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일섭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과일섭취 습관의 조절효과
Factors influencing on intention to intake fruit: moderating effect of fruit intake habit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2, 2014년, pp.134 - 144  

김혜수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소비자의 과일 섭취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건강 행동관련 연구에서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습관' 요인을 추가하여 새로운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과일섭취 의도와 과일섭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 734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과일섭취에 대한 태도, 사회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과일섭취 습관이 과일섭취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일 섭취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과일 섭취에 대한 태도, 사회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등을 증가시킴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과일섭취 의도가 과일섭취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일섭취 습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과일섭취 습관이 과일섭취 의도가 과일섭취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과일을 습관적으로 섭취하는 경향이 강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섭취행동이 섭취의도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는 것이다. 이는 개인이 행동을 수행함에 있어 습관강도가 강한 집단의 경우 의도에 의한 영향은 덜 받는 반면, 습관 요인에 의해 행동이 재현되는 경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과일섭취 증대를 위해 습관의 정도에 따라 대상을 구분하여 교육하거나 우선 순위 선정시 습관의 조절효과를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과일 섭취행동조사 문항으로써 성인 기준 1일 섭취권장량과 비교한 섭취량을 포함하지 못한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 될 수 있다. 후속연구로 하루 과일 섭취권장량 충족여부를 기준으로 권장량에 미달한 집단에 대한 심층적 분석결과는 과일섭취량을 권장량에 도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의 계획적 행동이론에 '습관'이라는 새로운 요인을 추가하였던 본 연구가 과일 섭취 행동 모델에 설명력을 높였듯이 새로운 요인을 파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fruit consumption behavior by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a fruit eating habit. Methods: A total of 734 consumers who have ever purchased fruit particip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과일 섭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과일을 포함한 식품에 대한 섭취행위는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습관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과일 섭취습관을 포함하여 과일섭취 행동을 이해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소비자의 과일 섭취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건강 행동관련 연구에서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습관’ 요인을 추가하여 새로운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과일섭취 의도와 과일섭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계획적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에 근거하여 ‘과일섭취에 대한 태도’, ‘사회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요인이 과일섭취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을 뿐만 아니라 ‘습관’을 조절요인으로 가정하여 습관이 과일섭취 의도와 과일섭취 행동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 과일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과일섭취량 변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중재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개발하는 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과일섭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일 섭취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계획적 행동이론은 과일을 포함한 식품선택에 관련한 여러 식행동 연구에서 식행동을 설명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자주 활용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과일섭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과일섭취 습관이 과일 섭취의도와 과일섭취 행동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며 본 연구결과는 과일섭취 증진을 위한 건강정책 수립 또는 영양교육자료 개발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수 있다.

가설 설정

  • 가설 1-1: 과일섭취에 대한 감성적 태도는 과일섭취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2: 과일섭취에 대한 인지적 태도는 과일섭취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과일섭취에 대한 사회적 규범은 과일섭취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과일섭취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는 과일섭취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과일섭취 의도는 과일섭취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과일섭취 의도가 과일섭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과일섭취 습관에 따라 조절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 특정 행위이란 측면에서 습관이란 어떻게 형성되는가? 습관은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자연히 형성된다. 어떠한 상황에서 일어난 개인의 특정 행위를 통해 만족스러운 결과가 유도된 경우 의식영역 밖에서 그 행위를 인지하여 미래의 자동적 행동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23 이는 특정 자극 하에서 습관이 목표와 결부되었을 때 즉각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새로운 행동이 의식적인 작용의 결과를 따른다면 습관에 따른 행동은 행동의 통제를 대신함을 뜻한다.
과일과 채소를 권장량 수준으로 섭취한 사람은 어떤 질병에 걸릴 위험이 낮은가? 과일과 채소 섭취는 중요한 요인임이 여러 연구연구에서 밝혀졌다. 과일과 채소를 권장량 수준으로 섭취한 사람은 만성질환의 위험, 특히 당뇨,4,5 고혈압,6,7 비만,8,9 심혈관계 질환10-12 및 암13-15에 걸릴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과일과 채소의 섭취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 성인의 과일 및 채소의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과일과 채소의 섭취량은 어떠한가?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따르면 만 1세 이상 남녀 전체의 식품군별 1일 섭취량 중 과일 및 채소 섭취량이 160 g로 나타나1 세계보건기구 (WHO)에서 권장하는 하루 섭취량 400 g 보다 매우 부족하였다 (WHO).2 Kwon 등3이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과일 및 채소의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과일 및 채소의 섭취량과 섭취비율이 모두 감소하였고 특히, 30대의 과일 평균 섭취량이 91 g인데 반해 60대 이상의 과일섭취량은 46 g으로 30대의 절반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채소 및 과일의 평균 하루 섭취량은 307 g이고, 개인권장기준인 400 g 이상을 섭취하는 사람의 비율은 전체 대상자의 26% 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1. 

  2. Kwon JH, Shim JE, Park MK, Paik HY. Evalu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in Korean adults aged 30 years and over: using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Korean J Nutr 2009; 42(2): 146-157. 

  3.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US); World Health Organization. Fruit and vegetable for health: report of a joint FAO/ WHO workshop, 1-3 September 2004, Kobe, Japa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4. Carter P, Gray LJ, Troughton J, Khunti K, Davies MJ.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2010; 341: c4229. 

  5. Ford ES, Mokdad AH.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diabetes mellitus incidence among U.S. adults. Prev Med 2001; 32 (1): 33-39. 

  6. Appel LJ, Champagne CM, Harsha DW, Cooper LS, Obarzanek E, Elmer PJ, Stevens VJ, Vollmer WM, Lin PH, Svetkey LP, Stedman SW, Young DR; Writing Group of the PREMIER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Effects of comprehensive lifestyle modification on blood pressure control: main results of the PREMIER clinical trial. JAMA 2003; 289(16): 2083-2093. 

  7. Utsugi MT, Ohkubo T, Kikuya M, Kurimoto A, Sato RI, Suzuki K, Metoki H, Hara A, Tsubono Y, Imai Y.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the risk of hypertension determined by self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 at home: the Ohasama study. Hypertens Res 2008; 31(7): 1435-1443. 

  8. Buijsse B, Feskens EJ, Schulze MB, Forouhi NG, Wareham NJ, Sharp S, Palli D, Tognon G, Halkjaer J, Tjonneland A, Jakobsen MU, Overvad K, van der A DL, Du H, Sorensen TI, Boeing H. Fruit and vegetable intakes and subsequent changes in body weight in European populations: results from the project on Diet, Obesity, and Genes (DiOGenes). Am J Clin Nutr 2009; 90(1): 202-209. 

  9. Epstein LH, Gordy CC, Raynor HA, Beddome M, Kilanowski CK, Paluch R. Increasing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decreasing fat and sugar intake in families at risk for childhood obesity. Obes Res 2001; 9(3): 171-178. 

  10. Dauchet L, Amouyel P, Hercberg S, Dallongeville J.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 meta- analysis of cohort studies. J Nutr 2006; 136(10): 2588-2593. 

  11. Nikolic M, Nikic D, Petrovic B.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the risk for developing coronary heart disease. Cent Eur J Public Health 2008; 16(1): 17-20. 

  12. Bazzano LA, He J, Ogden LG, Loria CM, Vupputuri S, Myers L, Whelton PK.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US adults: the firs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Am J Clin Nutr 2002; 76(1): 93-99. 

  13. Boggs DA, Palmer JR, Wise LA, Spiegelman D, Stampfer MJ, Adams-Campbell LL, Rosenberg L. Fruit and vegetable intake in relation to risk of breast cancer in the Black Women's Health Study. Am J Epidemiol 2010; 172(11): 1268-1279. 

  14. Freedman ND, Park Y, Subar AF, Hollenbeck AR, Leitzmann MF, Schatzkin A, Abnet CC.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head and neck cancer risk in a large United States prospective cohort study. Int J Cancer 2008; 122(10): 2330-2336. 

  15. Millen AE, Subar AF, Graubard BI, Peters U, Hayes RB, Weissfeld JL, Yokochi LA, Ziegler RG; PLCO Cancer Screening Trial Project Team.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prevalence of colorectal adenoma in a cancer screening trial. Am J Clin Nutr 2007; 86(6): 1754-1764. 

  16. Johnston KL, White KM. Binge-drinking: A test of the role of group norms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Psychol Health 2003; 18(1): 63-77. 

  17. Tuu HH, Olsen SO, Thao DT, Anh NT. The role of norms in explaining attitudes, intention and consumption of a common food (fish) in Vietnam. Appetite 2008; 51(3): 546-551. 

  18. Rhodes RE, De Bruijn GJ. Automatic and motivation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does intensit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hav Med 2010; 36(2): 44-52. 

  19. Godin G, Amireault S, Bellanger-Gravel A, Vohl MC, Pelrusse L, Guillaumie L. Prediction of daily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overweight and obese individuals. Appetite 2010; 54 (3): 480-484. 

  20. Guillaumie L, Godin G, Vezina-Im LA. Psychosocial determinants of fruit and vegetable intake in adult population: a systematic review. Int J Behav Nutr Phys Act 2010; 7: 12. 

  21. Zoellner J, Krzeski E, Harden S, Cook E, Allen K, Estabrooks PA. Qualitativ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understand beverage consumption behaviors among adults. J Acad Nutr Diet 2012; 112(11): 1774-1784. 

  22. Chen MF.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relation to organic foods in Taiwan: Moderating effects of food-related personality traits. Food Qual Prefer 2007; 18(7): 1008-1021. 

  23. De Bruijn GJ, Kremers SPJ, De Vet EE, De Nooijer J, Van Mechelen W, Brug, J. Does habit strength moderate the intention-behaviour relationship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he case of fruit consumption. Psychol Health 2007; 22(8): 899-916. 

  24. Arvola A, Vassallo M, Dean M, Lampila P, Saba A, Lahteenmaki L, Shepherd R. Predicting intentions to purchase organic food: the role of affective and moral attitudes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ppetite 2008; 50(2-3): 443-454. 

  25. Latimer AE, Martin Ginis KA. The importance of subjective norms for people who care what others think of them. Psychol Health 2005; 20(1): 53-62. 

  26. Manstead AS, van Eekelen SA. Distinguishing betwee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elf-efficacy in the domain of academic achievement intentions and behaviors. J Appl Soc Psychol 1998; 28(15): 1375-1392. 

  27. Povey R, Conner M, Sparks P, James R, Shepherd R.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o two dietary behaviours: roles of perceived control and self-efficacy. Br J Health Psychol 2000; 5(2): 121-139. 

  28. Sparks P, Guthrie CA, Shepherd R. The dimensional structure of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construct. J Appl Soc Psychol 1997; 27(5): 418-438. 

  29. Aarts H, Paulussen T, Schaalma H. Physical exercise habit: on the conceptualization and formation of habitual health behaviours. Health Educ Res 1997; 12(3): 363-374. 

  30. Bamberg S, Ajzen I, Schmidt P. Choice of travel mode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roles of past behavior, habit, and reasoned action. Basic Appl Soc Psych 2003; 25(3): 175-187. 

  31. Brug J, De Vet E, De Nooijer J, Verplanken B. Predicting fruit consumption: cognitions, intention, and habits. J Nutr Educ Behav 2006; 38(2): 73-81. 

  32. Reinaerts E, De Nooijer J, Candel M, De Vries N. Explaining school children's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the contributions of availability, accessibility, exposure, parental consumption and habit in addition to psychosocial factors. Appetite 2007; 48(2): 248-258. 

  33. Kothe EJ, Mullan BA, Butow P. Promoting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Testing an interventio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ppetite 2012; 58(3): 997-1004. 

  34. Sjoberg S, Kim K, Reicks M.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by older adults. J Nutr Elder 2004; 23(4): 35-46. 

  35. Cha MH, Kim YK.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s of organic foods in relation to the perceived health concerns, healthy eating practices and attitudes, and food choice motive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3): 286-294. 

  36. Verplanken B, Orbell S. Reflections on past behavior: a self-report index of habit strength. J Appl Soc Psychol 2003; 33(6): 1313-1330. 

  37. De Bruijn GJ. Understanding college students' fruit consumption. Integrating habit strength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ppetite 2010; 54(1): 16-22. 

  38. Ahn Y, Kim KW. Beliefs regarding vegetable consumption, selfefficacy and ea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ange in vegetable consumption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1-13. 

  39. Emanuel AS, McCully SN, Gallagher KM, Updegraff JA. Theory of planned behavior explains gender difference i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ppetite 2012; 59(3): 693-6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