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소비자의 소비주의성향 및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umption Tendencies and the Conspicuous Consumption of the Adolescent Consumer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7 no.2 = no.98, 2009년, pp.139 - 153  

한성희 (인천대학교 소비자아동) ,  강이주 (인천대학교 소비자아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nsumption tendencies of the adolescent consumer and also identified factors that influence the adolescent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nsumption tendencie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a questionnaire completed by high school student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기춘(1985)에 따르면 청소년소비자는 어떤 소비자인가? 청소년소비자는 발달단계에서 아동소비자와 성인소비자의 중간에 위치하며 이들 간에 구별되는 생활양식과 소비의 특성을 지니는 소비자이다(이기춘, 1985). 청소년기는 신체적, 심리적인 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는 시기로 특히, 기대 자아개념과 실제 자아개념 사이의 불일치감이나 정서적 불안감을 경험하게된다.
과시소비란 무엇인가? 과시소비는 일반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함에 있어 상징성을 이용하여 지위를 획득하거나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타인에게 자신의 부를 과시할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과시소비의 구체적인 형태는 시대와 대상이 되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이미용, 1991; Mason, 1981) 과시소비의 문제점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사용에 있어 기능성이 아닌 상징성에 기반하여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부를 전시한다는데 있다.
Wiswed(1972)는 과시소비의 유형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Wiswed(1972)의 연구는 과시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과시소비를 폭넓게 개념 정의하였다. 그는 과시소비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첫째, 소비의 질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양적인 면에서 나타나는 과시소비를 제시하였다. 상류계층사회보다는 중류사회계층에서 더 뚜렷이 나타나는 소비성향으로 보상적인 소비생활패턴을 선호하는데서 과시소비의 원인을 찾는다. 둘째, 타인의 인정을 받기 위하여 신상품을 구입하려는 과시소비성향이 나타나며, 셋째, 높은 가격뿐만 아니라 낮은 가격의 재화를 구입함으로써도 과시소비가 나타난다고 하였다. 넷째, 상점 및 상표선택을 통한 과시소비로 소비자는 전문점에서 유명상표를 구매함으로써 타인으로부터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인정받고자 한다는 것이다(유두련,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권미화(2000).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의 합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문희(1996). 청소년 소비자의 과시소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민정(2001). 청소년의 상징적 소비서향과 충동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시월(1996). 초기 청소년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 오늘의 청소년, 112, 6-19 

  5. 김영숙(1990). 세대 간 가치의 차이점과 유사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영신(1991). 소비자문제의 유형별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인숙.정용선(1995). 세대별 소비지향태도와 소비자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33(5),39-49 

  8. 김지영(1998). 청소년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정숙(1999). 대학생의 과시소비 성향과 관련요인. 소비문화연구. 2(2), 43-65 

  10. 김태은(1997). 주부의 과시소비성향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혜인(2003). 한.일 청소년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비교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2. 김혜인.이승신(2003). 청소년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7), 145-156 

  13. 김흥복(2001).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류미현.이승신(1999). 어머니의 과시소비가 청소년소비자의 과시소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17(1), 33-44 

  15. 민현선(1991). 청소년소비자의 TV 광고 판별능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은아(1994). 자기존중감, 사회적인정욕, 돈에 대한 태도에 따른 현시적 소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지현(2006).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과시소비성향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백경미(1995). 도시주부의 과시소비성향과 영향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서정희.석봉화(1998). 청소년소비자의 물질주의 가치와 소비 지향적 태도가 과시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6(3), 131-143 

  20. 성영신(1994). 한국인의 그릇된 물질주의와 과시소비 유형.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21. 송은경(1997). 청소년소비자의 물질주의 및 과시소비성향과 관련요인-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2. 신현실(2002). 대학생의 물질주의 가치관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1(3), 223-235 

  23. 안길상(1991). 과소비의 소비학적 고찰. 한국소비자학회 월례발표논문 

  24. 양세정.한성희.이은화(2008). 남녀 대학생의 보상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1-14 

  25. 양희(1992). 청소년 소비생활문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오지현(2005). 대학생의 소비지향적 태도에 따른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오태희(2006). 고등학생의 과시소비성향과 진(jean) 브랜드 복제품의 구매행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유두련(1991). 가정생활환경의 변화와 소비자문제. 소비자학연구, 2(2), 41-54 

  29. 이기춘(1985). 소비자능력개발을 위한 소비자교육에 관한 연구-청소년소비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기춘.서정희(1988). 소비자능력과 소비자역할수행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6(1), 27-38 

  31. 이남숙.이윤금(1999). 대학생의 과시소비성향과 관련요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35, 19-29 

  32. 이득연(1993). 소비자교육 관련 교과서 내용 집필 방향: 제6차 교육과정 개편 대비. 서울: 한국소비자보호원 

  33. 이미용(1991). 과시소비 영향요인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승신(1998). 청소년소비자의 소비자능력이 과시소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8, 1-10 

  35. 이승신.류미현.정승은(1999). 어머니의 과시소비가 청소년 소비자의 과시소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2), 33-44 

  36. 이영희(2000). 청소년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관련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7. 이은정(2003). 남녀중학생의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은희(1999). 청소년 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과 관련요인-인천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1), 15-32 

  39. 장혜경(2005).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행동이 과시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0. 정민숙(1990). 청소년의 상표에 대한 이미지 및 선호도.충동 구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정지미(2003). 여성의 경제활동과 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과시적소비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편세린(1997). 청소년의 소비지향적 태도와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43. 한정석(1984). 청소년 소비의식. 소비자, 57, 19-27 

  44. 허경옥 외(2006). 소비자트렌드와 시장. 교문사 

  45. 황정선(1990). 소비자 구매행동유형별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소비생활연구, 5, 19-30 

  46. 내일신문(2005). 우리나라 청소년의 절반 가까이가 과시소비형. 2005-6-17 

  47. LaBabera(1988). The Nouveau Riche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Issue of Self-fulfillment.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 179-200 

  48. Leibenstein(1950). Bandwagon, Snob, and Veblen Effect in Theory of Consumer Pemand. Quarteily Journal of Economeis 65, 183-207 

  49. Mason(1981). Conspicuous Consumption: A Study of Exceptional Conspicuous Consumer Behavior. Gower Publishing Co. Ltd 

  50. Mammen & Whan(1987) Family conspicuous consumption and its determinants. American Council on Consumer Interests, 318 

  51. Wiswed(1972). Soziologie des Verbraucherverh-altens. Ferdinand Enke Verlag Stuttgar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