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커피박 추출물이 간고등어의 저장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asted Ground Coffee Residue Extract on Shelf-life and Quality of Salted Mackere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6, 2009년, pp.780 - 786  

송유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진율 (동서식품 창원공장) ,  이소영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꽃봉우리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서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소영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소정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청조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커피박항산화능을 확인하고 커피박의 새로운 용도를 개발하고자 지질산화로 인한 선도저하가 문제시 되는 간고등어의 제조에 커피박 열수 추출물을 천연항산화제로 이용하였다. 먼저, 커피박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4{\sim}0.4\;mg/mL$ 농도에서 약 92%의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유지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커피박 열수 추출물 5, 10 및 15%를 염수에 첨가하여 간고등어를 제조한 후, $4^{\circ}C$에 15일간 저장하면서 산화도, VBN, pH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5% 커피박 열수 추출물 처리구가 저장기간 내내무처리구에 비해 낮은 산화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VBN 함량은 10일까지는 시험구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다가 급격한 산화가 시작된 저장 15일에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pH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실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 0일과 5일에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향, 맛 그리고 전체적인 호감도항목에서 10과 15% 커피박 열수 추출물 처리구가 높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15% 커피박 열수 추출물 처리를 통해 간고등어의 산화도가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관능적 품질이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커피박열수 추출물을 간고등어와 같이 빠른 지질산화로 인한 저장성 및 품질저하를 유발하는 식품에 천연 항산화제로써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 novel application for roasted ground coffee residue, hot water extract of roasted ground coffee residue was used in manufacturing salted mackerels. First,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roasted ground coffee residue extract was measured. As a result, roasted ground coffee residue ex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BN 측정을 통해 커피박 추출물이 간고등어의 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Fig.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커피 생산 공장에서 발생한 커피박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 간고등어에 커피박 열수 추출 물을 첨가하여 지방산화 억제를 통한 저장성 연장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커피박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커피 열수 추출액의 수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면서 커피박의 생성량이 점차 감소(18)하고 있기는 하지만, 원료의 약 46%를 차지하는 커피박은 여전히 그 처리방법이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커피박은 커피 생산 공장의 보일러 연료원으로 공급되며, 일부가 토양 비료 및 동물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피박의 이 용용도를 넓히기 위해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버섯 자실체 생산을 위한 기질로 커피박을 이용(19)하거나 폐수 중의 중 금속과 유기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 개발하기 위 한 연구가 국내에서 이루어졌다(20).
커피박은 무엇인가? 커피박은 커피 열수 추출물의 제조공정에서 생기는 추출 잔사로, 1 kg의 커피 열수 추출물 당 약 0.91 kg이 생성된다 (18).
본 연구에서 간고등어의 VBN의 측정은 식품공전상의 Conway법을 이용하였는데 그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VBN의 측정은 식품공전상의 Conway법을 이용하였다 (23). 잘게 세절한 고등어를 10 g씩 취하여 증류수 50 mL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5분 교반, 10분 정치를 두 번 반복하여 30분간 침출하였다. 여과지로 침출액을 여과한 후 5% H2SO4로 pH 4.0으로 보정하고 100 mL로 정용하였다. Conway unit 외실의 아래쪽에 전 처리한 시료 1 mL를 넣은 다음 내실에 0.01 N H2SO4 1 mL를, 외실에는 K2CO3 포화용 액 1 mL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클립을 채워 25oC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내실에 brunswik 시액을 한 방울 첨가하고 미량 수평 뷰렛을 사용하여 0.01 N NaOH 용액으로 적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Garcia DJ. 1998. Omega-3 long-chain PUFA nutraceuticals. Food Technol 52: 44-49 

  2. Hong JY, Nam HS, Huh SM, Shin SR. 2008. Changes on the Rheology of salted mackerel by treatment of Korean herbal extracts and method of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2: 578-582 

  3. Jung BM, Chang GH, Jang MS, Shin SU.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tron treated mackerel oil and fille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74-579 

  4. Lee YK, Lee HS. 1990. Effects of onion and ginger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during frozen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19: 321-329 

  5. Yoon KY, Hong JY, Kim MH, Cho YS, Shin SR. 2007.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alted makerel treated extracts of edible plant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4: 439-444 

  6. Shin SR, Hong JY, Nam HS, Huh SM, Kim KS. 2006. Chemical changes of salted mackerel by Korean herbal extracts treatment and storage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3: 18-23 

  7. Almeida AAP, Farah A, Silva DAM, Nunan EA, Gloria MBA. 2006. Antibacterial activity of coffee extracts and selected coffee chemical compound against Enterobacteria. J Agric Food Chem 54: 8738-8743 

  8. Rufian-Henares JA, Morales FJ. 2007.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coffee melanoidins. J Agric Food Chem 55: 1480-1485 

  9. Daglia M, Racchi M, Papetti A, Lanni C, Govoni S, Gazzani G. 2004. In vitro and ex vivo antihydroxyl radical activity of green and roasted coffee. J Agric Food Chem 52: 1700- 1704 

  10. Castillo MDD, Ames JM, Gordon MH. 2002. Effect of roast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 brews. J Agric Food Chem 50: 3698-3703 

  11. Anese M, Nicoli MC. 2003. Antioxidant properties of ready-to-drink coffee brews. J Agric Food Chem 51: 942-946 

  12. Cros E, Fourny G, Vincent JC. 1985. Tocopherols of coffee, determination by HPLC and antioxidant role. 11th International scientific colloquium on coffee, Lome. p 236 

  13. Moreira DP, Monteiro MC, Ribeiro-Alves M, Donangelo CM, Trugo LC. 2005. Contribution of chlorogenic acids to the iron-reducing activity of coffee beverages. J Agric Food Chem 53: 1399-1402 

  14. Delgado-Andrade C, Rufian-Henares JA, Morales FJ. 2005. Assess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lanoidins from coffee brews by different antioxidant methods. J Agric Food Chem 53: 7832-7836 

  15. Borrelli RC, Visconti A, Mennella C, Anese M, Fogliano V. 2002.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ffee melanoidins. J Agric Food Chem 5: 6527-6533 

  16. Rhi JW, Shin HS. 1993. Antioxidative effect of brown materials extracted from roasted coffee be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220-224 

  17. Trugo LC, Macrae R. 1984. Chlorogenic acid composition of instant coffees. Analyst 109: 263-266 

  18. Silva MA, Nebra SA, Machado Silva JM, Sanchez CG. 1998. The use of biomass residues in the brazilian soluble coffee industry. Biomass Bioenergy 14: 457-467 

  19. Song CH, Lee CH, Huh TL, Ahn JH, Yang HC. 1993. Development of substrates for the production of basidiocarps of Flammulina velutipes. Kor J Mycology 21: 212-216 

  20. Lee HS, Kang JW, Yang WH, Zong MS. 1998. A study on preparation on adsorbent from coffee grounds and removal of trichloroethylene in water treatment. Kor J Env Hlth Soc 24: 20-31 

  21. Yen WJ, Wang BS, Chang LW, Duh PD. 2005. Antioxidant properties of roasted coffee residues. J Agric Food Chem 53: 2658-2663 

  2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3.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Official Book for Food. Seoul, Korea. p 221-222 

  24. Choe YO, Min DB. 2005. Chemistry and reactions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foods. J Food Sci 70: 142-159 

  25. Jang JK, Han JY. 2002.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24-528 

  26. Lee JM, Chang PS, Lee JH. 2007. Comparison of oxidative stability for the thermally-oxidized vegetable oils using a DPPH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133-137 

  27. Kim SM, Cho YS, Sung SK, Lee IG, Lee SH, Kim DG. 2002.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13-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