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이한 화학적 구조를 가진 이산화탄소 흡수제의 열화특성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Absorbents with Different Chemical Structures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1 no.10, 2009년, pp.883 - 892  

김준한 (한전전력연구원 녹색성장연구소) ,  이지현 (한전전력연구원 녹색성장연구소) ,  장경룡 (한전전력연구원 녹색성장연구소) ,  심재구 (한전전력연구원 녹색성장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이산화탄소 흡수제인 알칸올아민계 흡수제(MEA, AMP, DEA, MDEA)를 사용하여 각 흡수제의 구조에 따른 열화특성을 평가하였다. 흡수제의 열화는 산화성열화(oxidative degradation)와 열적열화(thermal degradation)의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산화성열화 실험은 $30^{\circ}C$$60^{\circ}C$의 저온 실험장치에서 이산화탄소 ($CO_2$)와 산소($O_2$)에 대한 열화도를 평가하였으며 열적열화는 $130^{\circ}C$$150^{\circ}C$의 고온에서 이산화탄소에 대한 열화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흡수제의 산화성열화는 DEA의 열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흡수제의 열적열화는 $150^{\circ}C$에서 대부분의 흡수제에서 발생하였는데 그 중 MEA와 DEA의 열화가 가장 심하였다. 결론적으로 내열화성 측면에서 1차 아민이지만 3차 탄소에 결합되어 입체장애를 갖는 AMP가 가장 우수한 흡수제인 반면, 2차 아민이며 분자내 OH기를 2개 가지며 아민이 노출된 DEA가 열화도 측면에서 가장 좋지 못한 흡수제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흡수제의 기본구조에 따른 열화 안정성을 평가하여 이산화탄소 흡수를 위한 알칸올아민 흡수제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valuated the degradation properties of various alkanolamine absorbents (MEA, AMP, DEA, and MDEA) having different chemical structures for $CO_2$ capture. The degradation of $CO_2$ absorbent in general was known to be caused by oxygen which is in flue gas and by heat sour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본 논문에서는 알칸올아민 흡수제의 화학구조와 관능기에 따른 열화특성을 살펴보고자, 1차 아민이며 수산기와 아민기가 각각 1개인 MEA, 1차 아민이며 수산기와 아민기를 1개씩 가지는 입체장애아민인 AMP, 2차 아민이며 수산기 2개와 아민기 1개를 가지는 DEA, 3차 아민이며 수산기 2개와 아민기 1개를 보유한 MDEA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MEA, AMP, DEA 그리고 MDEA의 구조는 Fig.
  •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흡수제의 열화메커니즘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경로를 다양한 물질을 생성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선정하여 이들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산화성열화 및 열적열화 특성을 평가하고, 이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알칸올아민계 흡수제로서 1차 아민인 MEA, 1차 아민 중 입체장애아민(sterically hindered amine)인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 methyl -1-propanol, AMP), 2차 아민인 디에탄올아민, 3차 아민인 N-메틸디에탄올아민(N-methyldiethanolamine, MDEA)을 이용하여 흡수제 구조에 따른 산화성열화 및 열적열화에 대해 흡수제의 안정성을 평가하여 습식흡수법에 적합한 내열화성 알칸올아민 흡수제의 기본 구조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소에 의한 열화 및 열에 의한 열화에 대해 평가하고, 열화시 생성되는 열화생성물의 피크 분석을 통해이산화탄소 흡수제로써 열화에 안정적인 흡수제를 제시하여 습식 흡수법에 적합한 알칸올아민 흡수제의 기본 구조를 제안하고자 실제 이산화탄소 분리회수 공정의 운전 조건과 동일한 온도 및 가스 조성 상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실기체의 종류는? 온실기체의 대기 중 농도 상승으로 인한 지구온난화는 지구의 평균온도 증가, 해수면 상승, 사막화 등 갖가지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온실기체는 알려진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를 1로 기준하여 표현하는 지구온난화지수는 메탄 21, 아산화질소 310, 수소불화탄소 1,300, 과불화탄소 7,000, 육불화황 23,900 이다. 지구온난화지수가 높은 과불화탄소, 육불화황 등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양이 극히 적어 온실기체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전체 온실기체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지구온난화의 악영향은? 온실기체의 대기 중 농도 상승으로 인한 지구온난화는 지구의 평균온도 증가, 해수면 상승, 사막화 등 갖가지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온실기체는 알려진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를 1로 기준하여 표현하는 지구온난화지수는 메탄 21, 아산화질소 310, 수소불화탄소 1,300, 과불화탄소 7,000, 육불화황 23,900 이다.
화석연료의 점유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이유는? 그러나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의 보고서에 따르면, 2004년 대비 2030년의 에너지 사용량은 53%가 증가하게 되고 1차 에너지 중 화석연료의 점유율은 2004년 80%에서 2030년 81%로 오히려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1) 이러한 원인은 온실기체의 배출저감 및 처리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는 에너지 이용시스템 고효율화 및 수요저감 그리고 신재생에너지가 온실효과 저감에 대한 파급효과가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른 시일 내에 화석연료의 역할을 완벽하게 대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석연료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연소 후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포집하고 저장 또는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연구가 현실적인 대안으로 연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IEA, 'Energy technology perspectives-scenarios & strategies to 2050,' IEA Publication(2006) 

  2. Seo, H. J., Yu, E. Y., 'Carbon nanotubes resulted from the carbon dioxide reforming by catalytic pyrolysis to reduce the greenhouse gas,' Environ. Eng. Res., 7(4), 247-252(2002) 

  3. Olukayode F. D., and Axel, M., 'Mechanism and Kinetics of COS-Induced Diethanolamine Degradation,' Ind. Eng. Chem. Res., 33, 480-487(1994) 

  4. Kohl, A. L., and Nielson, R. B., 'Gas Purification', Gulf Publishing, Houston, TX(1997) 

  5. Maddox, R. N., 'Gas Conditioning and Liquid Sweetening,' Campbell Petroleum series, Norman, OK(1974) 

  6. Shrikar, C., Guptha, A., and Humek, B., 'Advanced technology for the capture of CO2 from flue gases,' first National conference on Carbon Sequestration, Washington, DC, May 15-17, pp. 1-11(2001) 

  7. Astarita, G., Savage, D. W., and Bisio, A., 'Gas treating with chemical solvents,' John Wiley & Sons(1992) 

  8. Polderman, L. D., Dillo, C. P., and Steele, A. B., 'Why MEA solution breaks down in gas treating service,' Oil Gas J., 53, 69-71(1950) 

  9. Kim, C. J., 'Degradation of alkanolamines in gas treating solutions : kinetics of di-2-propanolamine degradation is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carbondioxide,' Ind. Eng. Chem. Res., 27(1), 1-3(1988) 

  10. Adeola, B., and Raphael, O. I., 'Pathways for the formation of products of the oxidative degradation of $CO_{2}$ -loaded concentrated aqueous monoethanolamine solutions during $CO_{2}$ absorption from flue gases,' Ind. Eng. Chem. Res., 44, 945-969(2005) 

  11. Rooney, P., C., Dupart, M., S., and Bacon, T., R., 'Oxygen's role in alkanolamine degradation,' Hydrocarbon Process., Int. Ed., 109-113(1998) 

  12. Dennis, W. H., Hull, L., A., and Rosenblatt, D., H., 'Oxidation of Amines. IV. Oxidative Degradation,' J. Org, Chem., 32, 3783-3787(1967) 

  13. Hull, L., A., Davis, G., T., and Rosenblatt, D., H., 'Oxidation of Amines. VII Chemical and Electrochemical Correlation,' J. Phys. Chem., 73, 2142-2146(1969) 

  14. Chi, S., and Rochelle, G. T., 'Oxidative Degradation of Monoethanolamine,' Ind. Eng. Chem. Res., 41, 4178-4186(2002) 

  15. 정순관, 화학공학연구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cheric.org,(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