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자 테일러의 선 원근법과 화가 커비의 해설서
Mathematician Taylor's Linear Perspective Theory and Painter Kirby's Handbook 원문보기

미술이론과 현장 =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v.7, 2009년, pp.165 - 188  

조은정 (목포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development of linear perspective, Brook Taylor's theory has achieved a special position. With his method described in Linear Perspective(1715) and New Principles of Linear Perspective(1719), the subject of linear perspective became a generalized and abstract theory rather than a practical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는 먼저 자신이 읽은 원근법 관련 문헌들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비뇰라(Giacomo Barozzi da Vignola, 1507-1573)와 마롤리스(Samuel Marolois, 1572-1627) 두 이론가의 저서를 언급하면서, 이들 두 이론가들이 후대에 나온 거의 모든 원근법 체계에 영향을 미쳤던 반면에 자신은 ‘이들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난’ 테일러의 이론에 토대를 두고 있다고 자신만만하게 기술했다. 그가 비뇰라로부터 안드레아 포초(Andrea Pozzo, 1642-1709)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원근법 체계를 본문에서 소개한 이유는 이 17세기까지의 저서들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그리고 테일러의) 방식이 지닌 독창성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언급한 저자들의 이론 전반에 대한 소개 보다는 특정한 사례, 예를 들어 수직의 화면에 정육면체나 이중십자 구조체를 그리는 방식 등에 있어서 자신과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비는 어디 출신 화가인가? 커비는 토머스 게인즈버러(Thomas Gainsborough, 1727-1788)와 같은 서포크(Suffolk) 출신의 화가로서 초기에는 고향에 머물면서 초상화와 풍경화를 주로 제작하였으며, 특히 1746년에 게인즈버러가 결혼 후 고향으로 돌아온 이후에 함께 작업을 하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752년에 게인즈버러가 그린 조슈아와 사라 커비 부부의 초상화(도판 3)3)는 일생 동안 지속된 이들 두 화가 사이의 친분을 짐작하게 하는데, 게인즈버러는 이후에도 여러 점의 커비 초상화를 제작한 바 있다.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테일러의 저서가 계기가 되어 선 원근법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북돋워졌으며 동시대 아카데미의 설립과 더불어 화가들을 위한 정규 교육에서 중요한 과정으로 자리 잡게 되었던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유럽 화단의 전체 흐름에서 볼 때 이러한 현상은 한 세기 이상 뒤늦은 것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또한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테일러의 저서가 계기가 되어 선 원근법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북돋워졌으며 동시대 아카데미의 설립과 더불어 화가들을 위한 정규 교육에서 중요한 과정으로 자리 잡게 되었던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유럽 화단의 전체 흐름에서 볼 때 이러한 현상은한 세기 이상 뒤늦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선 원근법의 발전을 선도했던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에서는 이미 화가들의 관심사가 인문주의 미학의 전통과 수학적 규범을 통한 이상미에 대한 추구로부터 멀어지면서 그 권위가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조슈아 커비(Joshua Kirby, 1716-1774)의 원근법 이론서인 「쉽게 해석한 브룩 테일러 박사의 선 원근법 방식, 이론과 실제」는 무슨 책을 토대로 하고 있는가? 조슈아 커비(Joshua Kirby, 1716-1774)의 원근법 이론서인 「쉽게 해석한 브룩 테일러 박사의 선 원근법 방식, 이론과 실제」(도 1)1)는 책 제목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당대의 수학자인 브룩 테일러 (Brook Taylor, 1685-1731)가 1715년에 발표한 「선 원근법」과 1719년에 발표한 개정판인 「선 원근법의 새로운 법칙들」을 토대로 하고 있다. 초판은 1754년에 출판되었으며 다음 해에 2쇄가, 그리고 1765년과 1768년에 개정판이 출판되었던 것으로 미루어 당시 대중적인 호응을 얻었음을 짐작할 수 있으나 후대에는 거의 잊혀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