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누룩으로부터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Pediococcus 속 균주의 분리 및 오르니틴 함유 막걸리의 3T3-L1 세포의 중성지질 축적 억제 효과
Isolation of Pediococcus Strain from Nuruk and Anti-Lipid Accumulation Effect of Ornithine-Containing Makgeolli on 3T3-L1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9, 2015년, pp.1264 - 1269  

육진선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석흥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수곤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요셉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문은경 ((유)대신환경개발 그린바이오식품사업부) ,  차연수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누룩에서 ornithine 생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Pediococcus 속 균주를 동정하고, ornithine 생성 유산균인 Pediococcus pentosaceus TNO-4를 이용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Ornithine의 전구물질인 arginine과 Pediococcus pentosaceus TNO-4를 첨가하여 제조한 ornithine 함유 막걸리의 ornithine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수준에서의 지방구 형성 억제 효과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였다. Ornithine 막걸리의 ornithine 함량은 일반 막걸리에 비하여 3배 증가되었으며, 세포 실험 결과 0.05 mg/mL 농도의 ornithine 막걸리를 3T3-L1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지방구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기능성 물질이 강화된 우리나라 전통술인 막걸리를 통하여 지질축적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더 나아가서 기능성이 부각된 막걸리의 개발을 통하여 막걸리 시장에 새로운 판로를 개척할 수 있고, 누룩에서 분리된 ornithine 생성능을 가진 유산균은 막걸리 이외에 여러 가지 발효식품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functional effect of ornithine produced by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we examined the anti-lipid accumulation effect of ornithine produced by isolate lactic acid bacteria on 3T3-L1 cells. Lactic acid bacteria (Pediococcus strain) were isolated from nuruk, which is made from whe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실험에서는 누룩에서 기능성을 가진 ornithine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스크리닝 하여 ornithine 유산균 스타터를 개발하고 이를 막걸리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더 나아가 개발된 ornithine 막걸리의 기능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in vitro 수준에서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을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막걸리의 건강기능성 관련한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다양한 유기산과 inositol, acetylcholine, riboflavin, 비타민 B 복합체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인체 내의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10여 종의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최근 막걸리의 건강기능성 관련한 연구로는 3T3-L1 세포주를 사용하여 분화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 항염증, 신생혈관생성 억제 효과(3)와 막걸리와 막걸리 지게미의 혈행 개선 효과(4)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막걸리는 무엇인가? 한국의 전통적인 발효주인 ‘막걸리’는 탁주 또는 농주(農酒)라고도 하며 이것은 찹쌀, 멥쌀, 보리, 밀가루 등을 쪄서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술덧을 여과하지 않고 혼탁하게 만들어낸 곡주이다(1). 막걸리는 발효 후 여과과정을 거치지 않은 특성 탓에 발효에 관여한 효모, 유산균 등이 포함되어있는 발효산물 전체를 음용하는 세계 유일의 술로서, 다른 주류에 비하여 알코올 도수가 상대적으로 낮아 위에 부담을 주지 않을뿐더러 단백질,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있다.
막걸리는 어떤 생리활성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는가? 막걸리는 발효 후 여과과정을 거치지 않은 특성 탓에 발효에 관여한 효모, 유산균 등이 포함되어있는 발효산물 전체를 음용하는 세계 유일의 술로서, 다른 주류에 비하여 알코올 도수가 상대적으로 낮아 위에 부담을 주지 않을뿐더러 단백질,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있다. 또한 다양한 유기산과 inositol, acetylcholine, riboflavin, 비타민 B 복합체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인체 내의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10여 종의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최근 막걸리의 건강기능성 관련한 연구로는 3T3-L1 세포주를 사용하여 분화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 항염증, 신생혈관생성 억제 효과(3)와 막걸리와 막걸리 지게미의 혈행 개선 효과(4)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ee SW. 2010. Making brand of Korean alcoholic beverage, Makgeolli. Marketing 44: 53-64. 

  2. Lee SJ, Shin WC. 2011.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Makgeolli (Korean paradox). Food Sci Ind 44: 2-11. 

  3. Lee SJ, Kim JH, Jung YW, Park S, Shin WC, Park CS, Hong SY, Kim GW. 2011.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06-212. 

  4. Shin MO, Kim MH, Bae SJ. 2010. The effect of Makgeolli on blood flow, serum lipid improvement and inhibition of ACE in vitro. J Life Sci 20: 710-716. 

  5. Palou A, Pico C, Bonet ML. 2004. Food safety and functional foods in the European Union: obesity as a paradigmatic example for novel food development. Nutr Rev 62: S169-S181. 

  6. You SY. 2009. Healthy functional food consumption for overweight and obese Korean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 503-514. 

  7. Ha NL, Jang ML, Yun HC.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ranberri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85-91. 

  8. Jang ML, Ha NL, Yun HC.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using Angelica gigas Nakai water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332-340. 

  9. Kim BH, Eun JB. 201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concentrate added.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17-421. 

  10. Evain-Brion D, Donnadieu M, Roger M, Job JC. 1982. Simultaneous study of somatotrophic and corticotrophic pituitary secretions during ornithine infusion test. Clin Endocrinol 17: 119-122. 

  11. Davidson MB. 1987. Effect of growth hormone on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Endocr Rev 8: 115-131. 

  12. Edmonds MS, Lowry KR, Baker DH. 1987. Urea cycle metabolism: effects of supplemental ornithine or citrulline on performance, tissue amino acid concentrations and enzymatic activity in young pigs fed arginine-deficient diets. J Anim Sci 65: 706-716. 

  13. Zajac A, Poprzecki S, Zebrowska A, Chalimoniuk M, Langfort J. 2010. Arginine and ornithine supplementation increases growth hormone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 serum levels after heavy-resistance exercise in strength-trained athletes. J Strength Cond Res 24: 1082-1090. 

  14. Sener A, Best LC, Yates AP, Kadiata MM, Olivares E, Louchami K, Jijakli H, Ladriere L, Malaisse WJ. 2000. Stimulus-secretion coupling of arginine-induced insulin release. Endocrine 13: 329-340. 

  15. Kawai Y, Takasuka N, Inoue K, Akagawa K, Nishijima M. 2000. Ornithine-containing lipids stimulate CD14-dependent TNF- ${\alpha}$ production from murine macrophage-like J774.1 and RAW 264.7 cells. FEMS Immunol Med Microbiol 28:197-203. 

  16. Cha YS, Tirupathi Pichiah PB, Moon YJ, Oh SH. 2010. Lactobacillus bacteria strain Weissella koreensis OK1-6 mediated inhibition of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A plausible approach to obesity management. FASEB 24: 1. 

  17. Moon YJ, Soh JR, Yu JJ, Sohn HS, Cha YS, Oh SH. 2012.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nhibitory effect of Weissella koreensis OK1-6 isolated from Kimchi on differentiating adipocyte. J Appl Microbiol 113: 652-658. 

  18. Park JA, Tirupathi Pichiah PB, Yu JJ, Oh SH, Daily JW, Cha YS. 2012. Anti-obesity effect of kimchi fermented with Weissella koreensis OK1-6 as starter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C57BL/6J mice. J Appl Microbiol 113: 1507-1516. 

  19. Muting D, Kalk JF, Klein CP. 1992. Long-term effectiveness of high-dosed ornithine-aspartate on urea synthesis rate and portal hypertension in human liver cirrhosis. Amino Acids 3: 147-153. 

  20. Robinson LE, Bussiere FI, Le Boucher J, Farges MC, Cynober LA, Field CJ, Baracos VE. 1999. Amino acid nutrition and immune function in tumour-bearing rats: a comparison of glutamine-, arginine- and ornithine 2-oxoglutaratesupplemented diets. Clin Sci 97: 657-669. 

  21. Yu JJ, Park HJ, Kim SG, Oh SH. 2009.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eissella strains with high ornithine producing capacity from kimchi. Kor J Microbiol 12: 339-345. 

  22. Kawai Y, Nakagawa Y, Matuyama T, Akagawa K, Itagawa K, Fukase K, Kusumoto S, Nishijima M, Yano I. 1999. A typical bacterial ornithine-containing lipid N ${\alpha}$ -(D)-[3-(hexadecanoyloxy) exadecanoyl]-ornithine is a strong stimulant for macrophages and a useful adjuvant. FEMS Immunol Med Microbiol 23: 67-73. 

  23. Yu JJ. 2012. Study on the isolation and application of functional lactic acid bacteria from traditional and fermented foods. MS Thesis. Woosuk University, Jeonju, Korea. 

  24. Baum G, Lev-Yadun S, Fridmann Y, Arazi T, Katsnelson H, Zik M, Fromm H. 1996. Calmodulin binding to glutamate decarboxylase is required for regulation and GABA metabolism and normal development in plants. EMBO J 15:2988-2996. 

  25. Kim KH, Ahn SC, Lee MS, Kweon OS, Oh WK, Kim MS, Sohn CB, Ahn JS. 2003.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 isolated from the barks of Phellodendron amuren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03-509. 

  26. Ntambi JM, Kim YC. 2000.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J Nutr 130: 3122S-3126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