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소아청소년의 실행기능과 정량화 뇌파의 상관성 연구
Correlation of Executive Function and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5 no.1, 2017년, pp.63 - 72  

정유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인지과학 협동과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박진영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김현중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임상심리학전공) ,  최정원 (국립정신건강센터 소아청소년정신과) ,  정경운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실행기능과 정량화 뇌파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31명의 소아청소년 ADHD 환자를 대상으로 정량화 뇌파를 측정하였다. 종합주의력검사(Comprehensive Attention Test, CAT), 스트룹 색-단어 추론 검사(Color-Word Inference Test, CWIT), 선추적 검사(Trail Making Test, TMT), 카드분류검사(Card Sorting Test, CST)가 시행되었고 한국어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평정척도(Korean version of the ADHD Rating Scale, K-ARS)가 측정되었다. 결과 CAT 검사 점수와 알파, 베타 파워가 양적 상관이 있는 반면, 델타 파워와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CWIT 검사에서는 감소된 델타 파워와 증가된 베타 파워가 높은 수행수준과 관련 있었다. 높은 TMT 검사 점수는 증가된 알파 대역 파워와 관련이 있었으며, CST 검사에서 델타 파워는 높은 수행수준과 부적 상관이 있는 반면 알파, 하이 감마파의 파워와는 양적 상관을 보였다. K-ARS 점수는 알파 파워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결론 정량화 뇌파는 ADHD 환자들의 실행기능과 상관성을 보이며 신경생리학적 지표로서의 유용성이 시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is characterized by significant impairments in executive functions, with a prevalence of approximately 3-5% of all children worldwid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cutive functions and electrophysiolog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DHD 환자군과 정상군 사이의 신경심리학적 차이를 조사한 연구들 또는 정량화 뇌파 분석을 통해 ADHD 환자군이 정상군과 주파수간 차이가 있음을 살펴본 연구들은 그 동안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뇌파와 신경심리학적 특성의 직접적 상관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8,9,20,21)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 ADHD 환자군에서 실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대표적 검사인 스트룹 검사(CWIT), 카드 분류 검사(CST), 선추적 검사(TMT) 및 더욱 다양한 영역의 주의력을 평가하는 CAT 결과와 정량화 뇌파와의 상관성을 함께 살펴본 최초의 연구이다. 또한, K-ARS 척도를 이용하여 ADHD 환자군의 핵심 증상과 정량화 뇌파간의 상관성도 살펴보았다.
  • 요약하자면, 본 연구에서 정량화 뇌파는 소아청소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군의 다양한 실행기능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ADHD 환자군에서 일관되게 보고되는 세타파의 증가 소견을 ADHD 환자의 실행기능장애와 관련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ADHD 증상의 정도와 실행기능을 반영하는 알파파의 역할 또한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ADHD 환자의 실행기능 및 증상의 평가와 예측에 정량화 뇌파가 유용한 보조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ADHD 환자군 내 신경생리학적 지표와 신경심리학적 특성간의 관계를 휴지기 상태의 개안(eye open) 정량화 뇌파와 신경심리검사 결과들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ADHD 환자군과 정상군 사이의 신경심리학적 차이를 조사한 연구들 또는 정량화 뇌파 분석을 통해 ADHD 환자군이 정상군과 주파수간 차이가 있음을 살펴본 연구들은 그 동안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뇌파와 신경심리학적 특성의 직접적 상관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 12) 한편, 최근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는 주의력검사 도구 중 하나인 종합주의력 검사(Comprehensive Attention Test, CAT)의 경우 현재까지 연관성 연구 결과가 밝혀진 바 없으며, 카드분류 검사, 스트룹 검사, 선추적 검사 등의 실행기능 검사에서 소아청소년 환자군을 대상으로 조사된 결과 또한 매우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의집중력 및 실행기능 검사와 정량화 뇌파와의 직접적 상관 분석을 통하여, ADHD 환자군 내 신경생리학적 지표와 신경심리학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청소년기에 ADHD를 진단받은 경우 야기되는 문제점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는 여러 실행기능을 포함한 광범위한 손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유병률은 전세계 소아청소년의 3~5%로 보고되고 있다.1) 소아청소년기에 ADHD를 진단받은 경우 집중력 부족이나 과잉행동 같은 임상적 문제뿐 아니라 성인이 될 때까지 사회성이나 성격형성에도 큰 장애를 겪게 되어 적절한 시기에 치료가 개입되지 않을 시 개인적,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와 비용을 발생시키게 되어 그 심각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2)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란 무엇인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는 여러 실행기능을 포함한 광범위한 손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유병률은 전세계 소아청소년의 3~5%로 보고되고 있다.1) 소아청소년기에 ADHD를 진단받은 경우 집중력 부족이나 과잉행동 같은 임상적 문제뿐 아니라 성인이 될 때까지 사회성이나 성격형성에도 큰 장애를 겪게 되어 적절한 시기에 치료가 개입되지 않을 시 개인적,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와 비용을 발생시키게 되어 그 심각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종합주의력검사의 환산 점수와 주의력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종합주의력검사는 단순선택주의력(시각), 단순선택주의력(청각), 억제지속주의력, 간섭선택주의력, 분할주의력, 작업기억력 6가지 영역의 주의력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전산화 검사이다.7) 각 주의력 기능(시각 또는 청각)에 대해서 누락 오류(omission error), 오경보 오류(commission error), 반응시간 평균(mean reaction time), 반응시간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of reaction time ; response time variability)의 4개의 주의력 지수(attention quotient, AQ) 지표가 산출됨에 따라 총 8개의 지표의 환산점수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환산 점수가 높을수록 주의력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Polanczyk GV, Salum GA, Sugaya LS, Caye A, Rohde LA. Annual Research Review: A meta-analysis of the worldwide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015;56:345-365. 

  2. Hansen C, Weiss D, Last CG. ADHD boys in young adulthood: psychosocial adjustment.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9;38:165-171. 

  3. Chabot RJ, Serfontein G.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ic profile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Biological Psychiatry 1996;40:951-963. 

  4. Clarke AR, Barry RJ, McCarthy R, Selikowitz M. EEG analysi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comparative study of two subtypes. Psychiatry Research 1998;81:19-29. 

  5. Clarke AR, Barry RJ, McCARTHY RORY, Selikowitz M. Electroencephalogram differences in two subtype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sychophysiology 2001;38:212-221. 

  6. Posner MI, Petersen SE. The attention system of the human brain.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1990;13:25-42. 

  7. 유한익, 이중선, 강성희, 박은희, 정재석, 김붕년, 손정우, 박태원, 김봉석, 이영식. 국내 아동 및 청소년 주의력 평가를 위한 종합주의력검사의 표준화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009;20:68-75. 

  8. Savitz JB, Jansen P. The Stroop Color-Word Interference Test as an indicator of ADHD in poor reader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2003;164:319-333. 

  9. Holmes J, Gathercole SE, Place M, Alloway TP, Elliott JG, Hilton KA. The diagnostic utility of executive function assessments in the identification of ADHD in children.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2010;15:37-43. 

  10. Hermens DF, Soei EX, Clarke SD, Kohn MR, Gordon E, Williams LM. Resting EEG theta activity predicts cognitive performance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ediatric Neurology 2005;32:248-256. 

  11. Shi T, Li X, Song J, Zhao N, Sun C, Xia W, Wu L, Tomoda A. EEG characteristics and visual cognitive func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Brain and Development 2012;34:806-811. 

  12. Swartwood JN, Swartwood MO, Lubar JF, Timmermann, DL. EEG differences in ADHD-combined type during baseline and cognitive tasks. Pediatric Neurology 2003;28:199-204. 

  13. Delis DC, Kaplan E, Kramer JH. Delis-Kaplan executive function system(D-KEFS). Psychological Corporation;2001. 

  14. 이정희, 강연옥, 나덕렬. Stroop 간섭 지표들의 효율성 비교: 정상노인집단과 치매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00;19:807-818 

  15. Stuss DT, Bisschop SM, Alexander MP, Levine B, Katz D, Izukawa D. The Trail Making Test: a study in focal lesion pati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2001;13:230. 

  16. Heaton RK. A manual for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estern Psycological Services;1981. 

  17. DuPaul GJ. Parent and teacher ratings of ADHD symptoms: psychometric properties in a community-based sample.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1991;20:245-253. 

  18. So YK, Noh JS, Kim YS, Ko SG, Koh YJ.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parent and teacher ADHD rating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2;41:283-289. 

  19. Chatrian GE, Lettich E, Nelson PL. Modified Nomenclature for the "10%" Electrode System1. Journal of Clinical Neurophysiology 1988;5:183-186. 

  20. Lazzaro I, Gordon E, Li W, Lim CL, Plahn M, Whitmont S, Clarke RJ, Barry A, Dosen R, Meares R. Simultaneous EEG and EDA measures in adolescen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1999;34:123-134. 

  21. Barry RJ, Clarke AR, Johnstone SJ. A review of electrophysiology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Clinical neurophysiology 2003;114:171-183. 

  22. Klimesch W. EEG alpha and theta oscillations reflect cognitive and memory performance: a review and analysis. Brain Research Reviews 1999;29:169-195. 

  23. Mann CA, Lubar JF, Zimmerman AW, Miller CA, Muenchen RA. Quantitative analysis of EEG in boy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ontrolled study with clinical implications. Pediatric Neurology 1992;8:30-36. 

  24. Lubar JF. Discourse on the development of EEG diagnostics and biofeedback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s. Biofeedback and Self-Regulation 1991;16:201-225. 

  25. Mostofsky SH, Cooper KL, Kates WR, Denckla MB, Kaufmann WE. Smaller prefrontal and premotor volumes in boy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iological Psychiatry 2002;52:785-794. 

  26. Hesslinger B, Van Elst LT, Thiel T, Haegele K, Hennig J, Ebert D. Frontoorbital volume reductions in adult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Neuroscience Letters 2002;328:319-321. 

  27. Zametkin AJ, Nordahl TE, Gross M, King AC, Semple WE, Rumsey J, Hamburger S, Cohen RM. Cerebral glucose metabolism in adults with hyperactivity of childhood onset.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0;323:1361-1366. 

  28. Zametkin AJ, Liebenauer LL, Fitzgerald GA, King AC, Minkunas DV, Herscovitch P, Yamada EM, Cohen RM. Brain metabolism in teenager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93;50:333-340. 

  29. Lubar JF, Swartwood MO, Swartwood JN, O'Donnell PH.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EG neurofeedback training for ADHD in a clinical setting as measured by changes in TOVA scores, behavioral ratings, and WISC-R performance.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1995;20:83-99. 

  30. White JN, Hutchens TA, Lubar JF. Quantitative EEG assessment during neuropsychological task performance in adul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2005;12:113-121. 

  31. DeFrance JF, Smith S, Schweitzer FC, Ginsberg L, Sands S. Topographical analyses of attention disorders of childhood.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1996;87:41-61. 

  32. Loo SK, Teale PD, Reite ML. EEG correlates of methylphenidate response among children with ADHD: a preliminary report. Biological Psychiatry 1999;45:1657-1660. 

  33. 김준원, 김현진, 한덕현, 이영식, 민경준, 이건석, ...., 이재원. 한국어판 DISC-IV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진단에 서의 정량 뇌파 소견.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3;52:143-149. (저자 이름 모두 풀어주세요) 

  34. Roh SC, Park EJ, Park YC, Yoon SK, Kang JG, Kim DW, Lee SH.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reflects inattention, visual error responses, and reaction times in male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2015;13:180.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