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재래식 메주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Meju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2, 2009년, pp.217 - 222  

최기순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과학과) ,  이호준 (한국식품연구원 유통연구단) ,  권동진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래식 메주의 산업화의 공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강원도 원주를 비롯한 전국 17개 지역에서 구입한 재래식 메주의 수분 등의 이화학적 성분, $\alpha$-amylase 등의 효소분석 및 생균수 등의 미생물 분석을 하였다. 전국에서 구입한 메주의 형태는 사각형의 벽돌 모양이 8개 지역, 9개지역은 둥근 모양을 띄고 있었다. 재래식 메주의 수분은 강원도 정선 메주가 최저 9.83%(w/w)인 반면 전북 정읍메주가 약 3.7배 많은 36.24%(w/w)를 나타내고 있었다. 조지방의 경우 무수물 기준으로 충북 청주에서 구입한 재래식 메주가 17.46%(w/w)로 가장 낮은 반면 전북 정읍에서 구입한 메주가 약 1.6배 많은 28.74%(w/w)를 나타내고 있었다. 조단백질의 경우 경기도 여주에서 구입한 메주가 무수물 기준으로 최저 42.00%(w/w)를 보인 반면 강원도 원주에서 구입한 메주가 45.54%(w/w)를 보이고 있었다. 재래식 메주의 숙성도를 나타내는 아미노태질소는 충북 제천시에서 구입한 메주가 무수물 기준으로 223.65 mg%인 반면 전북 김제의 메주가 약 5.6배 많은 1137.68 mg%를 나타내고 있었다. 재래식 메주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전북 김제에서 구입한 메주가 가장 어두운 색을 띄고 있어 기호도 측면에서 낮은 면을 보이고 있었다. 재래식 메주의 $\alpha$-amylase는 무수물 기준으로 $130.32{\sim}1254.45$ unit로 지역간에 약 9.6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beta$-amylase는 무수물 기준으로 $30.07{\sim}167.88$ unit로 지역에 따라 약 5.6배의 차이가 나고 있었다. 산성 protease는 무수물 기준으로 $72.53{\sim}340.04$ unit로 약 4.6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각 효소의 역가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재래식 메주의 생균수는 $4.8{\times}10^7{\sim}2.6{\times}10^{10}cfu/g$, 곰팡이 및 효모수는 $4.3{\times}10^4{\sim}7.9{\times}10^6cfu/g$으로 지역에 따라 메주의 균수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on Korean traditional meju collected in 17 regions of Korea, to define and control meju quality. The moisture, crude fat, crude protein, and amino nitrogen contents of meju were 9.83-36.24%(w/w), 17.46-28.74%(w/w), 42.00-45.54%(w/w), and 223.65-1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서 수집한 재래식 메주로부터 amylase 및 protease 등의 효소역가를 비롯한 이화학적 특성과 생균수 등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재래식 메주의 산업화 공정의 품질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코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주의 원료로 사용하는 콩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 메주는 우리나라의 전통발효식품인 간장, 고추장 및 된장 등 장류의 원료로 사용하는 대두발효식품이다(1-3). 메주의 원료로 사용하는 콩은 단백질과 지방질이 풍부하고 필수 아미노산과 필수 지방산이 높아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 단백질과 지방질의 공급원으로 오랫동안 섭취 되어온 중요한 원료이며(4) 콩을 원료로 한 메주는 재래식 장류 제조를 위한 중요한 starter로서 간장, 된장 및 고추장의 풍미와 위생적인 품질지표를 결정짓는 원료 소재이다(5).
메주는 무엇인가? 메주는 우리나라의 전통발효식품인 간장, 고추장 및 된장 등 장류의 원료로 사용하는 대두발효식품이다(1-3). 메주의 원료로 사용하는 콩은 단백질과 지방질이 풍부하고 필수 아미노산과 필수 지방산이 높아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 단백질과 지방질의 공급원으로 오랫동안 섭취 되어온 중요한 원료이며(4) 콩을 원료로 한 메주는 재래식 장류 제조를 위한 중요한 starter로서 간장, 된장 및 고추장의 풍미와 위생적인 품질지표를 결정짓는 원료 소재이다(5).
본 실험에서 재래식 메주의 조단백질의 경우 무수물 기준으로 어디서 구입한 것이 최저인가? 74%(w/w)를 나타내고 있었다. 조단백질의 경우 경기도 여주에서 구입한 메주가 무수물 기준으로 최저 42.00%(w/w)를 보인 반면 강원도 원주에서 구입한 메주가 45.54%(w/w)를 보이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H.H., Lee, K.H., Yook, H.S., Kim, J.H., Shin, M.G. and Byun, M.W. (1993)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grain shape improved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40-645 

  2. Lee, K.H., Kim, N.D. and Yoo, J.Y. (1997) Surve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raditional Meju for and of Kangjang (Korean soy sauce). Korean J. Soc. Food Sci. Nutr. 26, 390-396 

  3. Oh, H.I. and Park, J.M (1997)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a Meju of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 during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166-1174 

  4. Kim, J.S., Kim, J.G. and Kim W.J. (2004) Changes in isoflavone and oligo-saccharides of soybeans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94-298 

  5. Choi. U.K., Kim, M.Y., Lee, N.H., Jeong, Y.S. and Hwang, Y.H. (2007)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ju made with germinated soybean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04-308 

  6. Yoo, J.Y., Kim, H.G. and Kim, W.J. (1998) Physi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nges of traditional Meju during fermentation in Kangweondo a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08-915 

  7. Lee, S.S. (1995) Meju fermentation for a raw material of Korean traditional soy products. Korean J. Mycol., 23, 161-175 

  8. Lee, S.S., Yoon, Y.S. and Yoo, J.Y. (1996) The fungal isolates of Scopulariopsis collected from Korean home-made Mejus. Korean J. Mycol., 24, 329-336 

  9. Park, J.M., Lee, S.S. and Oh, H.I. (1995) Change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Me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8, 184-191 

  10. Park, J.M. and Oh, H.I (1995)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Me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56-62 

  11. Kim, D.H., Lim, D.W., Bai, S. and Chun, S.B.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meju model system inoculated with 4 Bacill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006-1015 

  12. Lee, M.S. (1978) Studies on the enzyme activities of fermented Korean native Meju. Korean J. Home Economy, 16, 33-41 

  13. Yoo, J.Y. and Kim, H.G. (1998)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ejus nation-wide collection. Korean J. Soc. Food Sci. Nutr., 27, 259-267 

  14. Kim, H.H., Yook, H.S., Kim, K.Y., Shin, M.G. and Byun, M.W. (2001)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extruded meju by the molding temperature. Korean J. Soc. Food Sci. Nutr., 30, 250-255 

  15. Yoo, J.Y. and Kim, H.G. (1998)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traditional Meju during fermentation at Sunchang area. Korean J. Soc. Food Sci. Nutr., 27, 448-454 

  16. Park, C.K. Joo, H.N. and Song, H.I. (1990) Studies on the shelf-life of the brick shape improved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82-87 

  17.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VA, Method 945.39 (moisture), Method 963.15 (crude protein), Method 979.09 (crude fat)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19. Von, W. (1993) Worthington enzyme mannual. Worthington Biochemical Corp., New Jersey, U.S.A. p.36-44 (amylase), p.349-340 (protease) 

  20. Difco Manual. (1984) Difco laboratories. 19th. (ed.), Detroit, Michigan, U.S.A. p.679 (PCA), p.689 (PDA). 

  21. Hwang, H.S., Kim, G.S., Kim, j., Lee, S.H. and Park, J.S. (2001) SAS Statistics analysis. Chung-Moon Publishing Co. Seoul, Korea., p.84-100 

  22. 농림부. (2006) 전통식품표준규격집, 농림부, p.10 

  2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1) : Food composition table. 6th e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Academic of Agricultural Science, Suwon, Korea, 04-01 

  24. Cho, D.H. and Lee, W.J. (1970) Microbiological studies of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A study on the microflora of fermented Korean Maeju loaves. J. Kor. Agri. Chem. Soc., 13, 35-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