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건강 증진 및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약용버섯으로서 항산화효과와 항암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다. 상황버섯은 주로 추출물이나 분말의 형태로 복용되고 있으며, 최근 분쇄기법의 발달로 초미세분말 형태의 제품이 상용화되면서 식이 안전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상황버섯 초미세분말과 일반 미세분말을 동물에게 먹인 후 입자의 크기에 따른 식이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부피평균에 의한 입도분석 결과, 상황버섯 초미세분말(SPL)과 미세분말(FPL) 입자의 평균지름은 각각 11.8 ${\mu}m$와 216.1 ${\mu}m$였고, d (0.5)는 각각 5.5 ${\mu}m$와 147.9 ${\mu}m$였다. 동물의 체중, 사료 섭취량 및 각 기관의 무게를 관찰한 결과 SPL군은 정상군(N)이나 FPL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액학 및 생화학적 검사에서는 ALT(N vs. FPL, P<0.001)와 BUN(N vs. FPL, P<0.01; N vs. SPL, P<0.01)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였으나 FPL군과 SPL군 사이의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그 밖의 다른 검사항목들은 모두 정상범위 내에 포함되었다. 또한 조직학적 검사 결과에서도 비정상적인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초미세 가공된 상황버섯을 경구투여할 경우 혈액학, 생화학, 조직학적인 측면에서 동물에게 유해하지 않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다량의 초미세입자가 소화기와 장기간 접촉할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조직학적 유해성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officinal mushroom, Phellinus linteus (PL) has been known to exhibit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effect. PL is consumed as a type of powder or extract for the purpose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treatment. Recently superfine PL products was commercializ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사용되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을 초미세 가공하여 마우스에게 경구투 여한 후 기존의 분쇄법으로 생산된 상황버섯 미세분말과 비교함으로써 혈액학, 생화학, 조직학적 관점에서 입자크기의 감소에 따른 생체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초미세가공된 상황버섯 사료를 동물에게 식이하고 기존의 미세분말사료와 정상사료를 식이한 동물과 비교함으로써 입자의 감소에 따른 식이안전성을 조사 하였다. 실험식이 식이 후 사료섭취량과 체중 및 각 기관의 무게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식품에 적용되는 입자의 크기는 어떠한가? 나노기술(초미립화 기술)은 1~100 nm 사이의 원자나 분자 수준의 나노물질을 이용하여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거나 신소재를 생성하는 첨단 기술로서, 공학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식품분야에도 도입되어 제품개발에 응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나노식품에 적용되는 입자는 수 나노미터에서 수백 나노미터 사이의 크기를 가지며, 입자크기의 감소로 인해 독특한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식품소재로 사용되는 나노물질은 크게 재료나 원료의 크기를 작게 만드는 톱 다운(Top Down) 방식과 분자나 원자 수준의 물질을 나노 크기로 만드는 보텀 업(Bottom Up) 방식에 의해 생성되며, 현재 식품산업 분야에서는 저렴한 생산비와 대량생산의 용이성 때문에 미세켑슐화, 나노에멀션 기술, 나노복합체 기술 등을 포함하는 보텀 업 기술을 주로 개발, 적용하고 있다.
나노기술이란 무엇인가? 나노기술(초미립화 기술)은 1~100 nm 사이의 원자나 분자 수준의 나노물질을 이용하여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거나 신소재를 생성하는 첨단 기술로서, 공학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식품분야에도 도입되어 제품개발에 응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나노식품에 적용되는 입자는 수 나노미터에서 수백 나노미터 사이의 크기를 가지며, 입자크기의 감소로 인해 독특한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Top Down 방식의 장점은? 한편 톱다운 방식은 적은 설비로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생산해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현대인의 바쁜 생활패 턴은 식품의 선택에 있어서 건강상의 유익과 편리함을 우선시하고 있고, 인공적인 가공식품 보다는 자연식품을 선호 하는 사회적인 분위기로 인해 천연식품 재료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시장성은 날로 확대 추세에 있다(Roiz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Florence AT, Hillery AM, Hussain N, Jani PU: Factors affecting the oral uptake and translocation of polystyrene nanoparticles: histological and analytical evidence. J Drug Target 3(1) : 65-70, 1995 

  2. Jeon TI, Hwang SG, Lim BO, Park DK: Extracts of Phellinus linteus grown germinated brown rice suppress liver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Biotechnol Letter 25 : 2093-2096, 2003 

  3. Kim JH, Son IS, Kim JS, Kim KH, Kwon CS: Lipase-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 and the powder of Phellinus linteus. Korean Soc Food Sci Nutr 37(2) : 154-161, 2008 

  4. Kim SH, Lee HS, Cho J, Ze K, Sung J, Kim YC: Mycelial culture of Phellinus linteus protects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against hepatotoxins. J Ethnopharmacol 95 : 367-372, 2004 

  5. Lam C, James JT, McCluskey R, Hunter RL: Pulmonary toxicity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in mice 7 and 90 days after intratracheal instillation. Toxicol Sci 77 : 126, 2004 

  6. Macoubrie J: Nanotechnology: Public concerns, reasoning and trust in government. Public Underst Sci 15 : 221-241, 2006 

  7. Matsuba S, Matsuno H, Sakuma M, Komatsu Y: Phellinus linteus extract augments the immune response in mitomycin C-induced immunodeficient mic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5(1) : 85-90, 2007 

  8. Monteiro-Riviere NA, Nemanich RJ, Inman AO, Wang YY, Riviere JE: Multi-walled carbon nanotube interactions with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Toxicol Lett 155(3) : 377-384, 2005 

  9. Oberdorster E: Manufactured nanomaterials (fullerenes, C60) induce oxidative stress in the brain of juvenile largemouth bass. Environ Health Perspect 112(10) : 1058-1062, 2004 

  10. Ohno T, Takahashi Y, Tanabe H, Hirayama H, Mizukami H, Ogihara Y: Inhibitory effect of oral intake of natural Phellinus linteus fruit body on growth and pulmonary metastasis of B16/BL6 melanoma. J Nat Med 61 : 438-442, 2007 

  11. Rozin P, Spranca M, Krieger Z, Neuhaus R, Surillo D, Swerdlin A: Preference for natural: instrumental and ideational/moral motivations, and the contrast between foods and medicines. Appetite 43 : 147-154, 2004 

  12. Ryman-Rasmussen JP, Riviere JE, Monteiro-Riviere NA: Penetration of intact skin by quantum dots with diverse physicochemical properties. Toxicol Sci 91(1) : 159-165, 2006 

  13. Sanguansri P, Augustin MA: Nanoscale materials development-a food industry perspective. Trends Food Sci Technol 17 : 547-556, 2006 

  14. Sohn EH, Roh HS, Park YS, Sohn ES, Kang SC, Kang NS, Pyo SK: Phellinus linteus; market and technology trends analysi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2) : 109-117, 2008 

  15. Song YS, Kim SH, Sa JH, Jin CB, Lim CJ, Park EH: Anti-angiogenic, antioxidant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the mushroom Phellinus linteus. J Ethnopharmacol 88 : 113-116, 2003 

  16. Volkheimer G: Passage of particles through the wall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9 : 215-225, 1974 

  17. Zou X, Guo X, Sun M: pH control strategy in a shaken minibioreactor for polysaccharide production by medicinal mushroom Phellinus linteus and its anti-hyperlipemia activity. Bioprocess Biosyst Eng 32(2) : 277-281,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