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의 16S rRNA 염기서열과 이차구조
Nucleotide Sequence and Secondary Structure of 16S rRNA from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1 no.2, 2005년, pp.125 - 128  

이관영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권해룡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이원호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김영창 (충북대학교 바이오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 chungbukensis DJ77로부터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식하였다. 염기서열은 총 1,502 bp로 2000 년에 등록된 부분 서열(1,435 bp)보다 5' 방향과 3' 방향으로 29 bp와 37 bp 길이만큼 각각 확장하였으며, 1 bp가 추가로 삽입되었다. E. coli의 16S rRNA유전자를 모델로 이차구조를 제작하였으며, 네 부위가 특이적임을 발견하였다. Sphnigomonas spp.의 16S rRNA 서열과 S. chungbukensis DJ77의 다중서열검색 결과, Sphingomonas종에서만 나타나는 보존부위와 가변부위를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Campylobacter jejuni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진 긴 stem loop구조가 서열은 조금 다르지만 구조적 일치를 보이는 유사한 구조를 S. chungbukensis DJ77에서도 발견하였다. 결과적으로, 다중서열검색을 통해 제작한 계통수와 nucleotide signatures분석에 근거하여 S. chugukensis DJ77을 cluster II (Sphingobium)로 분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16S ribosomal RNA gene from S. chungbukensis DJ77 has been sequenced. This sequence had a length of 1,502 bp and was extended for 29 bp at 5' and for 37 bp at 3' from the partial sequence (1,435 bp) registered in 2000 year. Besides, 1 bp was newly added near to the 3' end. We made the secondary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polyaromatic hydrocarbon들에 '대한 분해능을 암호화하는 phn 유전자(5, 7)를 가진 S. chungbukensis DJ77(6, 8)을 이용하여 유전체 프로젝트로부터 획득한 16S rRNA 서열을 근거로 계통 분류학적 분류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미 2000년에 부분 서열로 등록했던 S.
  • chungbukensis DJ77(6, 8)을 이용하여 유전체 프로젝트로부터 획득한 16S rRNA 서열을 근거로 계통 분류학적 분류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미 2000년에 부분 서열로 등록했던 S. chungbukensis DJ77의 16S rRNA 유전자 서열(AF159257)을 완성하고, 생물정보학적 차원에서 다른 종과의 다중서열 비교를 통해 종특이적인 가변 부위 와 보존 부위를 분석하고, 종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ltschul, S.F., W. Gish, W. Miller, E.W Myers, and D.J. Lipman. 1990.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J. Mol. Biol. 215, 403-410 

  2. Amann, R., W. Ludwig, and K.H. Schleifer. 1994. Identification of uncultured bacteria: a challenging task for molecular taxonomists. ASM News 60, 360-365 

  3. Cannone, J.J. S. Subramanian, M.N. Schnare, J.R. Collett, L.M. D'Souza, Y. Du, B. Feng, N. Lin, L.V. Madabusi, K.M. Muller, N. Pande, Z. Shang, N. Yu, and R.R. Gutell. 2003. The comparative RNA web (CRW) site: an online database of comparative sequence and structure information for ribosomal, intron, and other RNAs. BMC Bioinformatics 2002. 3, 2-31 

  4. DeLong, E.F., G.S. Wickham, and N.R. Pace. 1989. Phylogenetic stains: ribosomal RNA-based probes for the identification of single sells. Science 243, 1360-1363 

  5. Hwang, S., S.J. Kim, C.K. Kim, Y. Kim, S.J. Kim, and Y.C. Kim. 1999. The phnIJ genes encoding acetaldehyde dehydrogenase (acylating) and 4-hydroxy-2-oxovalerate aldolase in Pseudomonas sp. DJ77 and their evolutionary implication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56, 469-473 

  6. Kim, C.K., J.W. Kim, Y.C. Kim, and T.L. Mheen. 1986. Isolation of aromatic hydrocarbon-degrading bacteria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their plasmid genes. Kor. J. Microbiol. 24, 67-72 

  7. Kim, S.J., H.J. Shin, Y. Kim, S.J. Kim, and Y.C. Kim. 1997b. Nucleotide sequence of the Pseudomonas sp. DJ77 phnG gene encoding 2-hydroxymuconic semialdehyde dehydrogenase. Biochem. Biophys. Res. Commun. 240, 41-45 

  8. Kim, S.J., J. Chun, K.S. Bae, and Y.C. Kim. 2000. Polyphasic assignment of an aromatic-degrading Pseudomonas sp., strain DJ77, in the genus Sphingomonas as Sphingomonas chungbukensis sp. nov.. Int. J. Syst. Evol. Microbiol. 50, 1641-1647 

  9. Liesack, W., and E. Stackebrandt. 1992. Occurence of novel groups of the domain bacteria as revealed by analysis of genetic material isolated from an Australian terrestrial environment. J. Bacteriol. 174, 5072-5078 

  10. ?Maidak, B.L., J.R. Cole, T.G. Lilburn, C.T. Jr. Parker, P.R. Saxman, J.M. Stredwick, G.M. Garrity, B. Li, G.J. Olsen, S. Pramanik, T.M. Schmidt, and J.M. Tiedje. 2000. The RDP (Ribosomal Database Project) continues. Nucleic Acids Res. 28, 173-174 

  11. ?Mathews, D.H., M.D. Disney, J.L. Childs, S.J. Schroeder, M. Zuker, and D.H. Turner. 2004. Incorporating chemical modification constraints into a dynamic programming algorithm for prediction of RNA secondary structure. Proc. Natl. Acad. Sci. USA 101, 7287-7292 

  12. ?Pace, N.R. 1997. A molecular view of microbial diversity and the biosphere. Science 276, 734-740 

  13. ?Retief J.D. 2000.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HYLIP. Methods Mol. Biol. 132, 243-258 

  14. ?Takuchi, M., K. Hamana, and A. Hiraishi. 2001. Proposal of the genus Sphingomonas sensu stricto and three new genera, Sphingobium, Novosphinogobium and Sphingopyxis, on the basis of phylogenetic and chemotaxonomic analyses. Int. J. Syst. Evol. Microbiol. 51, 1405-1417 

  15. ?Thompson, J.D., T.J. Gibson, F. Plewniak, F. Jeanmougin, and D.G. Higgins. 1997.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25, 4876-4882 

  16. Woese, C.R. 1987. Bacterial evolution. Microbiol. Rev. 51, 221-2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