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병원간호사회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 준거 타당도 검정: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Critical Patients'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by the Hospital Nurses' Associatio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5, 2009년, pp.489 - 503  

오현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서화숙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박종숙 (인하대학병원) ,  배은경 (인하대학병원) ,  이수진 (인하대학병원) ,  정윤예 (인하대학병원) ,  최영은 (인하대학병원) ,  최희정 (인하대학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Critical Patients'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 (CPSCS) developed by the Hospital Nurses' Association by examining relationships with brain injury severity measured by Glasgow Coma Scale (GCS), recovery state measured by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회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로 측정된 점수가 뇌손상 환자의 뇌손상 중증도, 회복정도 및 ICU 재원 일수를 판별 및 예측하는데 유의한가를 분석함으로써 도구의 준거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회(1994) 중환자 중증도 분류 도구로 측정한 뇌손상 환자의 점수와 GCS로 측정된 뇌손상 중증도, GOS로 측정된 1개월과 3개월의 회복 정도 및 재원 일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의 준거 타당도를 검정하고자 수행되 었다. 연구결과 병원간호사회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는 뇌손상의 중증도, 1개월과 3개월의 회복 정도, 그리고 집중치료실 재원 기간을 판별 및 예측하는데 모두 유의한 것으론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회의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로 측정된 점수가 뇌손상의 중증도, 회복 정도, 그리고 집중치료실 재원 일수를 판별 및 예측하는데 유의한가를 검정하고자 수행된 전향적-상관관계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손상으로 인해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자가 상태변화가 제일 큰 때는? 뇌손상으로 인해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자들의 상태 변화가 가장 심하게 일어나는 시기는 입원 후 며칠 동안이라 할 수 있는데 중증 뇌손상 환자의 사망의 대부분이 이 기간 동안 일어난다는 보고한 연구들의 결과가 이를 뒷받침하는 경험적 근거이다(Diamond, Gale, & Stewart, 2003). 뇌손상 직후부터 진행되는 뇌부종과 같은 이차적 뇌손상으로 인해 뇌손상 환자들은 흔히 사망하게 되는데 이차적 뇌손상으로 인해 환자의 상태가 극도로 불안정한 시기는 입원 후 1 ~ 2일이다(Fogelholm, Nuutila, & Vuorela, 1992).
집중치료실에 입원하는 환자가 증가함에 의한 변화는? 최근 집중치료실에 입원하는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집중치료실의 자원과 인력의 요구도 또한 크게 증가하였으며(Roh, Kwon, & Kim, 1997; Cho & Lee, 1992) 그로 인해 집중치료실 활용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Koo & Kim, 2002; Jang, 2001). 그동안 집중치료실의 효율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많이 적용된 방식으로는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여 집중치료실의 입실 및 퇴실을 결정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모든 중환자들에게 적용될 목적으로 개발된 것은?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기 위해 적용되어 온 체계들은 대부분 진단명에 관계없이 모든 중환자들에게 적용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그 중 applied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score(APACHE), simplified acute physiology score(SAPS), mortality prediction model (MPN), 그리고 multiple organ failure(MOF) 등은 환자의 사망을 예측하는 방식을 통해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였으며 therapeutic intervention scoring system (TISS-28)은 환자에게 적용된 치료적 중재를 기초로 중증도를 분류하는 체계이다(Kiekkas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hloul, M., Chelly, H., Ben Hmida, M., Ben Hamida, C., Ksibi, H., Kallel, H., Chaari, A., Kassis, M., Rekik, N., Bouaziz, M. (2004). Prognosis of traumatic head injury in South Tunisia: A multivariate analysis of 437 cases. The Journal of Trauma, 57(2), 255-261. 

  2. Black, J., M., & Hawk, J. H. (2005). Medical surgical nursing: Clinical management for positive outcomes (7th ed.). St. Louis: Saunders. 

  3. Cho, J. S. (1999).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ICU patients by K-DRG and the nursing care hours and costs of craniotomy patients. Korean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 (1), 229-246. 

  4. Cho, M. H., & Lee, K. J. (1992). A study of perceived discomfort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4(2), 209-223. 

  5. Diamond, P. T., Gale, S. D., & Stewart, K. J. (2003). Primary intracerebral hemorrhage-clinical and radiologic predictors of survival and functional outcom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5(13), 689-698. 

  6. Fogelholm, R., Nuutila, M., & Vuorela, A. L. (1992). Primary intracerebral hemorrhage in the Jyvaskyla region, central Filand, 1985-1989: incidence, case fatality rate, and functional outcom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55(7), 546-552. 

  7. Geeraerts, T., Friggeri, A., Mazoit, J., Benhamou, D., Duranteau, J., & Vigue, B. (2008). Posttraumatic brain vulnerability to hypoxia-hypotension: the importance of the delay between brain trauma and secondary insult. Intensive Care Medicine, 34, 551-560. 

  8. Goncalves, L. A., Padilha, K. G., & Sousa, R. M. (2007). Nursing activities score (NAS): A proposal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intensive care unit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3, 355-361. 

  9. Hospital Nurses' Association (1994). The study on estimation of nursing cost. Nursing in Living. 

  10. Jagger, J., Jane, J. A., & Rimel, R. (1983). The Glasgow Coma Scale: To sum or not to sum? Lancet, 2, 97. 

  11. Jang, Y. S. (2001). Development of admission and discharge criteria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3(2), 291-304. 

  12. Jennett, B., & Bond, M. (1975). Assessment of outcome after severe brain damage. Lancet, 1(7905), 480-484. 

  13. Johnston, K. C., Connors, A. F., Wagner, D. P., & Haley, E. C. (2003). Predicting outcome in ischemic stroke: External validation of predictive risk models. Stroke, 34(1), 200-202. 

  14. Kang, J. H. (1993).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nursing cost for critical patients in a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Kiekkas, P., Brokalaki, H., Manolis, E., Samios, A., Skartsani, C., & Baltopoulos, G. (2007). Patient severity as an indicator of nursing workload in the intensive unit. Nursing in Critical Care, 12(1), 34-41. 

  16. Kim, J. S., & Boo, S. J. (2005). Evaluating the validity of the Pediatric Index of Mortality II in the intensiv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5(1), 47-55. 

  17. Knaus, W. A., Draper, E. A., Wagner, D. P., & Zimmerman, J. E. (1985). APACHE II: A severity of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Critical Care Medicine, 13(10), 818-829. 

  18. Koo, M, J., & Kim, M. H. (2002). A study about the factors concerned with death of ICU patients by the APACHE III to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4(1), 93-101. 

  19. Ling, G. S., & Marshall, S. A. (2008). Management of traumatic brain injury in the intensive care unit. Neurologic Clinics, 26(2), 409-426. 

  20. Ono, J. I., Amaura, A., Kubota, M., Okimura, Y., & Isobe, K. (2001). Outcome prediction in severe head injury: Analyses of clinical prognostic factors. Journal of Clinical Neuroscience, 8(2), 120-123. 

  21. Padilha, K. G., Sousa, R. M., Queijo, A. F., Mendes, A. M., & Miranda, D. R. (2008). Nursing activities sco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alysis of the related factors. Intensive Critical Care Nursing, 24(3), 197-204. Epub 2007 Oct 31. 

  22. Rovlias, A., & Kotsou, S. (2004).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for prediction of outcome after severe head injury using simple clinical and laboratory variables. Journal of Neurotrauma, 21(7), 886-893. 

  23. Roh, E. S., Kwon, H. J., & Kim, K. H. (1997). A study on caring experiences of the families of the seriously il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9(2), 251-261. 

  24. Rowley, G., & Fielding, K. (1991).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he glasgow coma scale with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users. Lancet, 337, 535-538. 

  25. Schmid-Elasaesser, R., Kunz, M., Zausinger, S., Prueckner, S., Breigel, J., & Steiger, H. J. (2006). Intravenous magnesium versus nimodipin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A randomized study. Neurosurgery, 58(6), 1054-1065. 

  26. Skoglund, T. S., Eriksson-Ritzen, C., Jensen, C., & Rydenhag, B. (2006). Aspects on decompressive craniectomy in patients with traumatic head injuries. Journal of Neurotrauma, 23 (10), 1502-1509. 

  27. Stevens, R. D., Lazaridis, C., & Chalela, J. A. (2008). The role of mechanical ventilation in acute brain injury. Neurologic Clinics, 26(2), 543-563. 

  28. Teasdale, G., & Jennett, B. (1974). Assessment of coma and impaired consciousness. A practical scale. Lancet, 2(7872), 81-84. 

  29. Vincent, J. L., & Ferreira, F. L. (2000). Evaluation of organ failure: we are making progress. Intensive Care Medicine, 26(8), 1023-1024. 

  30. Youn, B. H., & Kim, E. K. (2005). Comparison of predict mortality scoring systems for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7 (3), 464-4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