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및 $H_2O_2$로 유도된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ABTS radical 소거 및 FRAP방법을 이용하여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H_2O_2$로 유도된 PC12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72-99% 정도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보였고, LDH release assay 결과 0.5 mg/mL 농도에서 47% 정도의 LDH 방출량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neutral red uptake assay 결과 모든 농도에서 vitmain C에 비해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력과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의 뛰어난 보호효과는 알츠하이머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were evalu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total phenolics content of the extract were as follows: 64.88% nitrogen free extract, 10.56% crude fiber, 10.22% moisture, 8.33% crude pro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유도되는 신경세포의 사멸을 보호할 수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H2O2와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 의해 손상된 PC12 신경 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신경세포의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lipid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이는 산화적인 스트레스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의 신경세포 보호효과와 신경세포막 손상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다음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H2O2로 유도된 신경세포막 손상에 대한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신경세포 중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질 성분의 LDH 방출량을 측정한 결과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의보감에서 오미자 열매는 무슨 치료에 사용되었는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는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식물로 6-7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9-10월에 성숙하여 심홍색을 띠며(9), 한국, 일본, 만주, 중국 등 동북아시아가 주산지로 알려져 있는 낙엽덩굴성나무이다(10). 예로부터 오미자 열매는 자양, 강장, 지사, 진해제, 구갈증과 주독을 푸는 해독제로도 각광받았으며, 동의보감에서는 폐와 신을 보하고 허로(虛勞), 구갈(嘔渴), 번열(煩熱), 해소(解消) 치료에 사용하였다(11). 주요 성분으로는 diphenylcyclen계의 lignan으로서 그 함유량이 18.
오미자의 주요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예로부터 오미자 열매는 자양, 강장, 지사, 진해제, 구갈증과 주독을 푸는 해독제로도 각광받았으며, 동의보감에서는 폐와 신을 보하고 허로(虛勞), 구갈(嘔渴), 번열(煩熱), 해소(解消) 치료에 사용하였다(11). 주요 성분으로는 diphenylcyclen계의 lignan으로서 그 함유량이 18.1-19.2% 정도에 달하고, schizandrin, deoxyschizandrin, γ-schizandrin, schizandrol, pseudo-γ-schizandrin, schizandrin C, schizandrol B(gomisin A), gomisin B, gomisin C, gomisin D 뿐만 아니라(12), citric acid, citral, β-sitosterol, 비타민 C, E 및 정유성분 등도 함유되어 있다(13). 지금까지 오미자에 대한 연구로는 중추신경계의 반사기능인 항진작용을 비롯해서 혈당 강하작용, 손상된 간기능의 복구효과, 항균, 항궤양, 항암, 항종양, nitric oxide 생성 억제 및 lignan화합물 분리 등의 많은 연구들이 있으나(11) 오미자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 보효효과와 같은 퇴행성 뇌신경질환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오미자는 무엇인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는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식물로 6-7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9-10월에 성숙하여 심홍색을 띠며(9), 한국, 일본, 만주, 중국 등 동북아시아가 주산지로 알려져 있는 낙엽덩굴성나무이다(10). 예로부터 오미자 열매는 자양, 강장, 지사, 진해제, 구갈증과 주독을 푸는 해독제로도 각광받았으며, 동의보감에서는 폐와 신을 보하고 허로(虛勞), 구갈(嘔渴), 번열(煩熱), 해소(解消) 치료에 사용하였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oon MY, Kim JY, Hwang JH, Cha MR, Lee MR, Jo KJ, Park HR. Protective effect of methanolic extracts from Dendrobium nobile Lindle. on H2O2-induced neurotoxicity in PC12 cel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63-67 (2007) 

  2. Sagara Y, Dargusch R, Chambers D, Davis J, Schubert D, Mater P. Cellular mechanisms of resistance to chronic oxidative stress. Free Radical Bio. Med. 24: 1375-1389 (1998) 

  3. Lee YS.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f Angelica dahurica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4: 78-86 (2007) 

  4. Kim DJ, Seong KS, Kim DW, Ko SR, Chang CC. Antioxidative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s on paraquat-induced oxidative stress. J. Ginseng Res. 28: 5-10 (2004) 

  5. Ames BN. Dietary carcinogens and anticarcinogens. Oxygen radicals and degenerative diseases. Science 221: 1256-1264 (1983) 

  6. Ames BN, Shigenaga MK, Hagen TM. Oxidant,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 of aging. P. Natl. Acad. Sci. USA 90: 7915-7922 (1993) 

  7. Heo HJ, Choi SJ, Choi SG, Shin DH, Lee JM, Lee CY. Effects of banana, orange, and apple on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toxicity in PC12 Cells. J. Food Sci. 73: 28-32 (2008) 

  8. Yoon MY, Lee BB, Kim JY, Kim YS, Park EJ, Lee SC, Park HR.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Psoralea corylifolia Linne Extracts. Korean J. Pharmacogn. 38: 84-89 (2007) 

  9. Jeong HS, Joo NM. Optimization of rheological properties for processing of omija-pyu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 Sci. 19: 429-438 (2003) 

  10. Jeon TW, Park JH, Shin MG, Kim KH, Byun MW.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biological activities and color changes of extracts of Schizandrae fruc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7-142 (2003) 

  11. Kwon J, Lee SJ, So JN, Oh CH.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fructus on the immunoregulatory action and apoptosis of L1210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84-388 (2001) 

  12. Ikeya Y, Kanatani H, Hakozaki M, Yaguchi H. Nitsuhashi insolation and structive determination of two new lignans, gomisin S, and gomisin T. Chem. Pharm. Bull. 36: 3974-3981 (1988) 

  13. Yang HC, Lee JM, Song KB. Anthocyanins in cultured omija and its stabil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25: 35-43 (1982) 

  14.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l. 13th ed. Method 920.39, 934.01, 942.05, 954.01, and 974.06,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15. Kim DO, Jeong SW, Lee CY.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phytochemical from various cultivars of plums. Food Chem. 81: 321-326 (2003) 

  16. Benzie IF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17. Fellegrin N, Ke R, Yang M, Rice-Evans C.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1998) 

  18. Heo HJ, Cho HY, Hong BS, Kim HK, Kim EK, Kim BK, Shin, DH. Protective effect of 4',5-dihydroxy-3',6,7-trimethoxyflavone from Artemisia asiatica against A $\beta$ -induced oxidative stress in PC12 cells. Amyloid 8: 194-201 (2001) 

  19. Kim JS, Choi SY.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ensis Baillon). Korean J. Food Nutr. 21: 35-42 (2008) 

  20. Jeong CH, Choi SG, Heo HJ.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evaluation of functional activities of Sara borealis leaf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86-592 (2008) 

  21. Zhao B. Natural antioxidants protect neurons in Alzheimer's disease and Parkinson's disease. Neurochem. Res. 34: 630-638 (2009) 

  22. Shon HJ, Bock JY, Bail SO, Kim YH. Determination of lignan compouds in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capillary-GC (FID). J. Korean Agric. Chem. Soc. 32: 350-356 (1989) 

  23. Jeong JH, Lim HB.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Elsholtzia splendens. Anal. Sci. Technol. 18: 500-510 (2005) 

  24. Heo HJ, Kim DO, Choi SJ, Shin DH, Lee CY. Apple phenolics protect in vitro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nal cell death. J. Food Sci. 69: 357-360 (2004) 

  25. Heo HJ, Lee CY. Strawberry and its anthocyanins reduce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J. Agr. Food Chem. 53: 1984-1989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