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동 농촌지역 중년 및 노인 주민의 고혈압 유병율과 위험요인 분석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Related Risk Factors of the Older Residents in Andong Rural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7, 2009년, pp.852 - 861  

이혜상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인숙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정숙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고혈압 예방을 위한 영양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지역 농촌의 40세 이상 중년 및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신체특성 및 생화학적 영양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가 고혈압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로지스틱회귀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자 1,296명(남자 496명, 여자 800명) 중 고혈압(비인지 고혈압)이 602명(남자 272명, 여자 330명)으로 46.5%였으며, 원대상자의 고혈압 환자(778명) 중 고혈압을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23%(176명)인 반면, 고혈압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이 77%로, 고혈압 환자의 3/4이상이 자신이 고혈압인지를 모르고 있는 실정이었다. 신체계측 결과, 체중, 체지방율,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가 남녀 모두 정상 혈압군보다 고혈압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혈액의 생화학적 조사 결과, 여자의 중성지방치가 정상혈압군에 비해 고혈압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제외하고,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남자) 및 공복혈당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고혈압 발생에 미치는 위험도를 교차비로 분석한 결과, 남성, 고령, 체지방율 또는 체질량지수에 의한 비만, 허리둘레에 의한 복부비만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액의 지질치와 공복 혈당치는 고혈압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음주 및 운동습관의 고혈압 발생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흡연여부와 흡연량은 관련성이 없었고, 음주의 경우는 음주 빈도가 높거나 음주량이 많을수록 고혈압 발생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습관의 경우, 운동 여부, 빈도 및 일회 운동시간 모두 고혈압 발생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과 고혈압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육류 섭취를 주 1회 미만 하는 사람이 주 1회 이상 하는 사람보다 고혈압 발생 위험성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생선, 과일 및 채소 섭취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 상태를 영양섭취기준 이상과 미만 섭취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영양소 섭취상태와 고혈압 발생의 유의적인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 지역 주민들의 고혈압 조기 발견을 위해 규칙적인 혈압 측정이 필요하며, 고혈압 예방을 위해 음주 빈도와 일일 음주량을 줄이고 적정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질병과 영양 섭취의 관련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의 사용이 타당하나, 본 연구에서는 조사원의 부족과 조사대상자의 제한점으로 인해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하였고, 이로 인해 고혈압과 영양 섭취와의 관련성을 입증함에 있어서 다소 미흡함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from Jan/2003 to Feb/2003. The subjects were 1,296 people (496 males, 800 females) aged 40 years and over living in Andong rural area. The hypertensive group was composed of 602 people (272 males, 330 females), who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고혈압 예방을 위한 영양 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지역 농촌의 40세 이상 중년 및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신체특성 및 생화학적 영양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가 고혈압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로지스틱회귀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자 1,296명(남자 496명, 여자 800명) 중 고혈압(비인지 고혈압)이 602명(남자 272명, 여자 330명)으로 46.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영양불량, 흡연 비율이 높은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40세 이상 중년 및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신체특성 및 생화학적 영양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가 고혈압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농촌지역 주민들의 고혈압 예방을 위한 영양 사업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압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무엇이 있는가? 혈압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비만, 흡연, 음주, 운동 및 식습관 등 다양한 요인들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9-20). 비만과 고혈압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보고하고 있으나(11-19), 흡연, 음주, 운동 등의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비롯한 식품 및 영양소 섭취와 고혈압의 관련성은 연구에 따라 다른 결과가 제시되고 있다(10-18,20).
흡연, 음주 및 운동 상태를 조사하기 위한 세부항목은 무엇인가? 생활 습관으로 흡연, 음주 및 운동 상태를 조사하였다. 흡연 상태는 흡연 여부와 일일 흡연 정도를, 음주 상태는 음주 여부, 음주 빈도와 음주량을, 그리고 운동 상태는 규칙적인 운동 여부, 주당 운동 횟수 및 일회 운동량을 조사하였다. 식습관은 육류, 생선, 과일 및 채소(김치 제외) 반찬을 각각 일주일에 몇 번 섭취하는지 조사하였으며, 대상자의 응답 결과 분포로부터 일주일에 1회 이상 섭취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고혈압이 위험한 이유는 무엇인가? 고혈압은 대체로 특별한 자각증상이나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고 서서히 진행하기 때문에 자신이 고혈압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지내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고혈압은 뇌졸중, 심근경색, 울혈성 심부전, 신장병,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며(1,2), 고혈압인 사람은 정상혈압인 사람에 비해 동맥경화성질환의 발생 위험성이 2~3배 높다고 한다(3). 우리나라의 경우 고혈압이 뇌혈관질환과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가 각각 35%와 21%라고 하는 보고가 있으며(4), 고혈압이 뇌혈관질환의 위험도를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urt VL, Whelton P, Roccella E, Brown C, Culter JA, Higgins M, Horan MJ, Labarthe D. 1995.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the US adult population: results from the 3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1. Hypertension 25: 305-313 

  2. Kannel WB. 1986. Prevalence, incidence, and hazards of hypertension in the elderly. Am Heart J 112: 1362-1363 

  3. Izzo JL, Black HR. 1999. Hypertension Primer. 2nd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Baltimore 

  4. Jee SH, Suh I, Kim IS, Appel LJ. 1999. Smoking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with low levels of serum cholesterol: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JAMA 282: 2149-2155 

  5. Park JK, Kim CB, Kim KS, Kang MG, Jee SH. 2001. Meta-analysis of hypertension as a risk factor of cerebrovascular disorders in Koreans. J Korean Med Sci 16: 2-8 

  6.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Health Survey-. 200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7. Annual report on the statistics. 200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8. Andong city statistics annual report. 2007. Andong City 

  9. Schlenker ED. 1993. Nutrition in aging. 2nd ed. WCB McGraw-Hill, New York 

  10. Kim YO. 2006.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does not prevent the hypertension among Korean: the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 Nutr 11: 707-713. 

  11. Son EJ, Moon HK. 2002. The relationship of nutritional status to the degree of hypertension in residents of Kangbukgu, Seoul. Korean J Comm Nutr 7: 304-315 

  12. Moon HK, Park JH. 2007.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 between with and without hypertension using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Korean J Nutr 40: 347-361 

  13. Lee HJ, Lee HS, Lee YN, Jang YA, Moon JJ, Kim CI. 2007. Nutritional environment influences hypertension in middle- aged Korean adults: based on 1998 &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 Nutr 12: 272-283 

  14. Kim JG, Lee MS, Na BJ, Kim KY, Cho HW, Hong JY, Kang MY, Kim DK. 2005. A cross-sectional study on th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in some rural a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1: 114-123 

  15. Eom JS, Lee TR, Park SJ, Ahn YJ, Chung YJ. 2008. The risk factors of the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of rural inhabitants in Chungnam-do. Korean J Nutr 41: 742-753 

  16. Bae JM, Ahn YO. 2002. A nested case-control study on the high-normal blood pressure as a risk factor of hypertension in Korean middle-aged men. J Korean Med Sci 17: 328-336 

  17. Lee SH, Kim YS, Sung SW, Huh BY. 2005.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n obesity and hypertension risk among Korean adults. J Korean Med Sci 20: 188-195 

  18. Lydakis C, Lip GYH, Beevers M, Beevers DG. 1997. Diet, lifestyle and blood pressure. Coronary Health Care 1: 130-137 

  19. Gelber RP, Gaziano JM, Manson JE, Buring JE, Sesso HD. 2007. A prospective study of body mass index and the risk of developing hypertension in men. Am J Hypertension 20: 370-377 

  20. Son SM, Huh GY. 2006. Dietar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patients. Korean J Comm Nutr 11: 661-672 

  21. Lee HS, Kwun IS, Kwon CS. 2008. Nutritional risks analysis based on the food intake frequency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older residents (50 years and over) in Andong area (1).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98-1008. 

  22. Lee HS, Kwun IS, Kwon CS. 2008.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of the older residents (50 years and over) in Andong area (2).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99-1608 

  23. Bales CW. 2001. What does it mean to be 'at nutritional risk'? Seeking clarity on behalf of the elderly. Am J Clin Nutr 74: 155-156 

  24. Marshall TA, Stumbo PJ, Warren JJ, Xie XJ. 2001. Inadequate nutrient intakes are common and are associated with low diet variety in rural, community-dwelling elderly. J Nutr 131: 2192-2196 

  25. Friedwald WT, Levy RI, Fredreicson DS. 1972. Estimation of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6. Nieman DC. 1999.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In A health-related approach. 4th ed. Mountain View, Mayfield, CA 

  27.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Western Pacific Region 

  28.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2001. Third report of the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U.S.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Bethesda, MD 

  29.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04. Screening for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7: S88-S90 

  30. WHO, Department of Mental Health and Substance Dependence. 2001.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care. 2nd ed. 

  31. Klatsky AL. 1996. Alcohol and hypertension. Clinica Chimica Acta 246: 91-105. 

  32. Song Y, Sesso HD, Manson JE, Cook NR, Buring JE, Liu S. 2006. Dietary magnesium intake and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US women in a 10-year follow-up study. Am J Cardiol 98: 1616-16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