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화된 종합주의력검사(CAT)의 소검사인 시공간 작업기억력 검사를 통해 얻어진 실험대상자의 안정상태 뇌파 활성차이로 시공간 작업기억력 수행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 대상자는 2014년 12월 1개월 동안 학업 성취도와 무관한 31명의 일반적인 중학생 중 시공간 작업기억력 검사 후 순방향과 역방향 공간폭 결과에서 표준편차를 벗어난 7명과 6명이 선별되었고, 선별된 대상자를 각각 작업기억력 우수 집단(EWM)과 저하 집단(PWM)으로 구성하였다. 뇌파 측정과 뇌파 밴드별 상호 연관성을 통한 뇌기능 지수의 하위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뇌기능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한 통계 처리는 Mann-Whitney Test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순방향 작업 기억력 검사 결과 EWM과 PWM 집단 간 고베타파 활성도에서 좌뇌와 우뇌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저베타파 활성도에서는 우뇌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세타파와 알파파 활성도는 통계적 유의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시공간 작업기억 수행능력과 안정 상태시 고베타파와 저베타파 활성도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시공간 작업기억 수행능력과 우뇌의 정신적 활동 및 사고능력과는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시공간 작업기억 수행능력을 안정 상태에서도 베타파의 활성도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가 갖는 의의이다. 향후 뇌파의 활성도가 작업기억력 평가 도구와 근거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performanc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an electroencephalogram (EEG) in the resting state. The 31 study participants,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arious to academic performance, were underwent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시공간 작업기억력 검사를 통해 얻어진 작업기억력 우수 집단과 저하 집단을 전전두엽 Fp1과 Fp2 지점에서 뇌파를 측정하고 뇌 기능을 분석하여 안정 상태에서 얻어진 뇌파의 활성 차이로 인해 시공간 작업기억력을 예측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주로 주파수계열 스펙트럼 분석법을 이용하여 상호 연관성에 의한 서파화 및 속파화 정도를 파악하여, 기존의 밴드별 독립 분석법이 서파화나 속파화 정도 등을 정확히 분석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하였는데 이는 단순히 시계열 분석만 하거나 파워스펙트럼에만 의존하는 기존의 분석법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분석법을 “뇌기능 분석(BQ Tester)”라고 하였으며, 8가지 뇌기능 지수 형태로 뇌의 상태를 정량화하였다[25][2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학적으로 대뇌반구에서의 작업기억 기능이 의존하는 것은? 신경학적으로, 대뇌반구에서의 작업기억 기능은 전두선조영역, 전운동영역, 두정엽 그리고 측두엽에 이르는 광범위한 뇌의 영역을 포함하는 신경네트워크에서의 활동성에 의존한다고 알려져 있다[4]. 특히 최근에는 fMRI 와 뇌파연구에 의해 시공간 정보를 저장하는 양은 두정엽의 활동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고[5][6], 시공간 작업기억력 과제 중에 측정한 fMRI연구에서는 9∼13세 아동보다 14∼18세에 해당하는 청소년의 상전두부 (superior frontal)와 두정내(intraparietal) 피질에서의 활동성이 더 높게 나온 것으로 확인되었다[7].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는 무엇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알려져 있는가? 특히 언어적 작업기억력의 변별도구로써 뇌파를 활용한 연구에서 안정 상태에서는 뇌파 특성을 이용할 수 없다는 연구 결과[9]도 있지만 최근 안정 상태에서의 뇌의 특성 연구로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 DMN) 개념이 소개되었고[17], 인지 뇌과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고 있다[18]. DMN에서는 작업기억력과 같은 주의를 요구 하는 인지과제를 수행할 때 뇌의 활동성이 저하되고 오히려 안정 상태에서는 활성화되는데 중심전두영역들 (medial frontal regions), 후대상피질(posterior cingulate cortex, PCC), 양측하전두피질(bilateral inferior frontal cortices), 하두정피질(inferior parietal cortices), 중심측두피질(middle temporal cortices)과 소뇌(cerebellum) 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17]. 작업기억과 관련된 뇌의 주요 영역들 중에서 특히 전전두엽을 중심으로 한 안정 상태에서의 뇌파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작업기억의 의미는 무엇인가? 작업기억은 정보의 일시적인 저장과 활용을 위한 인지적인 시스템을 의미한다[1]. 1974년에 Baddeley와 Hitch는 작업기억의 주요 영역을 언어영역, 시공간영역, 중앙 집행영역의 세가지로 구분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ddeley, A., "Working Memory: looking back and looking forward", Nature Neuroscience, 4, pp. 829-839, 2003. DOI: http://dx.doi.org/10.1038/nrn1201 

  2. Baddeley, A. D. & Hitch, G., "Working Memory", In G. H. Bower (Ed.),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8, pp. 47-89, New York: Academic Press. 1974. DOI: http://dx.doi.org/10.1016/s0079-7421(08)60452-1 

  3. Baddeley, A., "The episodic buffer: a new component of working memory", Trends in Cognitive Science, 4, pp. 417-423, 2000. DOI: http://dx.doi.org/10.1016/S1364-6613(00)01538-2 

  4. Linden, D. E. J., "The Working Memory Networks of the Human Brain", Neuroscientist. 13, pp. 257-267, 2007. DOI: http://dx.doi.org/10.1177/1073858406298480 

  5. Todd, J.,J. & Marois, R., "Capacity limit of visual short-term memory in human posterior parietal cortex". Nature 428, pp. 751-754. 2004. DOI: http://dx.doi.org/10.1038/nature02466 

  6. Vogel, E.K & Machizawa, M.G. "Neural activity predicts individual differences in visual working memory capacity", Nature 428, pp. 748-751, 2004. DOI: http://dx.doi.org/10.1038/nature02447 

  7. Torkel Klingberg, Hans Forssberg, and Helena Westerberg., "Increased Brain Activity in Frontal and Parietal Cortex Underlies the Development of visuospatial Working Memory Capacity during Childhood",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4(1), pp. 1-10, 2002. DOI: http://dx.doi.org/10.1162/089892902317205276 

  8. Vogel, E.K., McCollough, A.W. & Machizawa, M.G., "Neural measures reveal individual differences in controlling access to working memory", Nature, 438, pp. 500-503, 2005. DOI: http://dx.doi.org/10.1038/nature04171 

  9. S. H. Song, & K. S. Song,, "EEG based Learner working memory impairment detec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9(4), pp. 69-89, 2008. DOI: http://dx.doi.org/10.15753/aje.2008.9.4.004 

  10. S. W. Kwon, M. J. Kang, D. H. Shin, & Y. J. Kwon, "Development of an EEG Based Discriminant-Scale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5), pp. 556-566, 2007. 

  11. Craik FI, Govoni R, Naveh-Benjamin M, & Anderson ND., "The Effects of Divided Attention on Encoding and Retrieval Processes in human memory", J Exp Psychol Gen. 125, pp. 159-180, 1996. DOI: http://dx.doi.org/10.1037/0096-3445.125.2.159 

  12. H. I. Yoo, J. S. Lee, S. H. Kang, E. H. Park, J. S. Jung, B. N Kim., S. W. Son, T. W. Park, B. S Kim., & Y. S. Lee, "Standardization of the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for the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J Kor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 pp. 68-75, 2009. 

  13. Dalim M, Gloraia A, Bernardo F, Alonso A., "Relationship of working memory and EEG to academic performance: A study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t J Neurosci, 117(6), pp. 869-882, 2007. DOI: http://dx.doi.org/10.1080/00207450600910077 

  14. Jed A. Meltzer, Hitten P. Zaveri, Irina I. Goncharova, Marcello M. Distasio, Xenophon Papademetris, Susan S. Spencer, Dennis D. Spencer and R. Todd Constable., "Effects of Working Memory Load on Oscillatory Power in Human Intracranial EEG", Cerebral Cortex, 18, pp. 1843-1855, 2007. DOI: http://dx.doi.org/10.1093/cercor/bhm213 

  15. Julie Onton, Arnaud Delorme, & Scott Makeig., "Frontal midline EEG dynamics during working memory", Neuroimage, 27, pp. 341-356, 2005. DOI: http://dx.doi.org/10.1016/j.neuroimage.2005.04.014 

  16. J. S. Yadav, Rajesh Kumar, M. N. Tripathi, S. Kaur, A. S. Srivastava, H. K. Singh., "EEG Study in Excellent and Poor Achiever Students", Delhi Psychiatry Journal, 13(2), pp. 300-305, 2010. 

  17. Raichle, M. E., MacLeod, A. M., Snyder, A. Z., Powers, W. J., gusnard, D. A., Shulman, G. L., "A default mode of brain function", Proc. Natl. Acad. Sci. U.S.A 98, pp. 676-682, 2001. DOI: http://dx.doi.org/10.1073/pnas.98.2.676 

  18. Gennady G. Knyazev, Jaroslav Y. Slobodskoj-Plusnin, Andrey V. Bocharov, Liudmila V. Pylkova., "The default mode network and EEG alpha oscillations: An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Brain Research, 1402, pp. 67-79, 2011. DOI: http://dx.doi.org/10.1016/j.brainres.2011.05.052 

  19. J. M. Seo, J. S. Lee, S. Y. Kim, & H. W. Kim., "Diagnostic Significance of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2, pp. 246-252, 2011. DOI: http://dx.doi.org/10.5765/jkacap.2011.22.4.246 

  20. P. W. Park., "Interpretation Method of EEG", Korea Research Institute of Jungshin Science, 2005. 

  21. H. J. Lee., E. H. Park., C. B. Park., & H. T. Kim., "The Effect of EEG-Biofeedback on the ERP and Performance of Visuo-Spatial Task",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Program & Abstract, 0, pp. 158-159, 2000. 

  22. Myeong-Oh Ryu, Seon-Gyu Yi, & Ki-Ja Bak, "A study on the Brain function specialty based on the Maladaptive Soldier by Brain waves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4), pp. 1916-1922,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4.1916 

  23. D. S. Kim, C. O. Choi, "Electroencephalogram", Seoul: Korean Medical Book, Publishing Company, 2001. 

  24. J. N. Demos, "Getting Started withNeurofeedback", W. W. Norton & Company, New York, pp. 112-121, 2004. 

  25. P. W. Park, "Introduction of Neurofeedback", Korea Research Institute of Jungshin Science, 2005. 

  26. Giyong-Im, Hee-Rae Park, Nam-Sook Choi, & Pyong-Woon Park.,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Big 5 Personality Traits and SRQ of Brain Quoti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6), pp. 3760-3768,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6.3760 

  27. K. J. Bak, P. W. Park, S. K. Ahn, "A Study on the effects of prefrontal lobe neurofeedback training on the correlation of children by timeseries linear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7), pp. 1673-1679, 2009. DOI: http://dx.doi.org/10.5762/KAIS.2009.10.7.1673 

  28. Hee-Rae Park, Pyong-Woon Park, Gi-woon Song, & Gi-yong Lim, "Socio-Economic Effects on Brain Functions and Symptoms of Child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 pp. 462-470,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462 

  29. Yun-Keum Kim, Seon-Gyu Yi, & Ki-Ja Bak, "The effect of Dance as a Healing Art influential to Elderly Women's Brain Fun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5), pp. 2655-2661,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5.2655 

  30. Y. J. Kim, H. H. Kim, J. K. Park, H. K. Chae, K. M. Kang, S. H. Cho, Y .K. Min, N. K. Chang., "The Evaluations of the Functional State of the Brain by Brain Wave Measure during Problem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Research Institute of Jungshin Science, 28(3), pp. 291-301,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2000. 

  31. Klimesch, W. "EEG alpha and theta oscillations reflect cognitive and memory performance: A review and analysis," Brain Research Reviews, 29, pp. 169-195, 1999. DOI: http://dx.doi.org/10.1016/S0165-0173(98)00056-3 

  32. N. Jausovec & K. Jausovec, "Working Memory Training: Improving intelligence-Changing brain activity", Brain and Cognition, 79, pp. 96-106, 2012. DOI: http://dx.doi.org/10.1016/j.bandc.2012.02.007 

  33. Sauseng, P., Griesmayr, B., Freunberger, R., & Klimesch, W., "Control mechanisms in working memory: A possible function of EEG theta oscillations",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34, pp. 1015-1022, 2010. DOI: http://dx.doi.org/10.1016/j.neubiorev.2009.12.006 

  34. Rene Scheeringa, Marcel C. M. Bastiaansen, Karl Magnus Petersson, Robert Oostenveld, David G. Norris, Peter Hagoort., "Frontal theta EEG activity correlates negatively with the default mode network in resting stat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67, pp. 242-251, 2008. DOI: http://dx.doi.org/10.1016/j.ijpsycho.2007.05.017 

  35. Torkel Klingberg, Hans Forssberg, & Helena Westerberg.,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4(6), pp. 781-791, 2002. DOI: http://dx.doi.org/10.1076/jcen.24.6.781.8395 

  36. Steven J. Beck., Christine A. Hanson., & Synthia S. Puffenberger., "A Controlled Trial of Working Memory Training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39(6), pp. 825-836, 2010. DOI: http://dx.doi.org/10.1080/15374416.2010.517162 

  37. Shi Xiong, Chen Cheng, Xia Wu, Xiaojuan Guo, Li Yao, & Jiacai Zhang, "Working Memory training using EEG neurofeedback in normal young adults", Bio-Medical Materials and Engineering, 24, pp. 3637-3644,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