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커피박 열수추출물로 제조한 식혜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ikhe prepared using Hot Water Extracts of Roasted Coffee Ground Residu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4, 2014년, pp.470 - 476  

박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커피 음료 제조시 생성되는 커피박의 식품자원화에 대한 기초연구로써, 전통 식품인 식혜에 적용하기 위하여, 커피박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식혜의 당화 과정 중 품질 변화와 항산화 활성 및 저장 중 미생물 변화를 조사하였다. CR 함유 식혜는 대조구에 비해 pH가 높았으며, 당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의 pH는 증가하였다. 당화 완료 시점인 5시간에는 대조구와 CR 첨가구의 pH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산도는 0.06-0.08%의 범위 내에서 변동은 있었으나, CR 농도별 및 당화 시간에 따른 뚜렷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동일 당화 시간에서는 CR 농도가 높을수록 환원당의 함량은 높았고, 동일 시료에서는 당화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다. 당화 5시간에서는 CR-0.8과 CR-1.0의 환원당은 각각 48.66, 47.24 mg/mL를 나타내어 대조구(45.10 mg/mL)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당화 시간이 경과할수록, CR 첨가 식혜는 대조구에 비해 어둡고, 적색도 및 황색도가 증가하였으며, CR의 농도가 높을수록 이러한 경향은 뚜렷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CR을 함유한 식혜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CR 농도 비율이 증가될수록 높았다. 특히, CR-1.0은 대조구에 비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약 3배 이상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아질산염 소거능은 CR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CR-1.0은 대조구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약 3배이상, 아질산염 소거능은 약 3.8배 이상 증가하였다. CR 첨가 식혜의 종합적 기호도는 CR-1.0(3.04)을 제외한 나머지 CR 첨가구는 모두 대조구(3.32)보다 높았으며 특히, CR-0.6은 종합적 기호도 뿐만 아니라, 맛, 색, 향에서도 가장 높은 평가를 나타내었다. $4^{\circ}C$에서 20일 동안 저장한 식혜의 일반세균수를 조사한 결과, 대조군은 $10^3CFU/mL$이었고, CR을 첨가한 식혜는 $10^1-10^2CFU/mL$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ikhe prepared us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hot water extracts roasted coffee ground residue (CR-sikhe; 0.2, 0.4, 0.6, 0.8, and 1.0%). The pH increased with increasing CR concentration. The reducing sug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폐기물로 간주되고 있는 커피박을 식품자원화하여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전통음료인 식혜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커피박 열수 추출물(CR)을 첨가한 식혜의 당화 과정 중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 식혜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 커피 음료 제조 시 생성되는 커피 박의 식품자원화에 대한 기초연구로써, 전통식품인 식혜에 적용하기 위하여, 커피박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식혜의 당화 과정 중 품질 변화와 항산화 활성 및 저장 중 미생물 변화를 조사하였다. CR 함유 식혜는 대조구에 비해 pH가 높았으며, 당화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의 pH는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피의 항산화 활성은 어떤 물질에 의해 나타나는가? 최근 커피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커피의 항균(1), 항고혈압(2) 및 항산화 활성(3-5) 등이 보고되었다. 커피의 항산화 활성은 커피 원두에 함유된 토코페롤(6), chlorogenic acid(7)나 커피를 볶는 과정에서 Maillard 반응으로 형성된 중합 물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9). 볶은 커피콩에는 탄수화물(38-42%), melanoidins (23%), 지질(11-17%), 단백질(10%), 미네랄(4.
볶은 커피콩에는 어떤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가? 커피의 항산화 활성은 커피 원두에 함유된 토코페롤(6), chlorogenic acid(7)나 커피를 볶는 과정에서 Maillard 반응으로 형성된 중합 물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9). 볶은 커피콩에는 탄수화물(38-42%), melanoidins (23%), 지질(11-17%), 단백질(10%), 미네랄(4.5-4.7%), chlorogenic acid (2.7-3.1%), 지방산(2.4-2.5%), caffeine (1.3-2.4%) 등을 비롯하여 기타 850종 이상의 휘발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10). 커피박(폐원두박)은 커피 열수 추출물의 제조공정에서 생기는 추출 잔사로, 1 kg의 커피 열수 추출물 당 약 0.
커피박 열수추출물 첨가 식혜의 당화 과정 중 pH 변화는 어떠한가? 커피박 열수추출물(이후 CR로 표기하겠음) 첨가 식혜의 당화 과정 중 pH, 산도 및 환원당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당화 전 식혜의 pH는 CR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대조구의 경우, 당화 1시간 경과시 6.39에서 6.56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당화 1시간 이후에는 6.60-6.62로, 당화 시간 경과에 따른 뚜렷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CR 첨가구도 당화 시간 경과함에 따라 pH는 서서히 증가하였다. 당화 5시간째 CR 첨가구의 pH는 6.55-6.64의 범위를 나타내어 대조구(pH 6.62)와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산도는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lmeida AAP, Farah A, Silva DAM, Nunan EA, Gloria MBA. Antibacterial activity of coffee extracts and selected coffee chemical compound against Enterobacteria. J. Agr. Food Chem. 54: 8738-8743 (2006) 

  2. Rufian-Henares JA, Morales FJ.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coffee melanoidins. J. Agr. Food Chem. 55: 1480-1485 (2007) 

  3. Daglia M, Racchi M, Papetti A, Lanni C, Govoni S, Gazzani G. In vitro and ex vivo antihydroxyl radical activity of green and roasted coffee. J. Agr. Food Chem. 52: 1700-1704 (2004) 

  4. Castillo MDD, Ames JM, Gordon MH. Effect of roast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 brews. J. Agr. Food Chem. 50: 3698-3703 (2002) 

  5. Anese M, Nicoli MC. Antioxidant properties of ready-to-drink coffee brews. J. Agr. Food Chem. 51: 942-946 (2003) 

  6. Rhi JW and Shin H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tioxidant fractions extracted from freeze-dried coffee by various solv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09-116(1996) 

  7. Moreira DP, Monteiro MC, Ribeiro-Alves M, Donangelo CM, Trugo LC. Contribution of chlorogenic acids to the iron-reducing activity of coffee beverages. J. Agr. Food Chem. 53: 1399-1402 (2005) 

  8. Delgado-Andrade C, Rufian-Henares JA, Morales FJ. Assess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lanoidins from coffee brews by different antioxidant methods. J. Agr. Food Chem. 53: 7832-7836 (2005) 

  9. Borrelli RC, Visconti A, Mennella C, Anese M, Fogliano V.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ffee melanoidins. J. Agr. Food Chem. 5: 6527- 6533 (2002) 

  10. Esquivel, P. and V. M. Jimenez. Functional properties of coffee and coffee by-products. Food Res. Int. 46: 488-495 (2012) 

  11. Silva MA, Nebra SA, Machado Silva JM, Sanchez CG. The use of biomass residues in the brazilian soluble coffee industry. Biomass Bioenerg. 14: 457-467 (1998) 

  12. Yen WJ, Wang BS, Chang LW, Duh PD. Antioxidant properties of roasted coffee residues. J. Agr. Food Chem. 53: 2658-2663(2005) 

  13. Song EJ, Kim JY, Lee SY, Kim KBWR, Kim SJ, Yoon SY, Lee SJ, Lee CJ, Ahn DH. Effect of Roasted ground coffee residue extract on shelf-life and quality of salted macker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80-786 (2009) 

  14. Yoo KM, Song MR, Jung JE. Prepar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ocolate with added coffee waste. Korean J. Food Nutr. 24: 111-116 (2011) 

  15. Lee CH, Kim SY. Literature review on the Korean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I. Types and processing methods. Korean J. Food Culture 6: 43-54 (1991) 

  16. Park SI. Application of green tea powder for sikhe preparation. Korean J. Food Nutr. 19: 227-233 (2006) 

  17. Kim HH, Park GS, Jeon J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sikhe prepared with extracts from Hovenia dulcis THUNB. Korean J. Food Cook. Sci. 23: 848-857 (2007) 

  18. Hur SS. Change in the composition of ginseng sikhye during the saccharification process. Korean J. Food Preserv. 14: 650-654 (2007) 

  19. Min SH.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 prepar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216-223 (2009) 

  20. Cho KM, Joo OS. Manufacture of sikhe (a traditional Korean baverage) using corn silk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7: 644-651 (2010) 

  21. Lee JH. Quality of sikhe incorporated with hot water extract of omija(Schisandra chinensis baillon) fruit. Food Eng. Prog. 15: 80-84 (2011) 

  22. An YH, Lee IS, Kim H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with varied levels of sweet pumpkin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 Sci. 27: 803-814 (2011) 

  23. Kim J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ae with mulberry fruit. Korean J. Culinary Res. 18: 206-215 (2012) 

  24. Hwang SH, Chung CH. Production of sikhae fermented beverage using a dextran producin isolate from kimchi and takju yeas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82-87 (2011) 

  25. Lee MW, Lee YH.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prepared with puffed rice powder during saccharific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553-558 (2012) 

  26. Lee WJ, Kim SS. Preparation of sikhe with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6-150 (1998) 

  27. Kim MR, Seo JH, Heo OS, Oh SH, Lee K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commercial sikh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28-732 (2002) 

  28. The Korea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yoil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51-152 (2000) 

  29. Singleton VL, Joseph A, Rossi J.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ibdic-phosphotungsit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965) 

  30. Saleh ES, Hameed A. Total phenolic cont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ertain Egyptian Ficus species leaf samples. Food Chem. 114: 1271-1277 (2008) 

  31.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32.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 Biol. Chem. Tokyo. 51: 1333-1338 (1987) 

  33. Yen GC, Duh PD, Tsai HL.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Food Chem. 79: 307-313 (2002) 

  34. Jeong SI, Yu HH.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 prepared with the roots powder of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59-765 (2013) 

  35. Kim JY. Food materialization of spent coffee ground extracts and variation of coffee antioxidant ability according to extraction process.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008) 

  36. Choi YH, Kim SE, Huh J, Han YH, Lee MJ. Antibacteria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oasted coffee and red ginseng mixtur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320-326 (2012) 

  37. Ibrahim SA, Salameh MM, Phetsomphou S, Yang H, Seo CW. Application of caffeine, 1,3,7-trimethylxantine to control Escherichia coli O157:H7. Food Chem. 99: 654-650 (2006) 

  38. Baranowski JD, Nagel CW. Inhibition of Pseudomonas fluorescens by hydroxycinnamic acids and their alkyl esters. J. Food Sci. 47: 1587-1589 (1982) 

  39. Herald PJ, Davidson PM. Antibacterial activity of selected hydroxycinnamic acids. J. Food Sci. 48: 1378-1379 (1983) 

  40. Garrote G, Cruz JM, Moure A, Dominguez H, Parajo JC. Antioxidant activity of byproducts from the hydrolytic processing of selected lignocellulosic materials. Trends Food Sci. Tech. 15: 191-200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