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illus subtilis 균주를 이용하여 뽕잎을 발효하고, 발효과정 중 성분 변화와 단백질의 변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뽕잎의 조단백 함량은 21.40%, 구성아미노산은 105.06 mg/g으로 측정되었으며, 그중 주된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였다. 뽕잎 발효 36시간 후 B. subtilis의 생균수는 9.49 log CFU/mL였으며, protease의 활성은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여 발효 120시간에는 97.45 units/mL로, 뽕잎의 환경에서 B. subtilis의 생육이 우수하였다. 2DE 실험 결과 발효 전 관찰되던 단백질 spot이 발효 후 분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은 발효 전($486.91{\mu}g/g$)보다 발효 후($644.35{\mu}g/g$) 증가하였으며, 특히 alanine, isoleucine, leucine, valine의 함량이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발효 전 25.93%에서 발효 후 73.22%로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mulberry leaf using Bacillus subtilis by focusing on protein degrad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crude protein and total amino acid compositions of mulberry leaf were 21.40% (w/w) and 105.06 mg/g, respectively. The pH lev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뽕잎 추출물에 Bacillus subtilis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단백질 및 아미노산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항산화 활성 측정을 통해 발효 뽕잎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뽕잎은 어떤 원료인가? 뽕잎(mulberry leaf)은 식품으로 사용 가능한 원료로 식품공전에 등재된 1998년도부터 가공식품 및 건강식품의 원료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1). 뽕잎은 rutin과 GABA(γ- aminobutyric acid) 유래 혈압강하 효능, β-sitosterol, campesterol, β-sitosterol glycoside, β-ecdysone 및 inokosterone 등에서 유래하는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저하작용 등(1-3)이 알려져 기능성 원료로 주목받고 있는 한편, 뽕잎은 약 20% 이상이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어 단백질 소재로의 이용가치가 증진되고 있다(4).
화학적 가수분해 방법과 달리 미생물 발효를 통한 효소적 가수분해 방법은 어떤 장점을 갖는가? 하지만 화학적 가수분해를 통한 단백질 분해는 과량의 염 생성, 독성물질 생성, 단백질 소화 저해, 아미노산의 racemization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23-26). 반면 미생물 발효를 통한 효소적 가수분해 방법은 단백질의 기능성 유지 및 증진에 도움을 주며, 안전성에서도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7,28). 뽕잎을 발효할 경우 단백질 분해로 인한 저분자 펩티드의 생산은 항산화 활성 등의 기능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고, 유리아미노산 증가는 사료 시장 등에서 소화 및 영양학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단백질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으며 어떤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는가? 단백질은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로 구분이 되는데, 최근 가수분해를 통한 식물성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및 저분자 펩티드들이 가지는 다양한 기능성 및 생리활성이 알려지면서 식품 및 제약 산업에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식물성 단백질 펩티드에 관한 효능 연구로는 항고혈압(5-11), 항산화(12,13), 항혈전(14-16), 면역증진(17-19)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마늘(5), 미역(6), 대두(19), 해바라기(20), 시금치(21) 등 다양한 식물들의 기능성 펩티드에 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