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과정에 따른 세균군집 구조의 변화
Bacterial Community Dynamics during Composting of Food Wast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5 no.2, 2009년, pp.148 - 154  

신지혜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이진우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남지현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박세용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동훈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퇴비화 과정은 유기성 폐기물을 비료와 같은 유용한 자원으로 전환하는 생물학적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 물 쓰레기를 2달 동안 퇴비화시켜 세균군집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온도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퇴비화 과정은 1단계($2\sim55^{\circ}C$), 2단계($55\sim97^{\circ}C$), 3단계($50\sim89^{\circ}C$)로 나뉘었다. 각 단계별 총세균수는 1단계 $1.66\times10^{11}$ cell/g, 2단계 $0.29\times10^{11}$ cell/g, 3단계 $0.28\times10^{11}$ cell/g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총세균수에 대한 고온미생물의 비율은 초기에 33% 였으나 2단계 시료에서 최대비율인 89%로 증가하였다. 16S rRNA 유전자를 대상으로 T-RFLP 방법과 염기서열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세균군집의 구조가 퇴비화 과정에 따라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고온인 2단계의 세균군집의 발달은 스타터 접종의 영향을 받았으며, Bacillus 및 Pseudomonas와 유연관계가 가까운 세균군집이 퇴비화 과정을 이끄는 주요 미생물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osting is a biological process converting solid organic waste into valuable materials such as fertilizer. The change of bacterial populations in a composting reactor of food waste was investigated for 2 months. Based on shifts in temperature profile, the composting process could be divided in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에서 수입한 제품으로 70℃~85℃에서 활발하게 생육하는 Bacillus와 Geobacillus 외에도 배양이 어려운 다양한 초호열균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50℃ 이하에서는 증식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17). 초고온이라는 제한적인 환경에서 나타나는 군집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6S rRNA 유전자 분석을 수행하였고, 총세균 및 고온 미생물 수의 변화와 병원성 지표미생물의 존재유무를 조사하여 효율적인 퇴비화 공정의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퇴비화 과정에서 우점종 군집은 온도 변화에 따라 어떻게 바뀌는가? 퇴비화 과정은 또한 유기물과 환경조건(온도, pH, 함수율 등)의 변화에 적응하는 미생물 군집의 연속적인 천이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25). 초기에는 중온성 군집이 우점하며 이용이 쉬운 유기물을 분해하고 열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고온성 군집으로 대체되며 리그닌과 같이 분해가 어려운 유기물을 이용한다. 온도가 하강하는 마지막 안정화 단계에서는 중온성 군집이 다시 형성된다. 따라서 각 단계에서 우점하는 미생물을 규명하고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조사하는 연구는 퇴비공정의 효율적인 개선과 생산된 퇴비의 품질 제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퇴비화 공정과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퇴비화 공정의 유기성 폐기물 분해는 미생물에 의해서 주도되며, 온도변화에 따라 미생물의 활성이 달라진다(22). 온도는 퇴비화 과정과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9), 퇴비 공정의 목적에 따라 최적 온도는 다양하다(21).
고온에서 퇴비화 과정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45°C 이하의 중온에서도 퇴비화 과정이 진행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고온 미생물이 퇴비화에서 최대의 활성을 갖는 온도범위는 50~60°C이며(23), 40°C~60°C의 고온 퇴비화 과정에서 lignocellulose와 같이 분해하기 힘든 유기물의 분해를 관찰한 보고도 있다(25). 또한, 고온 퇴비화 과정은 미생물의 활성을 증진시키고 병원성 미생물을 불활성화 시킨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9, 26). 따라서 가능한 최대의 온도에서 퇴비화가 진행되는 것이 낮은 온도의 퇴비화 과정에 비해 효율성과 안전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환경부. 2008. 2007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2. 환경부. 2006.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3. Boulos, L., M. Prevost, B. Barbeau, J. Coallier, and R. Desjardins. 1999. LIVE/DEAD BacLight: application of a new rapid staining method for direct enumeration of viable and total bacteria in drinking water. J. Microbiol. Methods 37, 77-86 

  4. Chun, J., A. Huq, and R.R. Colwell. 1999. Analysis of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s of Vibrio cholerae and Vibrio mimicus. Appl. Environ. Microbiol. 65, 2202-2208 

  5. Debosz, K., S.O. Petersen, L.K. Kure, and P. Ambus. 2002. Evaluating effects of sewage sludge and household compost on soil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Appl. Soil Ecol. 19, 237-248 

  6. Demharter, W. and R. Hensel. 1989. Bacillus thermocloacae sp. nov., a new thermophilic species from sewage. Syst. Appl. Microbiol. 11, 272-276 

  7.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8. Felsenstein, J. 2002. PHYLIP (Phylogeny Inference Package) version 3.6a3. Distributed by the author, Department of Genome Science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USA. 

  9. Fogarty, A.M. and O.H. Tuovinen. 1991. Microbiological degradation of pesticides in yard waste composting. Microbiol. Rev. 55, 225-233 

  10. Hobbie, J.E., R.J. Daley, and S. Jasper. 1977. Use of nuclepore filters for counting bacteria by fluorescence microscopy. Appl. Environ. Microbiol. 33, 1225-1228 

  11. Ishii, K., M. Fukui, and S. Takii. 2000. Microbial succession during a composting process as evaluat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J. Appl. Microbiol. 89, 768-777 

  12. Jukes, T.H. and C.R. Cantor. 1969. Evolution of protein molecules, pp. 21-132. In H.N. Munro (ed.), Mammalian Protein Metabolism.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13. Juni, E. and G.A. Heym. 1986. Psychrobacter immobilis gen. nov., sp. nov.: Genospecies composed of Gram-negative, aerobic, oxidase-positive coccobacilli. Int. J. Syst. Bacteriol. 36, 388-391 

  14. Lane, D.J. 1991. 16S/23S rRNA sequencing, pp. 115-175. In E. Stackebrandt and M. Goodfellow (ed.),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s. John Wiley & Sons, Chichester, England 

  15. Miller, D.N., J.E. Bryant, E.L. Madsen, and W.C. Ghiorse. 1999. Evaluation and optimization of DNA extraction and purification procedures for soil and sediment samples. Appl. Environ. Microbiol. 65, 4715-4724 

  16. Nam, I.H., Y.S. Chang, H.B. Hong, and Y.E. Lee. 2003. A novel catabolic activity of Pseudomonas veronii in biotransformation of pentachlorophenol. Appl. Microbiol. Biotechnol. 62, 284-290 

  17. Oshima, T. and T. Moriya. 2008. A preliminary analysis of microbi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high-temperature compost. Ann. N.Y. Acad. Sci. 1125, 338-344 

  18. Pedro, M.S., S. Haruta, M. Hazaka, R. Shimada, C. Yoshida, K. Hiura, M. Ishii, and Y. Igarashi. 2001.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es of microbial community from field-scale composter. J. Biosci. Bioeng. 91, 159-165 

  19. Ryckeboer, J., J. Mergaert, K. Vaes, S. Klammer, D.D. Clercq, J. Coosemans, H. Insam, and J. Swings. 2003. A survey of bacteria and fungi occurring during composting and self-heating processes. Ann. Microbiol. 53, 349-410 

  20. Saitou, N. and M. Nei.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21. Suler, D.J. and M.S. Finstein. 1977. Effect of temperature, aeration, and moisture on CO2 formation in bench-scale, continuously thermophilic composting of solid waste. Appl. Environ. Microbiol. 33, 345-350 

  22. Takaku, H., S. Kodaira, A. Kimoto, M. Nashimoto, and M. Takagi. 2006.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garbage composting with rice hull as an amendment revealed by culture-dependent and -independent approaches. J. Biosci. Bioeng. 101, 42-50 

  23. Tang, J.C., A. Shibata, Q. Zhou, and A. Katayama. 2007. Effect of temperature on reaction rate and microbial community in composting of cattle manure with rice straw. J. Biosci. Bioeng. 4, 321-328 

  24. Thompson, J.D., T.J. Gilson, F. Plewniak, F. Jeanmougin, and D.G. Higgins. 1997.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25, 4876-4882 

  25. Tuomela, M., M. Vikman, A. Hatakka, and M. Itavaara. 2000. Biodegradation of lignin in a compost environment: a review. Bioresour. Technol. 72, 169-183 

  26. Wiley, B.B. and S.C. Westerberg. 1969. Survival of human pathogens in composted sewage. Appl. Microbiol. 18, 994-1001 

  27. Yamada, T., A. Suzuki, H. Ueda, Y. Ueda, K. Miyauchi, and G. Endo. 2008. Successions of bacterial community in composting cow dung wastes with or without hyperthermophilic pre-treatment. Appl. Microbiol. Biotechnol. 81, 771-7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