기존 메뉴의 주재료를 곰치, 풍덕구이, 곰취, 곤드레로 동일한 양으로 대체 첨가할 경우, 영양적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는 메뉴가 개발될 수 있는지에 대해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1) Unit is % of total fatty acids(TFA), expect P/S and n-6/n-3 which are dimensionless. SFA, MUFA, and PUFA are abbreviations for saturated fatty acids,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respectivel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특화음식 개발이 단순히 메뉴개발의 단계에만 그칠 경우 나타나는 한계점은? 이러한 노력은 지역 생산물을 활용한 단순한 메뉴 개발 과정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지역특화음식 개발이 단순히 메뉴개발의 단계에만 그칠 경우, 웰빙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현대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고, 지역특화 음식으로 홍보하는 데에도 한계점을 지닐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역소재를 활용하여 메뉴 개발을 수행 하기 이전 단계로,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의 욕구를 고려 하여 식품소재 및 개발 가능한 메뉴의 화학적 영양적 평가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Kang IJ 등 1997, Cho SD와 Kim GH 2005, Lee SH 등 2006, Chang SK 등 2008).
동물 실험 및 분자 생물학적 수준에서 곰취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 대표적인 것은? 현재 강원도에서 많이 자생하고 있는 대표적 산채류인 곰취(Ligularia fischeri)는 넓은 잎을 특징으로 하는 취의일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나물, 생채, 쌈의 형태로 섭취되고 있으며(Cho SD와 Kim GH 2005), chamomile, jacobine, ameleme 등의 약리성분과 polyphenol 화합물과 flavonoids가 확인됨에 따라(Cho SD와 Kim GH 2005, Chang SK 등 2008) 동물 실험 및 분자 생물학적 수준에서 곰취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폐암, 경부암, 간암세포를 대상으로 한 곰취의 세포독성 효과(Ham SS 등 1998b), 항돌연변이성 및 유전독성 억제효과(Ham SS 등 1998a, Jeong SW 등 1998), 곰취의 높은 폴리페놀 함량으로부터 기인되었을 항산화 효과(Jeong SW 등 1998, Park JA와 Kim MK 1999, Kwon YJ 등 2002, Kim EY 등 2004, Chang SK 등 2008) 및 혈압상승을 주도하는 효소인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의 저해 효과(Choi GP 등 2002) 등은 이미 과학적으로 충분히 입증되고 있다. 영양적인 측면에서도 곰취는 특히 비타민 A, B1, B2, B3, C와 β-carotene 등이 고루 함유되어 있고, 이 중 비타민 A(780 RE/100 g), βcarotene(4681 µg/100 g), 칼슘(241 mg/100 g), 섬유소(1.
향토음식의 소재로 많이 개발 활용되고 있는 식품은? 향토음식의 소재로 많이 개발 활용되고 있는 식품으로는 산채류가 많으며, 이는 산채류가 (i) 우리나라 전역에 천연적으로 자생하고 (ii) 생산량이 많으며 (iii) 산채류 특유의 산뜻한 풍미를 주고 (iv) 소비자들에게는 무공해 식품, 친환경 식품, 건강 증진 식품으로 인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의 연구결과들은, 산채류가 일반 야채류들보다 비타민이나 무기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소재로 보고하고 있고, 또한 항돌연변이 억제, 암세포 성장억제, 항산화작용 등 약리적 효능까지 제시하고 있어, 신 메뉴나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산채류가 주목 받고 있다(Kang IJ 등 1997, Ham SS 등 1998a, Ham SS 등 1998b, Jeong SW 등 1998, Park JA와 Kim MK 1999, Choi GP 등 2002, Kwon YJ 등 2002, Kim EY 등 2004, Chang SK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ckman RG, Eaton CA. 1966. Some commercial Atlantic herring oils: fatty acid composition. J Fish Res Board Can. 23(7):991-1006 

  2. Ahn IY, Surh J, Park YG, Kwon H, Choi KS, Kang SH, Choi HJ, Kim KW, Chung H. 2003. Growth and seasonal energetics of the Antarctic bivalve Laternula elliptica from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Mar Ecol Prog Ser 257:99-110 

  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777-784 

  4. Chang SK, Kim JH, Oh HS. 2008.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old buckwheat noodles using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and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Food Culture 23(4):479-488 

  5. Cho SD, Kim GH. 2005. Food product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Ligularia fischeri for food resources. Korean J Food Preserv 12(1):43-47 

  6. Choi GP, Chung BH, Lee DI, Lee HY, Lee JH, Kim JD. 2002. Screening of inhibitory activitie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form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5):399-402 

  7. De Moreno JEA, Moreno VJ, Brenner RR. 1976. Lipid metabolism of the yellow clam, Mesodesma mactroides: 1. Composition of the lipids. Lipids 11(4):334-340 

  8. Dyerberg J, Bang HO. 1995. Haemostatic function and platelet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Eskimos. Nutrition 11(5):475-475 

  9. Ham SS, Lee SY, Oh DH, Jung SW, Kim SH, Chung CK, Kang IJ. 1998a. Antimutagenic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4):745-750 

  10. Ham SS, Lee SY, Oh DH, Jung SW, Kim SH, Jeong CK, Kang IJ. 1998b. Cytotoxicity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5):987-992 

  11. Jeong BY, Choi BD, Moon SK, Lee JS. 1998. Fatty acid composition of 72 species of Korean fish. J Fish Sci Tech 1(1):129-146 

  12. Jeong SW, Kim EJ, Hwangbo HJ, Ham SS. 1998. Effects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on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5):1214-1221 

  13. Kang IJ, Ham SS, Chung CK, Lee SY, Oh DH, Choi KP, Do JJ. 1997. Development of fermented soysauce using Cirsium setidens Nakai and Comfr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6):1152-1158 

  14.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333-338 

  15. Kluytmans JH, Boot JH, Oudejans RCHM, Zandee DI. 1985. Fatty acid synthesis in relation to gametogenesis in the mussel Mytilus edulis L. Comp Biochem Physiol 81(4):959-963 

  16.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Report o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intake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p 387-447 

  17. Kwon YJ, Kim KH, Kim HK. 2002.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9(3):332-337 

  18. Layne KS, Goh YK, Jumpsen JA, Ryan EA, Chow P, Clandinin MT. 1996. Normal subjects consuming physiological levels of 18:3(n-3) and 20:5(n-3) from flaxseed or fish oils have characteristics differences in plasma lipid and lipoprotein fatty acid levels. J Nutr 126(9):2130-2140 

  19. Leaf A, Weber PC. 1988. Cardiovascular effects of n-3 fatty acids. New Engl J Med 318(9):549-557 

  20. Lee SH, Jin YS, Heo SI, Shim TH, Sa JH, Choi DS, Wang MH. 2006.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setidens Nakai. Korean J Food Sci Technol 38(4):571-576 

  21. Lepage G, Roy CC. 1986. Direct transesterification of all classes of lipids in a one-step reaction. J Lipid Res 27(1):114-120 

  22. Lindsay RC 2008. Flavors. In: Food Chemistry. Damodaran S, Parkin KL, Fennema OR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p 639-687 

  23.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DA. 2007. Food Composition Table. Seoul, Korea. pp 100-325 

  24. Park JA, Kim MK. 1999. Effect of Korean native plant diet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cadmium detoxification in rats. Korean J Nutr 32(4):353-368 

  25. Simopoulos AP. 1989. Summary of NATO advanced research workshop on dietary $\omega$ -3 and $\omega$ -6 fatty acids: Biological effects and nutritional essentiality. J Nutr 119(4):521-528 

  2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Korea. pp 199-311 

  27. Surh J, Kwon H. 2003. Fatty acid content and composition of various Korean shellfish. Food Sci Biotechnol 12(1):83-87 

  28. Surh J, Ryu JS, Kwon H. 2003. Seasonal variations of fatty acid compositions in various Korean shellfish. J Agric Food Chem 51(6):1617-1622 

  29. Surh J, Lee HJ, Kwon H. 2009. Regional difference in fatty acid content of Korean shellfish. Food Sci Biotechnol 18(2):367-373 

  30. Wang YJ, Miller LA, Perren M, Addis PB. 1990. Omega-3 fatty acids in Lake Superior fish. J Food Sci 55(1):71-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