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Pseudoalteromonas sp. Ju11-1과 Pseudoalteromonas sp. Ju14의 색소 추출물의 물리화학적 안정성과 기능성
The Physicochemical Stabili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Pigment Extracts from Pseudoalteromonas sp. Ju11-1 and Pseudoalteromonas sp. Ju14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5 no.4, 2009년, pp.404 - 410  

박진숙 (한남대학교 생명공학과) ,  조현희 (한남대학교 생명공학과) ,  강명희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세균 Pseudoalteromonas sp. Ju11-1과 Pseudoalteromonas sp. Ju14의 에탄올 색소 추출물에 대한 안정성과 기능성을 검토한 결과, Ju11-1의 세균 색소는 pH 5.0의 조건과 $25^{\circ}C$ 이하에서 매우 안정하였으며, 금속이온첨가의 경우 $Ca^{2+}$$Mg^{2+}$에서 높은 안전성을 나타내었다. Free radical 소거 활성은 $IC_{50}$ $95.2{\mu}g$/ml, 인체세포에 대한 DNA 손상 회복능은 $ED_{50}$ $82.3{\mu}g$/ml으로 나타나 항산화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seudoalteromonas sp. Ju-14의 세균 색소의 경우 pH 4.0에서 pH 8.0 까지의 조건과 $40^{\circ}C$ 이하에서 매우 안정하였으며, $25^{\circ}C$, 14일간 90% 이상의 잔존율을 나타내어 빛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이온의 경우 $Fe^{2+}$, $Al^{+3}$, $Cu^{+2}$를 제외한 실험된 모든 금속이온에 대하여 매우 안정하였으며 특히, $Na^+$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ree radical 소거 활성은 $IC_{50}$ $208.6{\mu}g$/ml, 인체세포에 대한 DNA 손상 회복능은 $ED_{50}$ $96.4{\mu}g$/ml으로 항산화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세균 Pseudoalteromonas 속의 Ju11-1과 Ju14, 두 균주의 색소 추출물은 우수한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갖으며, free radical 소거 활성 및 인체세포에 대한 DNA 손상 회복능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을 갖는 기능성 색소로의 적용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stabili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ed pigment from marine bacteria Pseudoalteromonas sp. Ju11-1 and Pseudoalteromonas sp. Ju14. The bacterial pigment of strain Ju11-1 was very stable at pH 5.0 below $25^{\circ}C$. The stability of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Ju11-1과 Pseudoalteromonas sp. Ju14 균주(6)로부터 색소를 추출하여 pH, 온도, 빛 그리고 금속이온에 대한 색소의 안정성을 검토하고,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DNA 손상 회복능의 평가를 통하여 색소의 생물학적 활성을 조사하고 나아가 주요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여 천연 기능성 색소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온도에 대한 안정성은 50 µg/ml의 색소 추출물 3 ml을 시험관에 넣고 parafilm을 이용하여 밀봉한 후 이를 각각 -20°C, 4°C, 25°C, 40°C의 암소에서 15일간 보존하면서 24시간 간격으로 각각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 우선 8 mm paper disk에 에탄올에 녹인 색소를 10 µg, 50 µg, 100 µg, 200 µg이 되도록 하여 대상 균주가 도말된 평판배지에 올려놓고 30°C에서 24시간 배양 후 투명대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 양성대조구는 PBS 처리된 임파구세포에 DNA 손상을 야기하는 물질인 H2O2를 100 µM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음성대조구는 PBS 처리세포에 H2O2를 처리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 건강한 성인 여자의 혈액으로부터 임파구 세포를 1,300 rpm, 6분간 원심 분리하여 준비하고, 색소추출물 시료를 인체 임파구 세포에 적정 농도별로 PBS (160 mM NaCl, 2.7 mM KCl, 11.3 mM Na2HPO4, 1.7 mM KH2PO4, pH 7.4)에 희석하여 혼합한 후 4°C에서 30분간 전처리하였다.
  • 에탄올에 녹여 농도별(5~50 µg/ml)로 희석한 시료에 DPPH/ethanol solution을 가하여 37°C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각각의 최대 흡수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금속이온에 대한 안정성은 50 µg/ml의 색소 추출물 3 ml에 1.0×102M 농도의 NaCl, AlCl3, FeCl2, CaCl2, CuCl2, ZnCl2, MgCl2와 KCl의 금속이온 용액을 각각 1.0% 첨가하여(11), 25°C의 암소에서 15일간 보존하면서 24시간 간격으로 각각의 최대 흡수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 광선에 대한 안정성은 50 µg/ml의 색소 추출물 3 ml을 시험관에 넣은 후 110 V, 30 W의 조명으로부터 30 cm의 거리에 위치시키고, 25°C에서 15일간 보존하면서 24시간 간격으로 각각의 균주의 최대 흡수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 0% 첨가하여(11), 25°C의 암소에서 15일간 보존하면서 24시간 간격으로 각각의 최대 흡수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대조구는 금속이온을 첨가하지 않고 같은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 에탄올에 녹여 농도별(5~50 µg/ml)로 희석한 시료에 DPPH/ethanol solution을 가하여 37°C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각각의 최대 흡수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농도별로 3회 반복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교구로 합성 항산화제인 BHA (butylate hydroxy anisole)를 각 시료와 같은 농도로 사용하였으며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DPPH radical을 50% 소거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를 IC50 (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으로 표기하였다.
  • 각 농도별로 3회 반복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교구로 합성 항산화제인 BHA (butylate hydroxy anisole)를 각 시료와 같은 농도로 사용하였으며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DPPH radical을 50% 소거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를 IC50 (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으로 표기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PC + 통계 package (version 10.
  • 임파구의 DNA 손상정도는 핵으로부터 이동한 DNA 파편의 거리(tail length, TL)에 tail 내 함유된 DNA 양(Tail % DNA)을 곱해준 tail moment (TM)값을 측정하여 나타내었으며, DNA 손상 회복에 대한 비교는 H2O2를 처리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 DNA의 tail 길이에 대한 손상회복 효과(%)와 투여군의 50%에서 효과가 나타나는 유효 용량을 의미하는 ED50 (the effective dose in 50% of the subjects)으로 표시하였다. 각 처리구 당 2개의 슬라이드를 만들어 그 중에서 50개 세포를 관찰하여, H2O2에 의한 DNA 손상 억제정도를 측정하였고, 모든 실험 과정은 blind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 (the effective dose in 50% of the subjects)으로 표시하였다. 각 처리구 당 2개의 슬라이드를 만들어 그 중에서 50개 세포를 관찰하여, H2O2에 의한 DNA 손상 억제정도를 측정하였고, 모든 실험 과정은 blind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모든 자료의 처리는 SPSSPC + 통계 package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 금속이온이 색소에 미치는 영향은, 빛이 없는 25°C 조건에서 금속이온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NaCl, AlCl3, FeCl2, CaCl2, CuCl2, ZnCl2, MgCl2와 KCl을 첨가한 경우를 비교하였다.
  • 11-1과 Pseudoalteromonas sp. 14균주로부터 추출한 세균색소를 처리하여 손상에서 회복되는 정도를 comet assay를 통하여 관찰하였다. 이들 세균 색소의 DNA 손상 회복능은 양성대조구와 비교하여 본 결과(Fig.
  • 또한 DNA 손상 회복능에 대한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βcarotene, Ju11-1 및 Ju14 색소의 ED50을 계산하였다.
  • pH에 대한 색소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색소 용액에 pH 3에서 pH 10 사이의 완충용액(pH 3.0~5.0: sodium citrate, pH 6~7: sodium phosphate, pH 8: Tris-HCl, pH 9~10: sodium carbonate-HCl)을 동량 가하고 25°C에서 4시간 방치한 후 흡광광도계(Spectronic Genesys 5, Miltonroy, USA)를 이용하여 Ju11-1 균주의 색소와 Ju14 균주 색소의 최대 흡수파장인 537 nm과 378 nm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 배양액은 6,000 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균체와 상등액을 분리하고, 얻은 균체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추출 효율이 우수하고(6), 색소의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에탄올을 사용하여 세균 색소를 추출하였다(2). 색소추출물 시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3회 반복하여 진탕 추출한 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전진공증발농축기로 증발 건조하였다.
  • 해양으로부터 분리한 Pseudoalteromonas 속의 색소를 생성하는 2균주, Ju11-1과 Ju14의 색소 추출물에 대한 물리화학적 안정성과 생물학적 활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Ju14 균주를 사용하였으며(6), Marine broth 2216 (Difco, USA) 배지에서 30°C, 200 rpm으로 30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 대조 시료인 β-carotene (Sigma, USA)은 색소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 우선 8 mm paper disk에 에탄올에 녹인 색소를 10 µg, 50 µg, 100 µg, 200 µg이 되도록 하여 대상 균주가 도말된 평판배지에 올려놓고 30°C에서 24시간 배양 후 투명대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균주는 그람 음성균인 E. coli KCTC 1116, Salmonella typhimurium KCTC 2514T, Pseudomonas aeruginosa KCTC 1750T 와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subtilis IAM 12188T, Stapylococcus aureus ATCC 25923T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시료의 DNA 손상 억제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농도별로 one-way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였고, 모든 통계적 유의성은 P<0.05 수준에서 평가하였다.
  • 통계처리는 SPSS-PC + 통계 package (version 10.0)를 사용하였으며, DPPH 소거능은 평균치±평균편차(SD)로 표시하였다.
  • 0)를 사용하였으며, DPPH 소거능은 평균치±평균편차(SD)로 표시하였다. 시료의 DPPH radical 소거능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one-way 분산분석 (ANOVA)를 시행하고 군 간의 비교는 Duncan의 다중비교검정법에 의해 사후 검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0.05 이하 수준에서 평가하였다.
  • 모든 자료의 처리는 SPSSPC + 통계 package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각 처리구별로 50개의 세포에서 측정한 DNA 손상도(TL, Tail %DNA, TM)의 평균값과 표준오차를 구하였으며, 양성대조구와 음성대조구를 기준으로 각 농도별로 상대적인 DNA 손상도를 relative score로 표시하였다. 시료의 DNA 손상 억제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농도별로 one-way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였고, 모든 통계적 유의성은 P<0.

이론/모형

  • 분리된 색소의 in vitro 항산화능력은 DPPH (1.1-diphenyl-2- picrylhydrazyl)의 환원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 반응에 의한 방법(13)으로 평가하였다. 에탄올에 녹여 농도별(5~50 µg/ml)로 희석한 시료에 DPPH/ethanol solution을 가하여 37°C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각각의 최대 흡수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실험균주로부터 추출한 색소의 인체 세포 DNA 손상 회복능에 대한 조사는 Margarita 등(16)의 방법에 따라 comet assay를 이용하였다. 색소 추출물 시료는 에탄올에 녹여 농도별(5~100 µg/ml)로 준비하였다.
  • 색소의 항균 활성은 주요 식품유해균, 그람음성 세균 3종과 그람양성 세균 2종에 대하여 디스크 확산법(disk agar method)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7). 우선 8 mm paper disk에 에탄올에 녹인 색소를 10 µg, 50 µg, 100 µg, 200 µg이 되도록 하여 대상 균주가 도말된 평판배지에 올려놓고 30°C에서 24시간 배양 후 투명대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색소가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온 이유는 무엇인가? 색소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색깔을 내는 능력을 갖는 물질로써 주로 상품성, 저장성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된다. 과거에는 자연에 존재하는 동식물로부터 추출한 천연색소가 주로 사용되어왔으나 추출의 어려움과 소재와 용도의 제한성이 커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왔다. 1900년대 화학 공업의 발달과 함께 합성색소가 개발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합성색소의 인체에 대한 발암성과 유해성이 문제점으로 제기되면서 합성 색소에 대한 규제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천연색소에 대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색소는 무엇인가? 그러나 천연색소는 가격이 비싸고 생육 조건 및 환경에 따라 품질의 변화가 심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안정된 품질의 색소를 생산할 수 있는 천연 미생물 색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21). 현재까지 곰팡이(14), 효모(3, 10), 세균(1, 11, 12) 등을 이용한 미생물 색소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졌으며, 홍국색소를 비롯하여 몇몇 색소는 실질적으로 생산되어 이용되고 있다.
색소란 무엇인가? 색소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색깔을 내는 능력을 갖는 물질로써 주로 상품성, 저장성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된다. 과거에는 자연에 존재하는 동식물로부터 추출한 천연색소가 주로 사용되어왔으나 추출의 어려움과 소재와 용도의 제한성이 커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S.J., K.H. Kim, B.W. Kim, and Y.H. Kim. 199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zotobacter vinelandii strain A80 producing water-soluble blue pigment.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43-46 

  2. Choi, B.D. and Y.K. Jeong. 1997. The stability of carotenoids extracted from halophilic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405-1407 

  3. Costa, I., H.L. Martelli, I.M. da Silva, and D. Pomeroy. 1978. Production of $\beta$ -carotene by a Rhodotorula strain. Biotechnol. Lett. 9, 373-375 

  4. Imada, K., M. Oshima, T. Yoshida, S. Yasuda, and S. Yoshino. 1983. Evaluation of neopurpuratin, a purplish-red substance produced by microorganism, as food color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0, 270 

  5. Jeong, Y.G., B.D. Choi, S.J. Kang, S.H. Jeong, Y.K. Lee, H.Y. Kim, and M.J. Jung. 2001. Characteristic of carotenoid component from halophilic bacteria, Haloarcular sp. EH-1. The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J. Mol. Biol. 15, 673-675 

  6. Jong, D.W. and J.S. Park. 2008. Characterization of pigment-producing Pseudoalteromonas spp. from marine habitats and their optimal conditions for pigment production. J. Life Sci. 18, 1752-1757 

  7. Kim, E.Y. and M.R. Rhyu. 200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onascus koji extracts. Korean J. Sci. Technol. 40, 76-81 

  8. Kim, H.J., H.J. Park, S.K. Bae, J.D. Kim, I.S. Kong, and J.Y. Kong. 1996. Characterization of red-pigment produced by marine bacterium Vibrio sp. J. Korean Soc. Food Nutr. 25, 294-300 

  9. Kim, J.D., D.S. Kang, M.Y. Kim, S.B. Roh, M.R. Choi, S.H. Song, S.H. Baek, H.J. Seo, D.H. Kim, and J.Y. Kong. 2001. Production of carotenoid from halophilic Erythrobacter sp. and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43-151 

  10. Kim, Y.H. and S.S. Lee. 1994. A study on pigments from Rhodopila globiformis by acetone extraction : Stability of red pigments. J. Korean Soc. Food Nutr. 23, 25-29 

  11. Kim, Y.H. and S.S. Lee. 1994. A Study of geenish pigments from Rhodopseudomonas viridis by aetone extraction :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food clora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93-97 

  12. Kim, Y.H. and S.S. Lee. 1993. Yellow pigment from Rhodospirillum rubrum by acetone extraction. J. Korean Soc. Food Nutr. 6, 322-328 

  13. Lee, E.J. and H.D. Jang. 2004.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f five edible mushrooms on oxidative DNA damage. Food Sci. Biotechnol. 13, 443-449 

  14. Lee, S.M., H.S. Kim, and T.S. Yu. 2003. The optimal condition for production of red pigment by Monascus anka on solid cul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55-160 

  15. Lim, S.I. and E.J. Kwak. 2004. Stability of the pigments from Monascus purpureus CBS 281.34.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11-715 

  16. Margarita, T., P.T. Doulias, A. Barbouti, U. Brunk, and D. Galaris. 2005. Role of compartmentalized redox-active iron in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and apoptosis. Biochem. J. 387, 703-710 

  17. Park, J.S., D.W. Jeong, and M.H. Kang. 2009. The physicochemical stabili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pigment extract from marine bacterium Pseudomonas psicida TA20. J. Life Sci. 19, 1132-1138 

  18. Park, S.J. and D.H. Oh. 2003.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of black olympic grape (Vitis labruscana L.). Korean J. Sci. Technol. 35, 121-124 

  19. Park, S.J., B.K. Park, H.Y. Lee, J.H. Lee, J.D. Kim, and D.H. Oh. 2002.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of black olympia grape (Vitis labruscana L.). Korean J. Food Preserv. 9, 338-344 

  20. Park, Y.K., E.J. Jeon, and M.H. Kang. 2003. Protective effect of flavonoids on lymphocyte DNA damage using comet assay. Korean J. Nutr. 36, 125-132 

  21. Ryu, B.H. and M.J. Kim. 2000. Production of red pigment from marine bacterium utilizing colloidal chitin. Kor. J. Microbiol. Biotechnol. 28, 264-269 

  22. Yang, M.O. and E.J. Cho. 2006. Stability for rose petals pigment as a food materia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468-47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