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상호작용 및 수업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원문보기

기독교교육 논총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v.63, 2020년, pp.255 - 281  

유지은 (안양대학교)

초록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 학습으로 대표되는 학습 방법의 변화가 보편화 되고 있는 지금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및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 모두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을 증가시켰으며, 또한 높아진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은 수업만족도를 증가시켰다. 변인 간의 잠재평균비교분석을 통해 대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 변인들의 통계적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다집단 분석을 통해 고등학생의 경우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수업만족도와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고, 대학생의 경우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학습의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Participants of the study con...

주제어

참고문헌 (42)

  1. 강민석 (2009).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감 모형 및 측정도구 개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 강민석.임걸 (2013). 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1014-1023. 

  3. 김미량.김진숙 (2007).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및 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0), 44-58. 

  4. 김은주 (2004).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사전성취도와 의사소통 성향의 개인차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42(3), 123-151. 

  5. 곽신정 (2016). 사이버대학의 수업중심 학습공동체에서 지식공유태도, 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성과의 관계: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검증.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6. 권호천 (2009). 사회과학을 위한 회귀분석. 서울: 법문사. 

  7. 유지은 (2020). 비대면 수업 운영사례 연구: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강좌 운영을 중심으로. 2020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8. 이상균(1999). 학교교육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9. 이석재.장유경.이헌남.박광염(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P 2003-15-3. 한국교육개발원. 

  10. 이쌍철.김정아 (2018).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2), 115-138. 

  11. 이영.박인우 (2012). 사이버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28(1). 137-168. 

  12. 이종연.김주리(2013). 대학 모바일러닝에서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 및 학습만족도와 관련 요인들 간의 구조적계 분석. 한국교육, 40(1), 49-79. 

  13. 이정미.이길재 (2017).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5(3), 133-153. 

  14. 이종연.이은진 (2010). 대학 이러닝에서 시스템, 정보 및 서비스 품질이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교육과학연구, 41(3), 119-14. 

  15. 서정희.구양미 (2010). 사이버가정학습 관련 연구에 대한 분석. 한국교육, 37(4), 207-238. 

  16. 송준미 (2012). 창의성과 책임지향성이 성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7. 장몽요.김영 (2019).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Tourism Research, 44(4), 251-286. 

  18. 전규태 (2009). e-러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술실대학교. 

  19. 정연희 (2000). 웹 기반 토론 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과 만족도의 차이.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 정재삼.임규연 (2000).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요인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16(2), 107-135. 

  21. 조아라.노석준 (2013). 원격대학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몰입, 학습태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29(4), 849-879. 

  22. 채유정.이성혜.박성희 (2016).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특성에 따른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차이 분석. 영재교육연구, 26(4). 611-633. 

  23. Beaudoin, M. (2001). Learning or lurking?: Tracking the 'invisible' online student.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5, 147-155. 

  24.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 238-246. 

  25. Berge, Z. (1997). Characteristics of online teaching in post-secondary, formal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37(3), 35-47. 

  26. Brown,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27.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28. Gilbert, L., & Moore, D. R. (1998). Building interactivity into web courses: Tools for social and instructional interaction. Educational Technology, 38(3), 29-35. 

  29. Jiang, M. & Ting, E. (1999). A Study of students' perceived learning in a web-based online environment. Proceedings of WebNet World Conference on the WWW and Internet 1999, 575-580. 

  30. Hong, S., Malik, M. I., & Long,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63, 636-654. 

  31. Keller, J. M. (1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 M. Reigeluth(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386-434).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2. Knowles, M. (1975). Self-direction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 New York, NY: Association Press. 4. 

  33. Merriam, S. B. (2001). Andragogy and self directed learning: pillars of adult learning theory. New Directions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89) 3-14. 

  34. Moore, M. G.(1993). Three types of interaction. In K. Harry, M. John & D. Keegan(eds.). Distance education: New perspectives. London: Routledge. 

  35. Moore, M. G., & Kearsley, G.(1996). Distance education-A systems view. Boston: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36. Morris, L. V., Wu, S., & Finnegan, C. (2005). Predicting retention in online general education courses.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9(1), 23-36. 

  37. Nota, L. Soresi, S. & Zimmerman, B. J.(2004). Self-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resilience: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1(3), 198-215. 

  38.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39. Palmer, S. R., & Holt, D. M. (2009). Examin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wholly online learning.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5, 101-113. 

  40. Spreng, R. A., & Mackoy, R. D. (1996). An empirical examination of a model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Journal of Retailing, 72(2), 201-214. 

  41. Wang, Y. S. (2003). Assessment of learner satisfaction with asynchronous electronic learning systems. Information & Management, 41, 75-8 

  42.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3-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