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동굴의 수환경에 관한 연구
Hydrological Environment of Korea Caves 원문보기

洞窟 : 한국동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peleological society, no.93 = no.93, 2009년, pp.53 - 68  

김추윤 (신흥대학)

초록

동굴형성에 영향을 주는 한반도의 자연환경 중에서 특히 수환경에 대하여 조사하여 그 특징을 간략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logical environment of Korea caves were investigating. Hydrologic environment gives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ave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공개 동굴인 소동굴의 동굴 내부의 온도는 어떠한가? 미공개 동굴인 소동굴들은 내부의 공동이 적은 관계로 기류의 움직임이 매우 느려서 기온분포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즉 동굴내부로 들어가면 입구를 제외하고는 어느 지점부터는 항온을 유지하기에 동굴속 깊은 곳의 온도는 석회암 온도와 유사하다. 동굴내부에서 기온은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내부지점에 있어서는 동계, 하계의 구별로 인한 그 차이가 적다.
한반도의 일반적인 지리적 특징은 무엇인가? 동굴형성에 영향을 주는 한반도의 자연환경 중에서 특히 수환경에 대하여 조사하여 그 특징을 간략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한반도의 일반적인 지리적 특징을 살펴보면 대략 북위 33-43 ° ,동경 124-132°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60-70%정도가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산지는 경사를 수반하여 하천의 배태에 유리한 자연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동굴형성에 일조를 하였다.
한국이 남북은 길고 동서는 짧기때문에 어떤 기후 분포를 갖고 있는가? 한반도의 남북간 최장거리는 함북의 온성에서 전남의 해남까지 1070km이고, 동서간 최단거리는 평북의 박천에서 함남의 정평까지 약 175km이다. 한국은 이와같이 남북은 길고 동서는 짧아 기후대가 수평적으로 여러 단계로 나누어져 난대기후에서 냉대기후까지 폭넓은 기후 분포대를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추윤 외 2인. 1994. 온달굴지대의 자연지리 환경. 한국동굴학회지. 37호. pp.38-67 

  2. 김추윤. 1993. 온달굴의 생태환경에 관한 연구.한국동국학회지. 34호. pp.30-40 

  3. 김추윤. 2005. 심복굴의 동굴 환경. 한국동굴학회지. 67호. pp.35-42 

  4. 남궁준 외 2인. 1987. 한국의 동굴 

  5. 동화기술 편집부. 2001. 공정시험방법(수질오염). 동화기술출판사 

  6. 매헌 홍시환박사 회고록 간행위원회. 1997. 매헌황시환박사 회고록 

  7. 이금수. 1990. 동굴의 환경보전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2호. pp.57-66 

  8. 한국동굴협회. 1970. 한국의 동굴. 문공부 문화재관리국 

  9. 한국의 동굴. 1987. 동굴생물. 아카데미서적. pp.264-281 

  10. 홍시환 외 2인. 1991. 천동굴의 환경보전 및 안전진단조사보고서 

  11. 홍시환 외 3인. 1990. 천동굴의 동굴환경에 관한 연구 

  12. 홍시환. 1990. 한국동굴대관. 삼주출판사 

  13. 홍현철 외 1인. 1990. 노동굴의 환경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4호 pp.73-106 

  14.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 2003. 전국자연동굴 조사보고서 

  15.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 2004. 2002전국자연동굴 조사보고서(안산안굴, 강릉1,2,3) 

  16.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 2004. 2003전국자연동굴 조사보고서(환티기굴, 우로굴) 

  17. 환경부. 2001. 천연동굴 실태 및 보호 방안 

  18. 환경부. 2002. 전국 자연동굴 조사 지침서 

  19. Bretz, J. H. 1942. Vadose and phreatic feature of limestone caverns, Jour. Geology 50호 pp.675-811 

  20. Sweeting, A. C. 1950. Erosion cycled and limestone caverns, Geogr. J.(115) 

  21. June C. Schmid. 1980. Karst Hydrology and Physical speleology, Springer-Verlag, New York Heidelberg 

  22. J. N. Jennings. 1985. Karst Geomorphology, Basil Blackwell Ltd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