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 비만아동의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아동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15 no.2, 2009년, pp.228 - 235  

정남옥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전미숙 (고산초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80 students 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honbuk Provinc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비만아동 280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 정도 및 이들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자기 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비만아동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법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알아보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건강증진행위를 돕는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은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2.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 Bandura, 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4. Choi, S. H. (2000). A proposal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overweight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1(2), 526-536. 

  5. Farrand, L. L., & Cox, C. L. (1993). Determinants of positive health behavior in middle childhood. Nursing Research, 42(4), 208-213. 

  6. Hwang, M. S. (2008).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self-efficacy, self-esteem, and body image between normal weight and obese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Nonsan. 

  7. Jung, S. D. (2006). Effects of obesity, physical self-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Masan. 

  8. Kang, M. J. (2005).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9. Kim, H. J. (2007).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and program induced self-participation of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self-efficacy in obesity and overweight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6(3), 130-136. 

  10. Kim, M. H. (2000). A study on the relations of health promoting daily life style and self-efficiency about boys' obe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1. Kim, S. H. (2007). A prediction mod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school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Kim, S. J., Yang, S. O., Jeong, G. H., & Lee, S. H. (2007). Lev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4),407-415. 

  13. Kim, Y. H. (2003).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obesity for primary school obese children at a local city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4. Kim, Y. U., & Nam, H. W. (2004).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ed helplessness of obese student according to the obese degre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3(5), 163-172. 

  15.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1). Clinical obesity. Seoul: Korea Mediacal Book Publisher. 

  16. Lee, J. I. (2001). A study on obese children'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 University, Gyeongsan. 

  17. Lee, K. H. (2002). A study on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related factors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8. Lee, Y. M., Schwarzer, R., & Jerusalem, M. (1994). Korean adaptation of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Retrieved October 2, 2007, from http://userpage.fu-berlin.de/~health/korean.htm 

  19.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II), 2005-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21. Oh, E. M. (2009). Obesity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2. Park, G. S., & Oh, S. H.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of childhood obes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0(2), 173-179. 

  23. Pender, N. J. (1982).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Norwalk, CT: Appleton-Century-Crofts. 

  24.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3rd ed.). Stamford, CT: Appleton & Lange. 

  25. Schwarzer, R., & Jerusalem, M. (1993). Generalized perceived self-efficacy scale. Retrieved October 2, 2007, from http://web.fuberlin.de/gesund/skalen/Language_Selection/Turkish/General_Perceived_Self-Efficac/hauptteil_general_perceived_self-efficac.htm 

  26. Wallston, K. A., Wallston, B. S., & DeVellis, R. (1978).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s. Health Education Monographs, 6, 161-170. 

  27. Wie, G. B. (2005). Analysis on the relativeness of the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1(2), 138-1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