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아동 및 청소년 주의력 평가를 위한 종합주의력검사의 표준화 연구
Standardization of the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for the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0 no.2, 2009년, pp.68 - 75  

유한익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이중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강성희 ((주)해피마인드) ,  박은희 ((주)해피마인드) ,  정재석 (서울아이정신과의원) ,  김붕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학교실, 임상의학연구소, 행동의학연구소) ,  손정우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박태원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과학교실) ,  김봉석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정신과학교실) ,  이영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중앙대학교병원 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and obtain the nonnative data of the computerized Comprehensive Attention Test(CAT)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t also aim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AT. Methods: We developed the computerized CAT which inclu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상당수는 표준화 과정을 거치지 않았으며, 평가할 수 있는 주의력의 종류도 매우 제한적이었고, 적용 대상을 초등학생 위주로 개발하였기에 청소년이나 초기 성인기 환자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국내 ADHD 의 임상과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비교적 다양하고 포괄적 인종류의 주의력과 작업실행기능 평가 도구의 필요성을 느껴 이를 개발하였다. 또한 검사자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이를 전산화 하였으며, 국내 아동 및 청소년의 규준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학령전기 아동부터 청소년을 대상으로 표준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다양한 종류의 주의력 및 시각 작업기억력의 전산화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국내 아동 및 청소년 912명을 대상으로 표준화 자료를 조사한 연구로서, 전산화 종합주의력 검사(CAT) 의 4세부터 15세까지의 남녀 표준화 규준 자료를 마련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정상 집단은 물론 ADHD 를 비롯한 다양한 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 및 연구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를 통해 ADHD와 관련된 주요 신경심리 영역 중 하나인 주의력 및 작업기억력에 대한 국내 아동 및 청소년의 포괄적인 표준화 자료를 확보하였다.
  • 위와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 처음으로 다양한 종류의 주의력과 작업기억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전산화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임상 및 연구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4세부터 15세까지의 남녀 표준화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추후 지방에 거주하는 대상군 및 성인집단을 추가적으로 보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임상적인 효용성에 대한 자료가 없다. 따라서 ADHD를 포함한 다양한 임상 군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 검사도구가 얼마나 임상적으로 유용한 것인지에 대한 검증이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eidman LJ. Neuropsychological functioning in people with ADHD across the lifespan. Clin Psychol Rev 2006;26:466-485. 

  2. Barkley RA.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New York: Guilford Press; 1996. 

  3. Levine MD. Developmental variations and learning disorders. Cambridge, MA: Educators Publishing Service; 1998. 

  4. Bidwell LC, WilIcutt EG, Defries JC, Pennington BF. Testing for neuropsychological endophenotypes in siblings discordant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iol Psychiatry 2007; 62:991-998. 

  5. Posner MI, Petersen SE. The attention system of the human brain. Annu Rev Neurosci 1990;13:25-42. 

  6. Cohen RA, Malloy PF, Jenkins MA, Paul RH. Disorders of Attention, in Clinical Neuropsychology: A Pocket Handbook for Assessment, P.J. Snyder, P.D. Nassbaum, and D.L. Robins, Editor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2006. p.572-606. 

  7. Conners CK, Epstein JN, Angold A, Klaric J. Continuous performance test performance in a normative epidemiological sample. J Abnorm Child Psychol 2003;31 :555-562. 

  8. Losier BJ, McGrath PJ, Klein RM, Error patterns on the continuous performance test in non-medicated and medicated sample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ADHD: a meta-analytic review.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96;37:971-987. 

  9. Nigg JT. Neuropsychologic theory and finding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he state of the field and salient challenges for the coming decade. Biol Psychiatry 2005;57: 1424-1435. 

  10. Barkley RA.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 Bull 1997;121 :65-94 

  11. Pennington BF, Ozonoff S. Executive functions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96;37:51-87. 

  12. Swanson JM, Posner M, Potkin S, Bonforte S, Youpa D, Fiore C, et al. Activating tasks for the study of visual-spatial attention in ADHD children: a cognitive anatomic approach. J Child Neurol 1991; 6 Suppl:S119-127. 

  13. Huang-Pollock CL, Nigg JT. Searching for the attention deficit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case of visuospatial orienting. Clin Psychol Rev 2003;23:801-830. 

  14. Loring DW. INS Dictionary of Neuro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1999. 

  15. Pennington BF, Bennetto L, McAleer OKea. Executive functions and working memory: theoretical measurement issues. In: Lyon GR, Krasnegor NA, eds. Attention,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Baltimore: Brooks Publishing Co.;1996 

  16. Castellanos FX, Tannock R. Neuroscience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he search for endophenotypes. Nat Rev Neurosci 2002;3: 617-628. 

  17. Schachar R, Mota VL, Logan GD, Tannock R, Klim P. Confirmation of an inhibitory control deficit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Abnorm Child PsychoI 2000;28:227-235. 

  18. Fuster JM. The Prefrontal Cortex: Anatomy, Physiology and Neuropsychology of the Frontal Lobe. 2nd ed. New York: Raven;1997. 

  19. Hinshaw SP, Carte ET, Sami N, Treuting JJ, Zupan BA. Preadolescent girl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I. Neuropsychological perforrnance in relation to subtypes and individual cIassification. J Consult Clin PsychoI 2002;70: 1099-1111. 

  20. Seidman LJ, Biederrnan J, Faraone SV, Weber W, Ouellette C. Toward defining a neuropsychology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erforrnanc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a large clinically referred sample. J Consult Clin Psychol 1997;65:150-160 

  21. Lovejoy DW, Ball JD, Keats M, Stutts ML, Spain EH, Janda L, et aI.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of adul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diagnostic cIassification estimates for measures of frontallobe/executive functioning. J lnt Neuropsychol Soc 1999;5:222-233. 

  22. WilIcutt EG, Pennington BF, Boada R, Ogline JS, Tunick RA, Chhabildas NA, et al. A comparison of the cognitive deficits in reading disability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Abnorm PsychoI 2001;110:157-172. 

  23. Willcutt EG, Doyle AE, Nigg JT, Faraone SV, Pennington BF. Validity of the executive function theory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meta-analytic review. Biol Psychiatry 2005;57:1336-1346. 

  24. Boonstra AM, Oosterlaan J, Sergeant JA, Buitelaar JK. Executive functioning in adult ADHD: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 Med 2005;35:1097-1108. 

  25. Young S, Gudjonsson GH. Growing out of ADHD: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ing and symptoms. J Atten Disord 2008;12:162-169. 

  26. Schachar R, Ickowicz A, Crosbie J, Donnelly GA, Reiz JL, Mliceli PC, et al. Cognitive and behavioral effects of multilayer-release methylphenidate in the treatrn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lyperactivity disorder.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I 2008;18:11-24. 

  27. Biederman J, Seidman LJ, Petty CR, Fried R, Doyle AE, Cohen DR, et al. Effects of stimulant medication on neuropsychological functioning in young adul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Clin Psychiatry 2008;69:1150-1156. 

  28. Pliszka SR, Crismon ML, Hughes CW, Corners CK, Emslie GJ, Jensen PS, et al. The Texas Children's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revision of the algorithm for pharmacotherapy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6;45:642-657. 

  29. Bush G, Valera EM, Seidman LJ. Functional neuroimaging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review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Biol Psychiatry 2005;57:1273-12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