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지역 대학생의 변비유병률, 배변습관 및 영양소섭취
Prevalence of Constipation, Bowel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Area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2 no.8, 2009년, pp.702 - 713  

유정순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진정희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장경자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학생들의 변비유병률과 배변습관을 알아보고 영양소섭취 상태를 알아보고자 인천지역 대학교에서 건강관련 교양강의를 듣는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남자 166명, 여자 187명) 설문조사와 신체계측 및 3일간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학생 23.5세, 여학생 20.9세이었으며, 자택에서 거주하는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자취, 기숙사, 하숙이나 친척집에 거주하는 순이었다. 남학생의 63.9%, 여학생의 63.1%는 21~40만원의 용돈을 받고 있었고 지난 2개월 동안 남학생의 45.2%, 여학생의 47.1%는 체중을 유지하고 있었다. 로마기준 II를 이용하여 조사한 기능성 변비유병률은 남녀 각각 12.7%, 28.9%, 자의적 변비 유병률은 남녀 각각 12.0%, 36.9%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일반사항에 따른 기능성 변비와 자의적 변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자의적 변비 중 남학생의 35.0%, 여학생의 44.9%만이 기능성 변비의 진단기준에 부합하였고, 본인은 변비가 아니라고 응답했지만 기능성 변비의 진단기준에 부합한 경우는 11.4%이었다. 본인이 변비라고 인식하는 경우 남학생의 94.7%, 여학생의 91.0%는 의료기관을 방문한 경험이 없었고 남학생은 모두 변비약이나 건강기능식품을 이용하고 있지 않았으며 여학생은 변비 완화를 위해 10.3%가 변비약, 11.8%가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하고 있었다. 배변습관 조사 결과 남학생의 75.3%, 여학생의 40.1%는 주 5회 이상 배변을 하고 있었고, 변의 양은 2 cup 이상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남학생은 93.4%, 여학생은 75.9%로 남학생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남녀 모두 대상자의 70%정도가 배변 후 상쾌하다고 하였으며 남학생의 49.4%, 여학생의 24.6%만이 규칙적으로 배변을 하였다. 신체계측치와 영양소 섭취량 분석 결과 기능성 변비와 자의적 변비 유무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단백질의 경우 성별이나 변비 유무와 상관없이 RI에서 UL 사이로 섭취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EAR 보다 낮게 섭취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비타민 C, Vit $B_2$, 엽산, 칼슘, 아연의 섭취는 EAR 이하로 섭취하는 비율이 모두 50%를 넘어 영양소의 섭취량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엽산은 남녀 모두 95% 이상이 EAR 이하로 섭취하고 있어 섭취 부족이 심각하였다. 변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이섬유 섭취량은 1,000 kcal당 섭취량으로 환산에 남학생은 8.5 g, 여학생은 8.9 g으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식이섬유 충분섭취량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여학생의 경우 기능성 변비의 유병률은 28.9%, 자의적 변비의 유병률은 36.9%로 조사되었는데, 본인은 변비가 아니라고 응답했지만 기능성 변비의 진단기준에 부합한 경우도 13.6%이며 본인이 변비라고 응답한 경우의 대다수는 의료기관 방문이나 약물, 기능성 식품 섭취 같은 노력도 하지 않고 있어 만성적 변비로 인한 질병의 위험이 우려된다. 또한 식이섬유 섭취를 비롯한 각종 영양소들도 균형 있는 섭취를 하고 있지 않아 이후 다가올 임신기와 수유기의 영양문제로 이어질 것이므로 올바른 영양섭취를 비롯한 적절한 영양교육이 활성화 되어야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bowel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353 college students (166 males and 187 females) aged 19 to 29 years in Incheon area. The subjects were asked about bowel habits and dietary intake using qu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능성 변비유병률과 자의적 변비유병률 및 배변습관을 살펴보고 영양소 섭취량을 성별과 기능성 변비 유무에 따라 비교해 보았다.
  • 이에 인천지역 대학생의 기능성, 자의적 변비유병률과 배변습관, 변비 특성을 조사하고 성별과 변비유무에 따른 영양소섭취 상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 자의적 변비군 (self-reported constipation)의 진단은 기능성 변비의 진단 기준에 부합하지 않더라도 본인은 변비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자의적 변비군에 한하여 변비를 경험한 기간, 변비 증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한 경험과 변비약이나 건강보조식품의 이용 여부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들의 올바른 식생활과 생활습관의 개선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생 시기는 고등학생 시기의 규칙적 생활에서 벗어나 생활이 자유롭고 복잡해지며 불규칙한 식사, 결식, 편식, 인스턴트 식품과 패스트푸드의 섭취 증가 등 바람직하지 못한 식생활을 하고 있다.1,2) 이로 인해 일부 대학생은 비만3)이나 각종 위장관 계통의 질병도 갖고 있어4) 여생의 건강을 위해 올바른 식생활과 생활습관의 개선이 요구된다.
변비 유병의 원인은 무엇인가? 또한, 진단 기준에는 부합되지 않더라도 본인스스로 변비라고 생각하는 자의적 변비8)는 변비에 대한 연구에서 항상 거론되는데 서양의 연구5)와 국내의 연구6) 모두 자의적 변비유병률은 객관적인 로마기준에 의한 기능성 변비유병률에 비해 높았다. 변비를 일으키는 원인은 여러 전신 질환, 약물 복용 등 매우 다양하고,9) 인종, 성, 운동이나 스트레스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10) 아침 결식, 식사 횟수, 증가된 외식 빈도, 물이나 식이섬유 섭취량의 부족과 같은 식습관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11,12)되고 있다. 만성적 변비는 결장 및 직장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과 관련이 있으나13) 우리나라의 경우 소화기 증상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 중 변비가 주 증상인 경우는 4~7%에 불과해6) 변비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증상을 가볍게 여기며 치료를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 시기는 어떤 바람직하지 못한 식생활을 하고 있는가? 대학생 시기는 고등학생 시기의 규칙적 생활에서 벗어나 생활이 자유롭고 복잡해지며 불규칙한 식사, 결식, 편식, 인스턴트 식품과 패스트푸드의 섭취 증가 등 바람직하지 못한 식생활을 하고 있다.1,2) 이로 인해 일부 대학생은 비만3)이나 각종 위장관 계통의 질병도 갖고 있어4) 여생의 건강을 위해 올바른 식생활과 생활습관의 개선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Lee MS, Kwak CS.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quality of diets and dietary habit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1): 39-51 

  2. Shin AS, Roh SB.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Dietary Culture 2000; 15(4): 287-293 

  3. Lee SH, Park M. Body fatness and ea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Acad Soc Women's Health 2008; 9(2): 1-20 

  4. Hwang HS. An survey of dietary life and nutrition status in Mokpo National Univers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1; 20(1): 65-71 

  5. Higgins PDR, Johanson JF. Epidemiology of constipation in North America: a systematic review. Am J Gastroenterol 2004; 99(4): 750-759 

  6. Jun DW, Park HY, Lee OY, Lee HL, Yoon BC, Choi HS, Hahm JS, Lee MH, Lee DH, Kee CS. A population-based study on bowel habits in a Korean community: prevalence of functional constipation and self-reported constipation. Dig Dis Sci 2006; 51(8): 1471-1477 

  7. Thompson WG, Longstreth GF, Drossman DA, Heaton KW, Irvine EJ, Muller-Lissner SA. Functional bowel disorders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Gut 1999; 45(Suppl II):II43-II47 

  8. Jeon SG, Shon CI, Kim JE, Park JE, Park SR, Park KH. Bowel habits in routine check-up subjects. Korean J Med 1999; 57(1): 36-41 

  9. Lee KH. Etiology and treatment of the constipation. J Kyung Hee Univ Med Cent 1999; 15(4): 328-332 

  10. Everhart JE, Go VLW, Johannes RS, Fitzsimmons SC, Roth HP, White LR. A logitudinal survey of self-reported bowel habits in the United States. Dig Dis Sci 1989; 34(8): 1153-1162 

  11. Shin JR, Ly SY. Dietary Habits and Factors Related to Lifestyles in Constipated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5): 675-688 

  12. Chung HJ, Park HW, Choi EJ, Lee JJ. A study of the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constipation among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unggi.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 (5): 654-663 

  13. Watanabe T, Nakaya N, Kurashima K, Kuriyama S, Tsubono Y, Tsuji I. Constipation, laxative use and risk of colorectal cancer: The Miyagi Cohort Study. Eur J Cancer 2004; 40(14): 2109-2015 

  14. Kim HJ, Won CW. Choi HR, Kim B, Kim HJ, Bae JM, Hwang HM.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functional constipation in the Elderly. J Korean Acad Fam Med 2006; 27(9): 693-698 

  15. Lee HJ, O JH. A study on the defecation pattern and lifestyle factors of female high shool and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1): 36-45 

  16. You JS, Chin JH, Kim MJ, Chang KJ.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ivior, health-related lifestyl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by physical activity levels using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in Incheon area. Korean J Nutr 2008; 41(8): 818-831 

  17. Cho JY, Song JC. Dietary behavior, health status and perceived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 Nutr 2007; 20 (4): 476-486 

  18. Kim HK, Kim JH. Food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dormitory in Ul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34(9): 1388-1397 

  19. Ko MS.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dietary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3): 259-271 

  20. Pashankar DS, Loening-Baucke V. Increased prevalence of obesity in children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evaluated in an academic medical center. Pediatrics 2005; 116: e377?e380 

  21. Pecora P, Suraci C, Antonelli M, De Maria S, Marrocco W. Constipation and obesity: a statistical analysis. Boll Soc Ital Biol Sper 1981; 57(23): 2384-2388 

  22. Na HJ, Kim YN.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and dietary fiber intake of 3rd Grade High school girls. Korean J Nutr 2000; 33(6): 675-683 

  23. Kim WK, Lee KA. Effect of food behaviors on nutrients and food intake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6): 1285-1296 

  24. Shin MK, Seo ES.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Ik-San area.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1995; 33(4): 89-106 

  25. Sung IK.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f constipa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08; 51(1): 4-10 

  26. Lee JH, O JH. A study on the defecation pattern and lifestyle factors of fema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1): 36-45 

  27. Sung IK, Rhee PL, Jeon SK, Shim SG, Son, HJ, Kim JJ, Koh KC, Paik SW, Rhee JC. Effect of total dietary fiber on bowel habit and bowel transit in healthy subjects. Korean J Gastroenterol 2000; 35: 39-45 

  28. Lim ET, Kim Y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and beverage intak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6): 856-866 

  29. Bae YJ, Lee JC, Kim MH.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college students by residing types in Samcheok. J Korean Dietetic Assoc 2007; 13(4): 311-330 

  30. Yu KH, Chung CE, Cho SS, Ly SY. Analysis of dietary fiber intake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and newly established dietary fiber database. Korean J Nutr 2008; 41(1): 100-110 

  31. Gallager DD, Schneeman BO. Dietary fiber. Washington, DC: International Life Sciences Institute;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