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로부터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Weissella 속 균주의 분리, 동정 및 특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eissella Strains with High Ornithine Producing Capacity from Kimchi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5 no.4, 2009년, pp.339 - 345  

유진주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형주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수곤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오석흥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로부터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2개의 젖산균주(OK1-4, OK1-6)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 양성, 단간균이었으며, 혐기적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였다. MRS 배지에서 $25\sim37^{\circ}C$ 범위와 pH 6.0~7.0 범위에서 잘 자랐으며, 성장을 위한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pH 6.5이었다. 분리된 젖산균주는 L-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리보오스, 글루코오스 등의 당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고, cellobiose, galactose, raffinose, trehalsoe는 분해하지 못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분리된 균주는 유전자은행에 등재되어 있는 Weissella koreensis S5623(AY035891)의 염기서열과 각각 99.6%와 99.7%의 서열 동질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생화학적 특성과 염기서열 분석결과를 토대로 분리된 균주를 Weissella koreensis OK1-4와 Weissella koreensis OK1-6로 각각 명명하였다. 이들 균주의 오르니틴 생성능력은 1% 아르기닌이 첨가된 MRS 배지에서 각각 27.01와 31.41 mg/L/h 이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우리김치로부터 분리된 Weissella 속 균주의 오르니틴 생성에 관한 최초의 보고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lactic acid bacteria (LAB) with high ornithine-producing capacity were isolated from kimchi. Examination of the biochemical features using an API kit indicated that the strains belonged to the members of Weissella genus. They were gram positive, short rod-type bacteria, and able to grow anaero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고유의 김치로부터 오르니틴 생성능력이 있는 젖산균의 분리, 동정 및 특성 등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김치 젖산균의 생리활성물질 생성능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우리김치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발효식품유래의 오르니틴 생성 미생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 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고유의 김치로부터 오르니틴 생성능력이 있는 젖산균의 분리, 동정 및 특성 등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김치 젖산균의 생리활성물질 생성능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우리김치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발효식품유래의 오르니틴 생성 미생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젖산균주는 무엇을 분해할 수 있는가? 5이었다. 분리된 젖산균주는 L-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리보오스, 글루코오스 등의 당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고, cellobiose, galactose, raffinose, trehalsoe는 분해하지 못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분리된 균주는 유전자은행에 등재되어 있는 Weissella koreensis S5623(AY035891)의 염기서열과 각각 99.
김치로부터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균주는? 김치로부터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2개의 젖산균주(OK1-4, OK1-6)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 양성, 단간균이었으며, 혐기적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였다.
2개의 젖산균주(OK1-4, OK1-6)는 어떤 균이며 무엇을 생성하는가? 김치로부터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2개의 젖산균주(OK1-4, OK1-6)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 양성, 단간균이었으며, 혐기적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였다. MRS 배지에서 $25\sim37^{\circ}C$ 범위와 pH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rena, M.E., F.M. Saguir, M.C. Manca, and M. Nadra. 1999. Arginine, citrulline and ornithine metabolism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wine. Int. J. Food Microbiol. 52, 155-161 

  2. Baum, G., L.Y. Simcha, Y. Fridmann, T. Arazi, H. Katsnelson, and M. Zik. 1996. Calmodulin binding to glutamate decarboxylase is required for regulation and GABA metabolism and normal development in plants. EMBO J. 15, 2988-2996 

  3. Behr, J., M.G. Ganzle, and R.F. Vogel. 2006. Characterization of a highly hop-resistant Lactobacillus brevis strain lacking hop transport. Appl. Environ. Microbiol. 72, 6483-6492 

  4. Choi, H.J., C.I. Cheugh, S.B. Kim, J.C. Lee, D.W. Lee, S.W. Choi, J.M. Park, and Y.R. Byun. 2002. Weissella kimchii sp. nov., a novel lactic acid bacterium from kimchi.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507-511 

  5. Evain-Brion, D., M. Donnadieu, M. Roger, and J. Job. 1982. Simultaneous study of somatotrophic and corticotrophic pituitary secretions during ornithine infusion test. Clinical Endocrinol. 17, 119-122 

  6. Han, H.L. 1991. The ecology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Microbiol. 7, 68-75 

  7. Hur, H.J., K.W. Lee, H.Y. Kim, D.K. Chung, and H.J. Lee. 2006. In vitro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of cellular fra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bifidobacteria. J. Microbiol. Biotechnol. 16, 661-666 

  8. Jeevanandam, M., N.I. Holaday, and S.R. Petersen. 1996. Ornithine- $\alpha$ -ketoglutarate (OKG) supplementation is more effective than its component salts in traumatized rats. J. Nutrition 126, 2141-2150 

  9. Kim, J.H., M.J. Kwon, S.Y. Lee, J.D. Ryu, G.S. Moon, H.S. Cheigh, and Y.O. Song. 2002. The effect of Kimchi intake on production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tivies in the liver of s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09-116 

  10. Kim, S.H., J.Y. Yang, S.A. Kang, H.K. Chun, and K.Y. Park. 2007.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for Korean kimchi industry. Food Indus. Nutr. 12, 7-13 

  11. Kim, S., M.Y. Cho, J.H. Lee, and S.Y. Lee. 2006. Studies on the activities and prospects of the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Food Sci. Indus. 39, 25-40 

  12. Lee, J.S., K.C. Lee, J.S. Ahn, T.I. Mheen, Y.R. Byun, and Y.H. Park. 2002. Weissella. koreensis sp. nov., isolated from kimchi.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1257-1261 

  13. Lee, J.H. 2007. Kimchi lactic acid bacteria. e-Bioindustry News Vol. 20, No. 1 

  14. Lucke, F.K. 1996. Lactic acid bacteria involved in food fermentation and their present and future uses in food industry, pp. 81-99. In T.F. Bozolu and B. Ray (eds.), Lactic Acid Bacteria: Current Advances in Metabolism, Genetics and Applications, NATO ASI Series, Vol. H98. Springer, Berlin 

  15. Muting, D. and J.F. Kalk. 1992. Long-term effectiveness of highdosed ornithine-aspartate on urea synthesis rate and portal hypertension in human liver cirrhosis. Amino Acids 3, 147-153 

  16. Oh, S.H., H.J. Kim, Y.H. Kim, J.J. Yu, K.B. Park, and J.I. Jeon. 2008. Changes in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J. Food Sci. Nutr. 13, 219-224 

  17. Park, M.L., Y.J. Lee, K. Nobuyuki, and J.S. Han. 2004. Changes of vitamin C and chlorophyll contents in oi-kimchi with storage time. Korean J. Food Culture 19, 566-572 

  18. Park, K.B. and S.H. Oh. 2005.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ABA rice yogurt. Food Sci. Biotechnol. 14, 518-522 

  19. Park, K.B. and S.H. Oh.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buchneri strains with high $\gamma$ -aminobutyric acid producing capacity from naturally aged cheese. Food Sci. Biotechnol. 15, 86-90 

  20. Park, K.B. and S.H. Oh. 2006. Enhancement of $\gamma$ -aminobutyric acid production in Chungkukjang by applying a Bacillus subtilis strain expressing glutamate decarboxylase from Lactobacillus brevis. Biotechnol. Lett. 28, 1459-1463 

  21. Park, K.B. and S.H. Oh. 2007. Cloning, sequencing and expression of a novel glutamate decarboxylase gene from a newly isolated lactic acid bacterium, Lactobacillus brevis OPK-3. Bioresource Technol. 98, 312-319 

  22. Park, K.B. and S.H. Oh. 2007. Production of yogurt with enhanced levels of gamma-aminobutyric acid and valuable nutrients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germinated soybean extract. Bioresource Technol. 98, 1675-1679 

  23. Park, K.Y. 2004. Well-being and Well-being food. Health News 28, 18-19 

  24. Robinson, L.E., F.I. Bussiere, J. Le Boucher, M.C. Farges, L.A. Cynober, C.J. Field, and V.E. Baracos. 1999. Amino acid nutrition and immune function in tumour-bearing rats: a comparison of glutamine-, arginine- and ornithine 2-oxoglutarate-supplemented diets. Clinical Sci. 97, 657-669 

  25. Seok, J.H., K.B. Park, Y.H. Kim, M.O. Bae, M.K. Lee, and S.H. Oh. 2008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imchi with enhanced levels of $\gamma$ -aminobutyric acid. Food Sci. Biotechnol. 17, 940-946 

  26. Sharpe, M.E., T.F. Fryer, and D.G. Smith. 1996.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pp. 65-79. In B.M. Gibbs and F.A. Skinner (eds.). Identification Methods for Microbiologists: part A.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27. Shi, H.P., R.S. Fishel, D.T. Efron, J.Z. Williams, M.H. Fishel, and A. Barbul. 2002. Effect of supplemental ornithine on wound healing. J. Surgical Res. 106, 299-302 

  28. Uchisawa, H., A. Sato, J. Ichita, H. Matsue, and T. Ono. 2004. Influence of low-temperature processing of the brackish water bivalve, Corbicula japonica, on the ornithine content of its extract. Biosci. Biotechnol. Biochem. 68, 1228-12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