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행동변화 단계에 따른 충남지역 초등학생의 채소와 과일 섭취 관련 사회 심리적 요인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with the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by Stage of Chang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hungnam Province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2 no.7, 2009년, pp.639 - 649  

서윤석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애숙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  정영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충남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채소와 과일 섭취의 사회 심리적 요인을 행동 변화 단계별로 비교해 보고자 2007년 5월 14일부터 5월 30일까지 충남 연기군 1개초등학교 4, 5, 6학년 남자 122명, 여자 134명, 총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해 조사 하였다. 조사대상 아동은 행동 변화 단계를 고려전, 고려 및 준비, 행동의 3단계로 분류하였다. 1) 고려전 단계에 81명 (31.6%), 고려 및 준비 단계에 90명 (35.2%), 행동 단계에 85명 (33.2%)이 속하였다. 2) 행동 변화 단계별 고려전 단계 분포에서는 4학년 34.4%, 5학년 42.3%, 6학년 20.7%로 5학년이 가장 높았다 (p < 0.05). 건강상태의 자가평가에서는 전체대상자에서 '좋다‘가 60.7%로 높은 비율을 차지 하였으며, 고려 및 준비 단계에 있는 아동이 35.9%로 다른 단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영양제를 항상 섭취한다‘고 답한 대상자가 고려전 단계에 있는 아동의 45.8%로 다른 두 군보다 높았다. 3) BMI 85백분위수 미만에 속한 정상체중의 아동은 남아가 여아에 비해 고려전 단계에 속한 비율이 높고, 고려 및 준비 단계 이상에 속한 비율이 낮았다 (p < 0.01). 4) 채소와 과일 섭취에 대한 판단균형에서 장점에 대한 인지도 점수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단점에 대한 인지도 점수는 고려전 단계에서 높았고, 행동 단계에서 점수가 낮았다 (채소 p < 0.05, 과일 p < 0.01). 5) 채소섭취의 행동 변화 단계에 따른 인지적 변화과정 중 의식향상 (p < 0.001), 걱정해소 (p < 0.01), 자기재진단(p < 0.05), 환경재평가 (p < 0.01) 등 4개의 변수에서, 행위적 변화과정 중 자극조절 (p < 0.01), 자기결심 (p < 0.01) 등 2개의 변수에서 고려전 단계에 있는 대상자들 보다 행동 단계에 속한 대상자에서 높았다. 과일섭취의 행동 변화 단계에 따른 인지적 변화과정 중 의식향상 (p < 0.05)변수에서, 행위적 변화과정 중 자기결심 (p < 0.01)에서 고려전단계와 고려 및 준비 단계보다 행동 단계에서 높았다. 6) 채소섭취의 행동 변화 단계에 따른 자아효능감은 많은 항목의 자아효능감에서 행동 변화 단계 간에 차이를 보였으며, 행동 단계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p < 0.001). 과일 섭취의 자아효능감은‘집에서 먹을 때는 더 많은 과일을 먹을 수 있다‘의 1개 항목에서만 행동 단계에서 높게 나타났다 (p < 0.05). 이상의 연구 결과 충남지역 초등학생에서 채소와 과일 섭취와 관련된 사회심리적 요인의 종류와 수준이 행동변화 단계에 따라 다르며, 채소와 과일 간에도 사회심리적 요인의 종류와 수준이 다름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psycho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according to stage of change in rural children. Total 256 elementary school children, located in Yeongi-Gun, Chungnam-Do were surveyed from May 14 2007 to May 30 2007. Stage of change 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걱정해소: 채소 (과일)를 적게 먹어서 생기는 문제들에 대하여 걱정한다. 3) 자기재진단: 최근에 자신이 충분한 채소 (과일)를 먹고 있는지 평가한다. 4) 환경재평가: 뭔가를 먹고 싶을 때를 생각해서 내 주변에 채소 (과일)를 가까이 두려고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채소와 과일 섭취 행동변화 단계에 따른 판단균형, 변화과정, 자아효능감의 사회심리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아동의 행동변화 단계 분포는 고려전 단계에 31.
  • 그러나 국내에서는 행동 변화 단계를 이용한 채소와 과일 섭취 증가에 대한 영양교육이론을 적용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남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행동 변화 단계에 따른 채소와 과일 섭취 관련 사회심리적 요인의 판단균형, 변화과정, 자아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실제 영양교육에서 효과적인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채소와 과일 섭취를 강조하기 위해 미국이 진행하는 캠페인은 무엇인가? 채소나 과일류에는 칼륨, 칼슘, 마그네슘, 철분,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베타카로틴 등 항산화 비타민은 물론 필수영양소 외에도 만성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식물성 성분 (phytochemical)을 다양 하게 포함하고 있어 채소와 과일 섭취가 강조된다. 미국에서는 5 A Day for Better Health 프로그램을 통해 하루에 과일과 채소를 5회 이상 섭취하도록 강조하는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벌이고 있다.5,6)
7~12세 아동에서 섭취 부족으로 나타난 영양소는 주로 무엇인가?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1)에서 7~12세 아동에서 섭취 부족으로 나타난 영양소는 주로 무기질과 비타민이었다. 한국인영양섭취기준의 평균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한 아동의 비율은 칼륨의 경우 96.
2005년도 기준, 7~12세 아동의 채소류 섭취량은 얼마인가? 한편 7~12세 아동의 채소류 섭취량은 1998년 192.4 g에서 2005년도에는 221.1 g으로 7년간의 채소 섭취의 증가비율이 14.9%인데 비해, 육류 섭취량은 1998년 7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2005 

  2. Park SJ. The effect of nutri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s. J Korean Dietetic Assoc 2000; 6(4): 17-25 

  3. Kim YH, Seo JS.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an unbalanced diet in school feeding. J Korean Dietetic Assoc 2004; 10(3): 345-355 

  4. Hong YJ. A study on a relation of food ecology to obesity index of 5th grade children in Cheju city (II). Korean J Dietary Culture 1998; 13(2): 141-151 

  5.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and Dietitians of Canada: Vegetarian diet. J Am Diet Assoc 2003; 103: 748-765 

  6. Lee KE, Hong WS, Kim MH. Students food preferences on vegetarian menus served at middle and high schools. J Korean Dietetic Assoc 2005; 11(3): 320-330 

  7. Prochaska JO, Diclemente CC. Stage and processes of self-change of smoking: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change. J Consult Clin Psychol 1983; 51: 390-395 

  8. Chung SJ. Application of stage of change model and precedeprocede model.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Workshop ; 2006. p.1-10 

  9. Sohn SM, Lee KH, Kim KW, Lee YK. Counseling and Practice in Nutrition Education. Life Science; 2007 

  10. Ku JO, Kim KW, Kim CL, Park DY, Park HR, Yoon EY. Nutrition Education & Practice. Power Book; 2007 

  11. Chung SJ.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age of change instruments and processes of change to eat fruits and vegetables [Dissertation]. East Lans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2001 

  12. Greene GW, Fey-Yensan N, Padula C, Rossi JS, Clark PG. Differences in psychosocial variables by stage of change for fruits and vegetables in older adults. J Am Diet Assoc 2004; 104: 1236-1243 

  13. Henry H, Reimer K, Smith C, Reickes M. Association of decisional balance, processes of change, and self-efficacy with stage of change for increased fruit and vegetable intake among lowincome, African-American mothers. J Am Diet Assoc 2006; 106(6): 841-849 

  14. Prochaska JO, Diclemente CC, Norcross JC. In search of how pepole change: Applications to addictive behavior. Am Psychol 1992; 47: 1102-1114 

  15. Prochaska JO, Velicer WF.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change. AM J Hea Promot 1997; 12: 38-48 

  16. Sun KS. The effect of web-based osteoporosis prevention program on the osteoporosis knowledge, self efficacy, health belief, stage of change in female college students [Dissertation]. Gwangju: 

  17. Ounpuu S, Woolcott DM, Rossi SR. Self-efficacy as an intermediate outcome variable in the transtheoretical model: validation of a measurement model for applications to dietary fat reduction. J Nutr Edu 1999; 31(1): 16-22 

  18. Janis IL, Mann L. Decision Making: A psychological analysis of conflict, choice and commitment, New York: Free Press; 1977 

  19. Cullen KW, Bartholomew LK, Pareel GS, Koehly L. Measuring stage of change for fruits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9 to 12 year old girls. J Beh Med 1998; 21(3): 241-254 

  20. Brinley C, Barrar C, Cotugna N. Stages of change tools to increase fruit and vegetables consumption in high school students. J Nutr Edu 2001; 33(1): 57-58 

  21. Block G, Wakimoto P, Metz D, Mary L, Fujii M, Feldman N, Mandel R, Sutherland B. A randomized trial of the little by little CD-ROM: Demonstrated effectiveness in increasing fruit and vegetable intake in a low-income population. Pub Hea Res Prac Policy 2004; 1(3): 1-12 

  22. Standard growth chart of Korean childre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Committee for development of standard growth chart of Korean children; 2007 

  23. Rosalind SG. Principles of nutritional assessment second edition. Oxford; 2005 

  24. Williams J, Wake M, Hesketh K, Mather E, Waters 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JAMA 2005; 293(1): 70-76 

  25. Oh SY, Kim KA, You HE, Chung HR. Development of a theory 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childbearing aged wom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6):725-727 

  26. Oh SY, Cho MR, Kim JO. Analysis on the stages of change in fat reducing behavior and social psychological correlates in adult female. Korean J Community Nutr 2000; 5(4): 615-623 

  27. Ounpuu S, Woolcott DM, Rossi SR. Self--efficacy as an intemediate outcome variable in Transtheoretical Model: Application to dietary fat reduction. J Nutr Educ 1999; 31(1): 1-7 

  28. Ounpuu S, Woolcott DM, Geoffrey W, Greene. Defining Stage of change for lower-fat eating. J Am Diet Assoc 2000; 100(6): 674-679 

  29. Robert LG, Greene GW, Prochaska JO.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low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J Beh Med 1994; 17(4):361-374 

  30. Diclemente CC, Prochaska JO, Fairhurst S, Velicer WF, Velasquez MM, Rossi JS. The processes of smoking cessation: An analysis of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stages of change. J Consult. Clin Psychol 1991; 59: 295-304 

  31. Rossi JS. Stages of change for 15 health risk behaviors in an HMO population. Paper presented at the 13th annual scientific sessions of the society of behavioral medicine New York; 1992 

  32. Prochaska JO, Diclemente CC, Velicer WF, Rossi JS. Standardized, individulalized, interactive and personalized self-help programs for smoking essation. Health Psychol 1993; 12(5): 399-405 

  33. Greene GW, Rossi SR, Rossi JS, Velicer WF, Fava JS, Prochaska JO. Dietary applications of the stages of change model. J Am Diet Assoc 1999; 99: 673-678 

  34. Kim SR. Relationships among nutritional knowledge, eating behavior and dietary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onbuk province [thesis]. Jeonju: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3 

  35. Parcel GS, Edmundson E, Perry CI, Feldman HA, O Hara-Tompkins N, Nader PR, Johnson CC, Stone EJ. Measurement of selfefficacy for diet-related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children. J Sch health 1995; 65: 23-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