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채소와 과일섭취 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이 행동전단계 초등학생의 사회심리적 요인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Vegetable and Fruit Intak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re-Action Stage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3 no.6, 2010년, pp.597 - 606  

서윤석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영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채소와 과일 섭취 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이 행동변화단계의 진전에 따라 사회심리적요인에 변화를 초래하는지 파악하고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 행동전단계를 두 단계로 나누어 이 두 단계 아동들의 채소와 과일 섭취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인지, 인지적 행위적 변화과정, 자아효능감의 수준 변화를 조사하였다. 충남 연기군의 한 초등학교 5학년 아동 71명에 대한 설문 조사에 의해 행동전단계 (고려전, 고려, 준비)로 분류된 47명을 대상으로 2007년 11월 19일부터 12월 24일까지 6주 동안 채소와 과일섭취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교육전과 후에 사회심리적요인의 수준을 설문지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1) 영양교육 후 채소섭취의 장점에 대한 인지도 점수는 고려전단계나 고려 및 준비단계에 속한 대상자 모두에서 증가하였고, 단점에 대한 인지도 점수는 두 단계 모두에서 감소하였다. 그러나 과일섭취에 있어서는 장점에 대한 인지도 점수에서는 고려전단계와 고려 및 준비단계 모두에서 교육 후 변화가 없었으나, 단점에 대한 인지도 점수는 고려전 단계에 속한 대상자에서만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p < 0.01). 채소섭취에 대한 장점과 단점에 대한 인지 개선 영양교육은 두 단계 모두에서 효과적이었다. 2) 영양교육 후 채소섭취의 인지적 변화과정에서는 고려전단계의 대상자에서 의식향상 (p < 0.001)점수가 증가되었고, 고려 및 준비단계에 속한 대상자에서는 걱정해소 (p < 0.01), 자기재진단 (p < 0.05), 환경재평가 (p < 0.01), 사회규범변화(p < 0.05) 등 여러 변수의 점수가 증가하였다. 과일섭취의 인지적 변화과정에서는 고려전단계에 있는 대상자에서 환경재평가 (p < 0.01)점수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고려 및 준비단계에서는 변화를 보인 변수가 없었다. 채소와 과일섭취의 행위적 변화과정에서는 모두 변화가 없었다. 3) 영양교육 후 채소섭취에 관한 자아효능감은 고려전단계에 있는 대상자에서 '채소를 보이는 곳에 둔다' (p < 0.01)와 '혼자 채소를 먹을 때 권장섭취 횟수만큼 먹을 수 있다' (p < 0.01). '채소 먹을 시간을 낼 수 있다' (p < 0.05)에서 증가를 나타내었다. 고려 및 준비단계에서는 고려전단계에서 나타난 '혼자 채소를 먹을 때 권장섭취 횟수만큼 먹을 수 있다' (p < 0.01)와 '채소 먹을 시간을 낼 수 있다' (p < 0.01)의 항목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채소를 살 수 있다' (p < 0.01)에서 교육 후에 자아효능감이 높아졌다. 즉 채소섭취의 행동변화단계가 높아질수록 자아효능감의 수준이 성숙됨을 보였다. 과일섭취에 대해서는 영양교육 후 고려전단계에 속한 대상자에서 '과일을 보이는 곳에 둔다'의 자아효능감의 점수가 증가되었다 (p < 0.05).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영양교육 후 행동전단계에 있는 아동들의 행동변화단계의 진전이 일어났고, 고려전단계와 고려 및 준비단계에서 모두 사회심리적요인의 수준이 높아졌으나 두 단계 간에는 교육효과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과일에 비해 채소섭취와 관련된 사회심리적요인에서 교육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사회심리적요인들 중에서 판단 균형의 단점에 대한 인지도, 인지적 변화과정, 자아효능감이 영양교육의 평가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 of level of psychosocial factors of decisional balance, processes of change, and self-efficacy after nutrition education on vegetable and fruit intake of children in pre-action stages. Forty-seven 5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Yeongi-Gun, Chungnam-Do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6) 식사 구성안에 의하면7) 9~11세 어린이의 경우 1인 1회 분량으로 채소류를 1일 5회, 과일류를 2회 섭취하도록 권장한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08)에 제시된 영양 관련 사업목표에서는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지방, 나트륨, 채소와 과일을 적정 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을 높이고자 하였고, 이중 채소와 과일을 하루에 500 g 이상 섭취하는 만 6세 이상 인구비율을 50%로 할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7~12세 아동의 채소류 섭취량은 1998년 192.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채소와 과일 섭취 증진을 위한 영양 교육을 체계화시키고, 교육의 효과에 대한 평가지표를 발굴하기위한 시도로서 행동전단계에 있는 초등학생을 고려전과 고려 및 준비단계로 분류하여 판단균형, 변화과정, 자아효능감의 개선에 중점을 두고 교육자료를 만들어 교육을 실시한 후 이들 사회심리적요인 중 영양교육에 의해 수준 변화를 보인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I can keep these foods at hand/readily available fruits. 2. I can eat the recommended number of servings of fruits when I eat on my own.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사 구성안에 의하면 9~11세 어린이의 경우 채소 및 과일류 섭취 관련 무엇을 권장하는가? 또한 채소와 과일은 다른 식품에 비해 에너지를 적게 내고 섬유소가 풍부하여 비만, 당뇨병, 암 등 생활습관병 예방을 위해 매일 적절히 섭취하도록 권장한다.4,6) 식사 구성안에 의하면7) 9~11세 어린이의 경우 1인 1회 분량으로 채소류를 1일 5회, 과일류를 2회 섭취하도록 권장한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08)에 제시된 영양 관련 사업목표에서는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지방, 나트륨, 채소와 과일을 적정 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을 높이고자 하였고, 이중 채소와 과일을 하루에 500 g 이상 섭취하는 만 6세 이상 인구비율을 50%로 할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식행동 수정을 위한 방법 중 행동변화단계이론은 무엇을 주장하는가? 식행동 수정을 위한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행동변화단계이론에서는 행동수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려면 대상자의 식행동 단계를 우선 잘 파악한 후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돕고 단계의 퇴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Prochaska et al,14) Sun,15) Greene et al,16) Henry et al,17) Chung18)의 연구에서 식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변화단계 이론의 주요 사회심리적요인은 판단 균형, 변화과정, 자아효능감이라고 하였다.
7~12세 아동의 육류섭취량의 변화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9%이었다. 이에 비해, 육류섭취량은 1998년 70.7 g에서 2005년도에는 95.7 g으로 육류섭취량의 증가율이 35.3%로 채소류의 섭취 증가율에 비해 크게 높았다.9) 또한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10)를 보면 6~11세 아동의 경우 1일 평균 299 g의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목표치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섭취함이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YK, Ro HK. A survey on preferences for vegetable cooking methods and vegetable-aversion-related factor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wangji and Chonnam region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5): 531-544 

  2. Hong YJ. A study on a relation of food ecology to obesity index of 5th grade children in Cheju city (II). Korean J Dietary Culture 1998; 13(2): 141-151 

  3. Lee HS, Lee KE, Shanklin CW. Elementary student' food consumption at lunch does not meet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for energy, iron and vitamin A. J Am Diet Assoc 2001; 101(9): 1060-1063 

  4. Ku UH, Seo JS.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and factors related to dislike of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2): 151-162 

  5. Jun SN, Ro HK. A study on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998; 13(1): 65-72 

  6.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and Dietitians of Canada. Vegetarian diet. J Am Diet Assoc 2003; 103(6): 748-765 

  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2010 

  8.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Comprehensive plans for national health promotion 2010; 2005 

  9.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2005 

  10. Ministry for Health, Welfare 200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ry.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11. Schwartz NE. Nutriti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of high school graduates. J Am Diet Assoc 1975; 66(1): 28-36 

  12. Brush KH, Woolcot DM, Kawash GF. Evaluation of an effective based adul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Nutr Educ 1986; 18 (6): 258-264 

  13. Lee SW, Sung CJ, Kim MH. A study on nutritional attitude,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nutrition knowledge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0; 5(3): 419-431 

  14. Prochaska JO, Velicer WF.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change. Am J Health Promot 1997; 12(1): 38-48 

  15. Sun KS. The effect of web-based osteoporosis prevention program on the osteoporosis knowledge, self efficacy, health belief, stage of change in female college students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3 

  16. Greene GW, Fey-Yensan N, Padula C, Rossi S, Rossi JS, Clark PG. Differences in psychosocial variables by stage of change for fruits and vegetables in older adults. J Am Diet Assoc 2004; 104(8): 1236-1243 

  17. Henry H, Reimer K, Smith C, Reickes M. Association of decisional balance, processes of change, and self-efficacy with stage of change for increased fruit and vegetable intake among low-income, African-American mothers. J Am Diet Assoc 2006; 106 (6): 841-849 

  18. Chung SJ. Application of stage of change model and precede-procede model.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Workshop; 2006. p.1-10 

  19. Cullen KW, Bartholomew LK, Pareel GS, Koehly L. Measuring stage of change for fruits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9 to 12 year old girls. J Behav Med 1998; 21(3): 241-254 

  20. Suh YS, Choi AS, Chung YJ.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with the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by the stage of chang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hungnam province. Korean J Nutr 2009; 42(7): 639-649 

  21. Block G, Wakimoto P, Metz D, Fujii ML, Feldman N, Mandel R, Sutherland B. A randomized trial of the little by little CD-ROM: Demonstrated effectiveness in increasing fruit and vegetable intake in a low-income population. Prev Chronic Dis 2004; 1(3): 1-12 

  22. Chung SJ.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age of change instruments and processes of change to eat fruits and vegetables [Dissertation]. East Lans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2001 

  23. Frenn M, Malin S, Bansal NK. Stage based interventions for low fat diet with middle school students. J Pediartr Nurs 2003; 18 (1): 36-45 

  24. Baranowski T, Simons-Morton B, Hooks P, Henske J, Tieman K, Dunn JK, Burkhalter H, Harper J, Palmer J. A center based program for exercise change among Black-American. Health Educ Q 1990; 17(2): 179-196 

  25. Luszczynska A, Tryburcy M, Schwarzer R. Improving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 self-efficacy intervention compared with a combined self-efficacy and planning intervention. Health Educ Res 2007; 22(5): 630-638 

  26. Brinley C, Barrar C, Cotugna N. Stages of change tools to increase fruit and vegetables consumption in high school students. J Nutr Educ 2001; 33(1): 57-58 

  27. Nothwehr F, Snetselaar L, Yang J, Wu H. Stage of change for healthful eating and use of behavioral strategies. J Am Diet Assoc 2006; 106(7): 1035-1041 

  28. Greene GW, Rossi SR, Reed GR, Willey C, Prochaska JO. Stages of change for reducing dietary fat to 30% of energy or less. J Am Diet Assoc 1994; 94(10): 1105-1110 

  29. Contento IR. Nutrition education-Link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Jones and Barlett Publishers, Sudbury, MA; 2007. p.88- 108 

  30. Kim SR. Relationships among nutritional knowledge, eating behavior and dietary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onbuk province [Thesis]. Jeonju: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3 

  31. Tuuri G, Zanovec M, Silverman L, Geaghan J, Solmon M, Holston D, Guarino A, Roy H, Murphy E. "Smart Bodies" school wellness program incresed children's knowledge of healthy nutrition practices and self-efficacy to consume fruit and vegetables. Appetite 2009; 52(2): 445-4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