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병원의 소음특성과 적절한 대화거리
The Noise Characteristics and Appropriate Talk Distance in Dental Clinic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5, 2013년, pp.2516 - 2523  

지동하 (대전보건대학교 환경보건과) ,  최미숙 (초당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과병원에서 진료 시 가동되는 소음이 환자들에게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어 진료 시(스케일링, 보존치료, 보철치료, 임플란트)에 소음도와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여 NR곡선과 NRN을 이용한 실내소음 수준 및 PSIL을 이용하여 환자와 근무자 사이의 대화거리 분석을 실시하였다. 진료 시 소음레벨dB(A)의 범위는 69.3~81.5dB(A)이고 고주파성분(4K(Hz) 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NR곡선에 의한 평가 결과 작업장의 소음기준을 훨씬 초과하는 수준이었으며 PSIL에 의한 환자와 치과병원근무자와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거리는 1m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의 소음공포증을 해소시키고 환자와 근무자 사이의 만족스러운 대화가 가능한 여건 조성을 위하여 저소음 저진동 장비의 선택, ANC기술개발, 마스킹 효과, 흡음재 부착, 별도의 대화공간 확보 등의 다양한 대책을 수립하므로 치과의료 서비스 질 및 치과병원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ise occurred when medical treatment in dental clinic will affect the patients. This study was measured the noise level and frequency in case of medical examination and also has evaluated the degree of indoor noise using the NR-curve, NRN and a distance to conversation between worker and patients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과병원에서 진료 목적에 따라 가동되는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의 수준 및 주파수 특성에 대한 측정․분석된 자료를 기초로 치과병원의 실내소음수준을 NR-curve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치과병원과 같이 암소음이 높은 환경에서 대화를 할 때에는 많은 신경을 쓰게 되는데 상대방의 의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거리를 산정하기 위하여 PSIL을 이용하여 회화방해를 방지하기 위한 거리를 파악함으로써 환자와 치과병원근무자 사이의 원활한 대화가 가능한 여건을 제시하며 병원의 경쟁력 제고 및 신뢰도 향상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치과병원에서 진료시 발생하는 소음의 수준 및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분석된 자료를 기초로 NR-curve를 이용하여 실내소음 수준을 파악하므로 치과병원을 방문하는 환자에게 쾌적한 병원 분위기 제공이 가능한 방안을 도출하며 PSIL을 이용하여 적정 대화거리를 산정하므로 환자와 병원근무자사이의 원활한 대화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안을 제시하므로 치과병원을 방문하는 방문자들의 병원에 대한 만족도, 신뢰도, 재이용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치과병원에서 진료 시 발생하는 소음특성을 파악하여 실내소음 수준 및 만족스러운 대화거리를 산정하여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에게 쾌적한 환경 제공이 가능하고 환자와 병원근무자사이의 원활한 대화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안을 제시하므로 치과병원 방문자들의 병원에 대한 만족도, 신뢰도, 재이용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안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병원의 날카로운 기계소리는 어떤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인가? 특히, 소음은 건강한 사람보다 환자에게 더욱 민감한데[1] 정상적인 저작기능을 위해서 치과보철이 꼭 필요하여 치과병원을 방문하여야 하는 환자가 진료 시 듣게 되는 날카로운 기계소리는 치과공포증을 유발하고 결국 환자는 통증을 참으며 병원 방문을 꺼리게 만들고 결국 치과 질환을 더 키우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치료에 더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상황을 가져올 수 있으며 심지어 환자뿐만 아니라 동행하는 보호자에게도 치과병원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주게 되는 주요한 요인이다.
치과병원에서 진료시 발생하는 소음의 수준은 신체에 어떤 문제를 끼칠 수 있는 수준인가? 0dB(A)), 보존치료(치아 연마, 69.3dB(A)) 순으로 나타났으며 말초혈관 수축, 부신피질 호르몬 감소하고 청력손실의 발생 등을 보일 수 있는 수준이며 대부분이 4k(Hz)이상의 고주파 성분이 지배적이어서 소름을 돋게 하며 결국 치과병원 방문을 꺼리게 만드는 치과공포증을 유발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대부분의 치과병원에서는 수면마취 시행을 통하여 환자가 느끼게 되는 소음과 진료 시 통증을 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라 할 수 없으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소음 장비로 교체하거나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능동형소음제어(ANC, Active Noise Control) 기술 개발 및 Masking effect 등의 방법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치과병원에서 진료 시 발생되는 주요 소음은 무엇인가? 치과병원에서 진료 시 발생되는 주요 소음은 치아의 보존 및 보철치료 할 때 사용되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치과용 드릴소리, 치석제거를 위해 스케일링할 때 사용되는 Ultrasonic scaler 소리, 입안에 고인 물 등 이물질을 빨아들이기 위해 작동시키는 기구(Suction) 소리, 진료기구에 동력을 제공하는 Compressor 소리 등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 소음의 특성은 고주파의 강한 소음으로 대부분의 치과병원 방문자들에게 높은 불쾌감을 주게 되며 반복적으로 노출 시 청력장애의 위험이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Jeong IR, et al., "New Noise and Vibration". Shinkwang, Inc, pp44-49, 2001. 

  2. Kim KW, et al., "Workers'fear of dental treatment and other factors". J Korean Acad Dental Hygiene Education Vol. 10, No. 1, 2010. 

  3. Lee HS, et al,. "Impact of Resourcefulness and Communication Style on Nursing Performance in Hospital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Vol.19, No .2, pp.253-260, May, 2012. 

  4. Kim MS, et al., "Patient's Perceptions of Health Professionals' Unkind Behavior". J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2,. No.4, pp. 422-443, 2012. 

  5. Lee JH et al.,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medical communication, reliance and satisfaction to dental hygienist".J Korean Soc Dent. Hyg, Vol 12, No 5, pp. 1017-1027, 2012. 

  6. Kim JM, "The Health Effects of Industrial Noise".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special feature pp.131-137, 2007. 

  7. Ji DH, et al., "Characteristics of Noise Radiated at Dental Clinic". Environ. Eng. Vol 31, No 12, pp. 1123-1128,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