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동일시기에 사용된 보증종모우(한국형 보증종모우와 수입 보증종모우 포함)와 후보종모우의 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2004년 사이에 사용된 종모우 1,128두의 딸소 148,329두의 산유능력검정기록을 분석하였다. 유량의 경우 보증종모우의 생산능력이 후보종모우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보증종모우를 수입 보증종모우와 한국형 보증종모우로 구분하여 비교해 보면 동일 년도에 사용된 후보종모우의 능력이 한국형 보증종모우의 능력에 비해 항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젖소개량을 위한 종모우 선발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지방은 국내에서 선발된 종모우의 생산 능력이 수입 보증종모우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에서 종모우 선발을 위한 종합지수식에서 유지방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종모우 딸소들의 평균 생산능력을 이용하여 종모우의 능력을 비교하였으나 수입 보증종모우의 경우 국내산 종모우에 비해 정액이 고가로 판매되고 있어 농가에서 능력이 우수한 암소에 주로 사용되고 후보종모우 정액은 무상으로 공급됨에 따라 능력이 낮은 암소에 주로 사용되는 선택적 효과(preferential effect)를 고려할 경우 국내산 종모우의 능력이 과소평가될 수도 있어 향후 이러한 효과를 고려한 분석이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 동일시기에 사용된 보증종모우(한국형 보증종모우와 수입 보증종모우 포함)와 후보종모우의 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2004년 사이에 사용된 종모우 1,128두의 딸소 148,329두의 산유능력검정기록을 분석하였다. 유량의 경우 보증종모우의 생산능력이 후보종모우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보증종모우를 수입 보증종모우와 한국형 보증종모우로 구분하여 비교해 보면 동일 년도에 사용된 후보종모우의 능력이 한국형 보증종모우의 능력에 비해 항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젖소개량을 위한 종모우 선발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지방은 국내에서 선발된 종모우의 생산 능력이 수입 보증종모우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에서 종모우 선발을 위한 종합지수식에서 유지방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종모우 딸소들의 평균 생산능력을 이용하여 종모우의 능력을 비교하였으나 수입 보증종모우의 경우 국내산 종모우에 비해 정액이 고가로 판매되고 있어 농가에서 능력이 우수한 암소에 주로 사용되고 후보종모우 정액은 무상으로 공급됨에 따라 능력이 낮은 암소에 주로 사용되는 선택적 효과(preferential effect)를 고려할 경우 국내산 종모우의 능력이 과소평가될 수도 있어 향후 이러한 효과를 고려한 분석이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erformances of proven and young holstein bulls bred in Korea. Proven bulls are categorized into the imported and the korean ones. Data from 148,329 heads of daughters of 1,128 bulls from 1990 to 2004 were used in this study. Proven bulls showed higher mil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erformances of proven and young holstein bulls bred in Korea. Proven bulls are categorized into the imported and the korean ones. Data from 148,329 heads of daughters of 1,128 bulls from 1990 to 2004 were used in this study. Proven bulls showed higher milk yield than young bulls in same year. Young bulls, however, always yielded more milk than korean bulls when proven bulls were categorized into the imported and the korean ones. Hence, it was proven that dairy bull selection program had properly been functioned in Korea. Selected bulls, which were korean proven bulls and young bulls, yielded higher milk fat than imported bulls as the selection was weighted on the yield of the milk fat. This comparison was based on the performances of daughters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semen price. Semen price of the imported proven bulls were higher than the korean proven bulls and the semen of young bulls was free. Hence, the performances of korean bull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preferential effect would be much higher than others, an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erformances of proven and young holstein bulls bred in Korea. Proven bulls are categorized into the imported and the korean ones. Data from 148,329 heads of daughters of 1,128 bulls from 1990 to 2004 were used in this study. Proven bulls showed higher milk yield than young bulls in same year. Young bulls, however, always yielded more milk than korean bulls when proven bulls were categorized into the imported and the korean ones. Hence, it was proven that dairy bull selection program had properly been functioned in Korea. Selected bulls, which were korean proven bulls and young bulls, yielded higher milk fat than imported bulls as the selection was weighted on the yield of the milk fat. This comparison was based on the performances of daughters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semen price. Semen price of the imported proven bulls were higher than the korean proven bulls and the semen of young bulls was free. Hence, the performances of korean bull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preferential effect would be much higher than others, an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용된 보증종모우 (한국형 보증종모우와 수입 보증종모우 포함)와 후보종모우의 딸소의 능력을 비교하여 한국형 보증종모우 생산을 위한 후대검정사업의 활성화의 핵심요소인 후보종모우 선발의 적정성 판단하고, 낙농가들에게 후보종모우를 일정부분 사용을 권장하는 자료를 만들어 후보종모우 사용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을 완화시킴으로서 효율적인 후대검정사업 추진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제안 방법
국내에서 동일시기에 사용된 보증종모우 (한국형 보증종모우와 수입 보증종모우 포함)와 후보종모우의 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2004년 사이에 사용된 종모우 1,128두의 딸소 148,329두의 산유능력검정기록을 분석하였다. 유량의 경우 보증종모우의 생산능력이 후보종모우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보증종모우를 수입 보증종모우와 한국형 보증종모우로 구분하여 비교해 보면 동일 년도에 사용된 후보종모우의 능력이 한국형 보증종모우의 능력에 비해 항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젖소개량을 위한 종모우 선발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상 데이터
분석자료는 2008년 상반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에서 유전능력이 평가된 종모우 1,311두 중 1990년부터 2004년 사이에 사용된 종모우 1,128두를 보증종모우(한국형 보증종모우와 수입 보증종모우 포함)와 후보종모우로구분하였으며 이들의 딸소 148,329두의 1산차 305일 산유 능력검정기록을 활용하였다 (Table 1).
데이터처리
본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된 종모우의 종류, 사용년도 및 종모우의 종류와 사용년도간의 교호작용을 요인으로 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산분석에서 유의성이 인정된 경우 평균간 다중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으로 SAS 9.
성능/효과
1) Twenty nine Korean proven bulls were excluded as these were selected from 172 Young bulls for progeny test. (e.
2) The record of the daughters of Korean proven bulls from 2005 to 2008 was the record of the daughters of Young bulls selected by the progeny test untill 2004.
Table 2에 표시한 각 요인에 대한 유의성 검정 결과를 보면 유량에 대한 종모우 종류, 종모우 사용년도 및 종모우 종류와 사용년도간의 교호작용 모두 고도의 유의성 (p<0.01)을 나타내었다.
유지방, 유단백질 및 무지고형분 등의 유성분에 있어서 사용년도와 교호작용은 고도의 유의적 효과 (P<0.01)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모우의 종류는 유지방과 무지고형분에는 유의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량의 경우 보증종모우의 생산능력이 후보종모우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보증종모우를 수입 보증종모우와 한국형 보증종모우로 구분하여 능력을 비교해 보면 수입 보증종모우, 후보종모우, 한국형 보증종모우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최근 년도에 가까워질수록 수입 보증종모우와 국내에서 선발된 종모우간 (한국형 보증종모우와 후보종모우)의 격차가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 년도에 사용된 후보종모우의 능력이 한국형 보증종모우의 능력에 비해 항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젖소개량을 위한 종모우 선발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성분 중 유지방은 국내에서 선발된 종모우의 생산능력이 수입 보증종모우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유지방 개량을 목적으로 한다면 우리나라에서 선발된 종모우를 사용하는 것이 수입 보증종모우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연구
본 연구에서는 각 종모우 딸소들의 평균 생산능력을 이용하여 종모우의 능력을 비교하였으나 수입 보증종모우의 경우 국내산 종모우에 비해 정액이 고가로 판매되고 있어 농가에서 능력이 우수한 암소에 주로 사용되고 후보종모우 정액은 무상으로 공급됨에 따라 능력이 낮은 암소에 주로 사용되는 선택적 효과(preferential effect)를 고려할 경우 국내산 종모우의 능력이 과소평가될 수도 있어 향후 이러한 효과를 고려한 분석이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젖소의 우유 생산능력과 같이 암컷에서만 발현되는 한성형질을 개량하기 위하여 종모우를 이용하는 방법은 어떤 방법이 있는가?
유전적 개량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종모우의 선발여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Powell과 Norman, 1989). 젖소의 우유 생산능력과 같이 암컷에서만 발현되는 한성형질을 개량하기 위하여 종모우를 이용하는 방법은 선조의 혈통정보 (pedigree information)에 근거하여 선발된 후보종모우를 이용하거나 후대검정 (progeny testing)을 실시하여 자손의 능력에 근거 하여 선발된 보증종모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Freeman, 1975; Abdallah와 McDaniel, 2002). 즉 후보종모우와 보증 종모우는 별개의 집단이 아니라 세대를 달리하고 있는 집단이다.
젖소 선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가장 큰 목적은 무엇인가?
젖소 선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가장 큰 목적은 유전적 개량을 최대로 하여 그에 따른 최고의 수익을 얻기 위함이다 (Abdallah와 McDaniel, 2000). 유전적 개량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종모우의 선발여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Powell과 Norman, 1989).
국내에서 동일시기에 사용된 보증종모우 (한국형 보증종모우와 수입 보증종모우 포함)와 후보종모우의 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2004년 사이에 사용된 종모우 1,128두의 딸소 148,329두의 산유능력검정기록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국내에서 동일시기에 사용된 보증종모우 (한국형 보증종모우와 수입 보증종모우 포함)와 후보종모우의 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2004년 사이에 사용된 종모우 1,128두의 딸소 148,329두의 산유능력검정기록을 분석하였다. 유량의 경우 보증종모우의 생산능력이 후보종모우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보증종모우를 수입 보증종모우와 한국형 보증종모우로 구분하여 비교해 보면 동일 년도에 사용된 후보종모우의 능력이 한국형 보증종모우의 능력에 비해 항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젖소개량을 위한 종모우 선발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지방은 국내에서 선발된 종모우의 생산능력이 수입 보증종모우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에서 종모우 선발을 위한 종합지수식에서 유지방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3)
Abdallah, J. M. and McDaniel, B. T. 2000. Genetic change i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