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ibrio 속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의 이질성 분석
Heterogeneity Analysis of the 16S rRNA Gene Sequences of the Genus Vibrio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5 no.4, 2009년, pp.430 - 434  

기장서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균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은 분자계통분류, 진화역사 규명, 미생물 검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세균 제놈(genome)은 multiple rRNA 오페론을 갖고 있으며, 이들 유전자 염기서열은 일부 변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Vibrio 속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세포 내 16S rRNA의 이질성을 규명하였다. 분석은 GenBank 자료 중에서 제놈 염기서열 annotation이 완료된 V. cholerae, V. harveyi, V. parahaemolyticus, V. splendidus, V. vulnificus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Vibrio 속은 1번 염색체에 7~10개의 16S rRNA 유전자 copy를 갖고 있으며, 이들의 세포 내 유전자 변이는 0.9% 이하 상이성(99.1%이상 DNA 상동성)을 보였다. 2번 염색체에서는 16S rRNA 유전자가 1개 이하로 존재하였다. 유전체내 16S rRNA 유전형은 최소 5개(V. vulnificus #CMCP6)에서 최대 8개(V. parahaemolyticus #RIMD 2210633, V. harveyi #ATCC BAA-1116)로 조사되었다. 본 결과는 Vibrio 속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이 높은 이질성을 갖는 것을 제시해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terial 16S rRNA gene sequences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studies on molecular phylogeny, evolutional history, and molecular detections. Bacterial genomes have multiple rRNA operons, of which gene sequences sometimes are variable. In the present study, heterogeneity of the Vibrio 16S rRNA ge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Vibrio의 유전체내 16S rRNA 유전자 이질성에 대한 염기서열 수준의 분석 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ibrio의 개체 내에 존재하는 16S rRNA 유전자 오페론과 염기서열의 이질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6S rRNA는 무엇을 위한 목적으로 응용됐는가? 세균을 구분하기 위한 수단으로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다(11). 이들 유전자는 세균의 분자계통 분석, 진화관계 규명, 생물다양성 분석, 병원균 검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응용되어왔다(11, 15, 22, 26). 대부분의 세균은 multiple rRNA (rrn) 오페론(operon)을 갖고 있으며, 제놈(genome) 안에 1~15개의 16S rRNA 유전자 copy를 갖고 있다(3).
Vibrio 개체의 이질성을 규명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이용하였는가? Vibrio의 16S rRNA는 종간(interspecies)에 1~6%의 염기변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20). 최근에 Vibrio의 개체 유전체내 16S rRNA 유전자 변이에 대하여, heteroduplex assay, 유전자 클로닝, southern blot 분석을 통해 이질성(heterogeneity)이 규명되었으며(9, 12, 18), V. parahaemolyticus #RIMD2210856는 11개의 16S rRNA 유전자 copy (10개는 1번 염색체, 1개는 2번 염색체에 존재)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2, 17).
Vibrio Pacini, 1854 속은 무엇인가? Vibrio Pacini, 1854 속은 그람 음성 및 호염성 간균으로 육상, 해양, 기수, 담수 등에 널리 분포한다(4). 지금까지 76종 이상이 기재되었으며(www.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영진, 이선이, 조효진, 유선녕, 김철민, 최용락, 박병근, 안순철. 2007. Vibrio tapetis의 검출을 위한 PCR specific primer의 제작. J. Life Sci. 17, 162-165 

  2. 윤영준, 김도연, 이실한, 이우윤, 고영환, 김승곤, 김정완. 2000. 수입냉동 어패류에 오염되어 있는 Vibrio 속 세균의 분리 및 동정. J. Fd Hyg. Safety 15, 128-136 

  3. Acinas, S.G., L.A. Marcelino, V. Klepac-Ceraj, and M.F. Polz. 2004. Divergence and redundancy of 16S rRNA sequences in genomes with multiple rrn operons. J. Bacteriol. 186, 2629-2635 

  4. Case, R.J., Y. Boucher, I. Dahllof, C. Holmstrom, W.F. Doolittle, and S. Kjelleberg. 2007. Use of 16S rRNA and rpoB genes as molecular markers for microbial ecology studies. Appl. Environ. Microbiol. 73, 278-288 

  5. Coenye, T. and P. Vandamme. 2003. Intragenomic heterogeneity between multiple 16S ribosomal RNA operons in sequenced bacterial genomes. FEMS Microbiol. Lett. 228, 45-49 

  6. Colwell, R.R. and W.M. Soira. 1992. The ecology of Vibrio cholerae, pp. 1-36. In D. Barua and W.B.I. Greenough (eds.), Cholera, Plenum Press, NY, USA 

  7. Diggles, B.K., J. Carson, P.M. Hine, R.W. Hickman, and M.J. Tait. 2000. Vibrio species associated with mortalities in hatchery-reared turbot (Colistium nudipinnis) and brill (C. guntheri) in New Zealand. Aquaculture 183, 1-12 

  8. Dorsch, M., D. Lane, and E. Stackebrandt. 1992. Towards a phylogeny of the genus Vibrio based on 16S rRNA sequences. Int. J. Syst. Bacteriol. 42, 58-63 

  9. Fegatella, F., J. Lim, S. Kjelleberg, and R. Cavicchioli. 1998. Implications of rRNA operon copy number and ribosome content in the marine oligotrophic ultramicrobacterium Sphingomonas sp. strain RB2256. Appl. Environ. Microbiol. 64, 4433-4438 

  10. Hall, T.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 Acids Symp. Ser. 41, 95-98 

  11. Harmsen, D. and H. Karch. 2004. 16S rDNA for diagnosing pathogens: a living tree. ASM News 70, 19-24 

  12. Harth, E., J. Romero, R. Torres, and R.T. Espejo. 2007. Intragenomic heterogeneity and intergenomic recombination among Vibrio parahaemolyticus 16S rRNA genes. Microbiology 153, 2640-2647 

  13. Heidelberg, J.F., J.A. Eisen, W.C. Nelson, R.A. Clayton, M.L. Gwinn, R.J. Dodson, D.H. Haft, E.K. Hickey, J.D. Peterson, L.A. Umayam, S.R. Gill, K.E. Nelson, T.D. Read, H. Tettelin, D. Richardson Richardson, M.D. Ermolaeva, J. Vamathevan, S. Bass, H. Qin, I. Dragoi, P. Sellers, L. McDonald, T. Utterback, R.D. Fleishmann, W.C. Nierman, O. White, S.L. Salzberg, H.O. Smith, R.R. Colwell, J.J. Mekalanos, J.C. Venter, and C.M Fraser. 2000. DNA sequence of both chromosomes of the cholera pathogen Vibrio cholerae. Nature 406, 477-483 

  14. Huq, A. and R.R. Colwell. 1995. Vibrios in the marine and estuarine environments. J. Mar. Biotechnol. 3, 60-63 

  15. Ki, J.S., R. Zhang, W. Zhang, Y.L. Huang, and P.Y. Qian. 2009. Analysis of RNA polymerase beta subunit (rpoB) gene sequences for the discriminative power of marine Vibrio species. Microb. Ecol. 58, 679-691 

  16. Kim, Y.R., S.E. Lee, C.M. Kim, S.Y. Kim, E.K. Shin, D.H. Shin, S.S. Chung, H.E. Choy, A. Progulske-Fox, J.D. Hillman, M. Handfield, and J.H. Rhee. 2003. Characterization and pathogenic significance of Vibrio vulnificus antigens preferentially expressed in septicemic patients. Infect. Immun. 71, 5461-5471 

  17. Makino, K., K. Oshima, K. Kurokawa, K. Yokoyama, T. Uda, K. Tagomori, Y. Iijima, M. Najima, M. Nakano, A. Yamashita, Y. Kubota, S. Kimura, T. Yasunaga, T. Honda, H. Shinagawa, M. Hattori, and T. Iida. 2003. Genome seque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a pathogenic mechanism distinct from that of V. cholerae. Lancet 361, 743-749 

  18. Moreno, C., J. Romero, and R.T. Espejo. 2002. Polymorphism in repeated 16S rRNA genes is a common property of type strains and environmental isolates of the genus Vibrio. Microbiology 148, 1233-1239 

  19. Pillidge, C.J., L.M. Sheehy, A. Shihata, Z.Y. Pu, M. Dobos, and I.B. Powell. 2009. Intragenomic 16S rRNA gene heterogeneity in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Int. Dairy J. 19, 222-227 

  20. Ruimy, R., V. Breittmayer, P. Elbaze, B. Lafay, O. Bouseemart, M. Gauthier, and R. Christen. 1994. Phylogenetic analysis and assessment of the genera Vibrio, Photobacterium, Aeromonas, and Plesiomonas deduced from small-subunit rRNA sequences. Int. J. Syst. Bacteriol. 44, 416-426 

  21. Thompson, J.D., D.G. Higgins, and T.J. Gibbson. 1997. Clustal X: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 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 22, 4673 

  22. Thompson, J.R., M.A. Randa, L.A. Marcelino, A. Tomita-Mitchell, E. Lim, and M.F. Polz. 2004. Diversity and dynamics of a North Atlantic coastal Vibrio community. Appl. Environ. Microbiol. 70, 4103-4110 

  23. Van de Peer, Y., S. Chapelle, and R. De Wachter. 1996. A quantitative map of nucleotide substitution rates in bacterial rRNA. Nucleic Acids Res. 24, 3381- 3391 

  24. Wolfe, C.J. and M.G. Haygood. 1993. Bioluminescent symbionts of the Caribbean flashlight fish (Kryptophanaron alfredi) have a single rRNA operon. Mol. Mar. Biol. Biotechnol. 2, 189-197 

  25. Yamaichi, Y., T. Iida, K.S. Park, K. Yamamoto, and T. Honda. 1999. Physical and genetic map of the genome of Vibrio parahaemolyticus: presence of two chromosomes in Vibrio species. Mol. Microbiol. 31, 1513-1521 

  26. Zhang, W., J.S. Ki, and P.Y. Qian. 2008. Molecular microbial diversity of Victoria Harbor sediments: I. Bacterial community assessment based on four 16S rDNA clone libraries. Estuar. Coast. Shelf. Sci. 76, 668-6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