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커피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커피박으로 침출주를 제조함으로써 커피박의 산업적 활용 가치 재고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커피박의 항산화 활성과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 비교하기 위하여 커피와 커피박을 각각 25%와 35% 담금술에 침지하여 CL, CGL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담금술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상대적으로 CGL가 CL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기호도를 보였다. 기호도가 높은 CGL와 기호도가 낮은 CL의 항산화 활성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동량의 건조물을 이용해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페놀 함량 분석 결과 35% CGL(1개월)이 $1,000{\mu}g/mL$에서 169.5 mg GAE/g of dried extract으로 가장 높게 나왔고, 항산화 활성 실험 결과 CE와 CL, CGL 모두 유사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FRAP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커피 가공 부산물인 커피박에도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FRAP 활성을 유도하는 phytochemical로서의 생리활성 물질이 잔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커피박에도 커피와 유사하게 생리활성 물질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동량의 건조물을 이용해 HPLC 정성 정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CGL(35.0~38.5 mg/g of dried extract)는 CE(34.9 mg/g of dried extract)에 비해 클로로겐산 함량이 0.3~10.5% 가량 더 많았고, CGL(39.2~42.1 mg/g of dried extract)는 CE(35.6 mg/g of dried extract)에 비해 카페인 함량이 10.0~18.2% 가량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커피 가공 부산물인 커피박이 대표적인 생리활성 물질로 알려진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함유하고 있어 커피와 유사한 라디칼 소거활성 등 in vitro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침출주의 경우 커피 대비 기호도도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산업적으로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nsory evaluation,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and main compounds of coffee water-extract, coffee liqueur (CL) and coffee-ground liqueur (CGL) were investigated to consider their industrialization.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all groups of CGL without 25% CGL (3 month) were relatively hig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커피 산업의 발달로 인해 다량 발생되어지는 가공 부산물인 커피박의 산업적 활용 가치 재고를 위해 수행되었다. 커피와 커피박을 이용하여 침출주의 알코올 함량(25, 35%)과 숙성기간(1, 2, 3개월)을 달리하여 커피 침출주와 커피박 침출주를 각각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함과 동시에 동량의 건조물을 이용해 in vitro 항산화 활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클로로겐산은 커피 100g당 몇 g이 존재하는가? 또한 폴리페놀계 (ployphenol)의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익산 (caffeic acid)과 비폴리페놀계(nonpolyphenol)의 카페인 (caffeine), 트리고넬린(trigonelline), 니코틴산(nicotinic acid), 5 hydroxymethyl furfuraldehyde 등과 같은 항산화물질의 존재가 보고되어 있다(9). 클로로겐산은 커피의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 일반적으로 커피 100 g 안에 2~5 g의 클로로겐산이 존재하며 사람과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항산화활성을 확인(10)하였고 카페인은 도파민성 뉴런의 생존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신경 영양성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능력을 통해 도파민 시스템의 상태를 개선(11)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적으로 하루 평균 22억 잔이 넘게 소비되는 커피의 세계 소비량은 2012년 기준 1억 4,200만 자루로 2008년 대비 6.
생체에서 생성되는 ROS를 조절하는 체내 물질은? 활성산소는 인체 내의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도 소량 생성되어지고 세포 기능유지에도 일부 필요하지만, 환경오염이나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 스트레스, 비만 등에 의하여 생성량이 증가하거나 인체 내 제거 시스템의 기능이 약화되는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상승을 유도하여 세포의 생존에 필수적인 에너지 (ATP)를 생성하는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켜 세포의 기능 장애와 세포사멸을 야기한다(3,4). 일반적으로 생체에서 생성되는 ROS는 체내에 존재하는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glutathione-peroxide(GSH-px), 비타민 E 등과 식품소재 내의 항산화 물질 등에 의하여 조절된다(3). 따라서 천연 항산화 효과를 가진 식용 자원의 발굴과 관련 소재의 개발은 고부가가치 식품 산업에서의 활용도가 높으므로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5).
커피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은? 하루 2~3잔의 커피 섭취는 일반 성인의 건강에 항산화 효과와 같은 여러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각성효과와 기분전환 등의 정신적인 효과는 물론 뇌 수용체에 작용해 활성산소를 감소시켜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 등의 뇌 질환과 대사성 질환의 위험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도 보고되었다(6-8). 또한 폴리페놀계 (ployphenol)의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익산 (caffeic acid)과 비폴리페놀계(nonpolyphenol)의 카페인 (caffeine), 트리고넬린(trigonelline), 니코틴산(nicotinic acid), 5 hydroxymethyl furfuraldehyde 등과 같은 항산화물질의 존재가 보고되어 있다(9). 클로로겐산은 커피의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 일반적으로 커피 100 g 안에 2~5 g의 클로로겐산이 존재하며 사람과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항산화활성을 확인(10)하였고 카페인은 도파민성 뉴런의 생존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신경 영양성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능력을 통해 도파민 시스템의 상태를 개선(11)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Tanaka H, Dinenno FA, Monahan KD, Clevenger CM, Desouza CA, Seals DR (2000) Aging, habitual exercise, and dynamic arterial compliance. Circulation, 102, 1270-1275 

  2. Wiseman H (1996) Dietary influences on membrane function: Importance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disease. J Nutr Biochem, 7, 2-15 

  3. Lodovici M, Guglielmi F, Meoni M, Dolara P (2001) Effect of natural phenolic acids on DNA oxidation in vitro. Food Chem Toxicol, 39, 1205-1210 

  4. Kim SH, Choi HJ, Oh HT, Chung MJ, Cui CB, Ham SS (2008) Cytoprotective effect by antioxidant activity of Codom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thyl acetate fraction in human HepG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96-701 

  5. Kang HJ, Mok JY, Cho JK, Jeon IH, Kim HS, Park JM, Jeong SI, Shim JS, Jang SI (2012) Protective effects of leaf and flower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oxidative damage in normal human erythrocytes and plasma. Kor J Pharmacogn, 43, 66-71 

  6. Dorea J, da Costa T (2005) Is coffee a functional food?. Bt J Nutr, 93, 773-782 

  7. Higdon JV, Frei B (2006) Coffee and health: A review of recent human research. Crit Rev Food Sci, 46, 101-123 

  8. Lim DH, Kim WK, Lee MG, Heo HJ, Chun OK, Kim DO (2012) Evidence for protective effects of coffees on oxidative stress induced apoptosis through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s. Food Sci Biotechnol, 21, 1735-1744 

  9. Borrelli RC, Visconti A, Mennella C, Anese M, Fogliano V (2002)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ffee melanoidins. J Agric Food Chem, 50, 6527-6533 

  10. Farah A, Donangelo CM (2006) Phenolic compounds in coffee. Braz J Plant Physiol, 18, 23-36 

  11. Martyn C, Gale C (2003) Tobacco, coffee, and Parkinson’s disease. BMJ, 326, 561-562 

  12. Kim YW, Choi YS, Han JS (2013) A study on the food-related lifestyle and their impacts on coffee product consumption behaviour of franchised coffee brands. Kor Aca Soc Tour Manage, 28, 285-303 

  13. Rim SH, Zong MS, Park SH (1995) A study on removal of Pb, Cr, Cd in wastewater using exhausted coffee. J Environ Health sci, 21, 21-28 

  14. Lee HS, Kang JW, Yang WH, Zong MS (1998) A study on preparation of adsorbent from coffee grounds and removal of trichloroethylene in water treatment. J Environ Health Sci, 24, 20-31 

  15. Lee SB, Kim HJ, Lee JD (2010) Optimum solvent for oil extraction from cellulosic wastes. J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27, 137-143 

  16. Silva MA, Nebra SA, Machado Silva MJ, Sanchez CG (1998) The use of biomass residues in the brazilian soluble coffee industry. Biomass and Bioenergy, 14, 457-467 

  17. Gibson EL (2006) Emotional influences on food choice: sensory,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pathways. Physiol Behav, 89, 53-61 

  18. Kim DO, Jeong SW, Lee CY (2003)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phytochemicals from various cultivars of plums. Food Chem, 81, 321-326 

  19.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0, 3713-3717 

  20. Kim HY, Woo KS, Hwang IG, Lee YR, Jeong HS (2008)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66-170 

  21. Othman A, Ismail A, Ghani NA, Adenan I (2007)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 content of cocoa beans. Food Chem, 100, 1523-1530 

  22. Kim JY, Han YS (2009) Influence of roasting time on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offee extract. Korean J Food Cook Sci, 25, 496-505 

  23. Bravo L (1998) Polyphenols: chemistry, dietary sources, metabolism, and nutritional significance. Nutr Rev, 56, 317-333 

  24. Pyo YH, Lee TC, Logendra L, Rosen RT (2004)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Swiss chard (Beta vulgaris subspecies cycla) extracts. Food Chem, 85, 19-26 

  25. Choi YH, Kim SE, Huh J, Han YH, Lee MJ (2012)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oasted coffee and red ginseng mixtur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320-326 

  26.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27.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8. Fujioka K, Shibamoto T (2008) Chlorogenic acid and caffeine contents in various commercial brewed coffees. Food Chem, 106, 217-221 

  29. Farah A, Monteiro M, Donangelo CM, Lafay S (2008) Chlorogenic acids from green coffee extract are highly bioavailable in humans. J Nutr, 138, 2309-2315 

  30. Link A, Balaguer F, Goel A (2010) Cancer chemoprevention by dietary polyphenols: Promising role for epigenetics. Biochem Pharmacol, 80, 1771-1792 

  31. Higgins GA, Grzelak ME, Pond AJ, Cohen-Williams ME, Hodgson RA, Varty GB (2007) The effect of caffeine to increase reaction time in the rat during a test of attention is mediated through antagonism of adenosine $A_{2A}$ receptors. Behav Brain Res, 185, 32-42 

  32. Crozier TWM, Stalmach A, Lean MEJ, Crozier A (2012) Espresso coffees, caffeine and chlorogenic acid intake: potential health implications. Food Funct, 3, 30-33 

  33. Robertson D, Frolich JC, Carr RK, Watson JT, Hollifield JW, Shand DJ, Oates JA (1978) Effect of caffeine on plasma renin activity, Catecholamines and blood pressure. N Engl J Med, 298, 181-186 

  34. Ullah F, Ali T, Ullah N, Kim MO (2015) Caffeine prevent D-galactose-induced cognitive deficits, oxidative stress, neuroinflammation and neurodegeneration in the adult rat brain. Neurochem Int, 90, 114-124 

  35. Lee HW (2000) The study on caffeine containing foods and the effect of caffeine in human. Culinary Science Hospitality Reserach, 6, 343-355 

  36. Yen WJ, Wang BS, Chang LW, Duh PD (2005) Antioxidant properties of roasted coffee residues. J Agric Food Chem, 53, 2658-26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