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지 신호교차로의 교통사고 발생모형 - 청주시를 사례로 -
Traffic Accident Models of 3-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in the Case of Cheongju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4 no.2, 2009년, pp.94 - 99  

박병호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한상욱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태영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als with the traffic accidents at the 3-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in Cheongu. The goals are to analyze the geometric, traffic and operational conditions of intersections and to develop a various functional forms that predict the accidents. The models are developed through the cor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검증은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시 중요한 부분으로 교통사고 영향변수 선정에 있어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기 위한 것으로 교통사고에 대해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의 중복선정을 방지하고 변수들 간에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해서 확인함으로써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의 선정과 변수들 간의 상관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다2).
  • 본 연구는 청주시의 3지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도로 조건, 교통조건, 교통운영조건 등과 교통사고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모형 식을 도출하여, 도로 환경요인이 청주시 3지 신호교차로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청주시 3지 신호교차로 운영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이러한 쟁점에 따른 원인을 변수선정, 사고발생 모형개발 및 결과해석을 통해 정리하고자 한다.
  •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청주시 3지 신호교차로 운영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건설교통부, ‘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업무편람 작성연구’, 건설교통부, p.133, 2002 

  2. 강명욱, ‘회귀분석 모형개발과 진단’, 율곡출판사, pp.56-57, 1996 

  3. 박병호, 한상욱, 양정모, 박정순, '차량 방향전환 유형에 따른 사고모형',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지 '국토계획', 제47권, 제7호, pp.183-194, 2007 

  4. 이명세, ‘신경망을 이용한 도로안전성 예측모형개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5. 하오근, ‘국도변 신호교차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사고예측모형개발과 심각도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37-48, 2005 

  6. 홍정열, ‘신호교차로에서의 사고 예측모델개발 및 위험수준결정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57-69, 2002 

  7.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7년도 청주시 전자교통신호체계 운영자료 및 교통량조사자료’, 2008 

  8. Hauer, E and Lovell, J, 'Estimation of safety at signalized intcrsection'. Transportation Rcsearch Record,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185,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 23-29,1988 

  9. Hoong Chor Chin.Mohammed Abdul Quddus, ‘Apply-ing the random effect negative binomial model to examine traffic accident occurrence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35 pp. 253-259, 2003 

  10. M. Parillo Mayora, Rafael Bojorquez, Alberto Camarero Orive, 'Refinement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for the Spanish National Network', (TRB)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5th Annual Meeting, January, 2006 

  11. Simon P. Washington, Matthew G. Karlaftis, Fred L. Mannering, 'Statistical and Econome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Washington, HALL/CRC, pp.241-254,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