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급사슬관리(SCM)의 핵심성공요인과 추진유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균형성과표(BSC)를 활용한 성과측정-
The Impact of Key Success Factors and Implementation Typology of SCM on the Business Performance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원문보기

경영정보연구 =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view, v.28 no.1, 2009년, pp.45 - 69  

이재식 (숭의여자대학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는 새로운 정보기술의 재배치를 통해 조직을 재구축하고, 상품과 서비스가 경쟁력을 갖도록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업의 업무 효율성을 강화시켜주는 협업전략으로 경영성과를 창출해주는 혁신기법이라 할 수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활발하게 추진되어온 SCM은 1990년대 후반부터 우리나라에 적극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여 최근까지 상당한 기업들이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효과적인 SCM의 활성화를 위하여 기업 전반의 핵심성공요인 도출 및 경영성과에 대한 설계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SCM이 국내에 도입된 지 1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SCM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실제로 기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아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편 SCM의 성과측정에 있어서 과거에는 비용, 자산회전율 등 재무중심의 성과측정치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성과측정은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문제의 발생소지가 있음으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들어 SCM 성과측정에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 BSC)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Brewer and Speh, 2000). Kaplan and Norton(1992)에 의해 개발된 BSC는 기업의 전략적 목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소수의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측정 관리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재무중심의 성과측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SCM is used as a important tool of management innovation for enterprise's survival and development. BSC forces managers to focus on balanced measures of business performance that are most crit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SCM adoption through the analys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상기의 연구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SCM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과 도입하여 구축하고 있는 기업들로 하여금 SCM 핵심성공요인에 대한 관리인식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SCM 추진유형에 따른 실질적인 관리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기업의 장기적 성공을 추구하는 경영혁신의 주요한 도구인 SCM을 성공적으로 구축 운영하기 위해서는 핵심성공요인을 파악하고 추진유형별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CM의 핵심성공요인과 추진유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목적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Kaplan and Norton(1992)에 의해 개발된 BSC는 기업의 전략적 목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소수의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측정・관리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재무중심의 성과측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SC에 의한 성과측정의 다각적개념 즉, 재무적인 측면과 비재무적인 측면을 포괄하여 SCM의 경영성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또한 기업의 장기적 성공을 추구하는 경영혁신의 주요한 도구인 SCM을 성공적으로 구축 운영하기 위해서는 핵심성공요인을 파악하고 추진유형별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기업에 있어서 SCM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BSC 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SCM 핵심 성공요인은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추진유형별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SCM의 핵심성공요인과 추진유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과 같은 연구모형을 제시한다.
  • 셋째, SCM을 추진유형별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SCM 핵심성공요인과 경영성과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 첫째, 기존 연구의 SCM 평가는 재무적인 성과에 주안점을 두고 이루어짐에 따라 전사적 차원에서의 경영성과 측정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SCM의 도입과 구축을 통하여 나타나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장기적 목표와 단기적 목표 간의 균형을 통한 객관적 측정을 도모하는 경영성과 평가도구인 BSC를 활용하여 비재무적 및 재무적 성과를 4가지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SCM 효과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 결과 SCM 핵심성공요인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SCM이 국내에 도입된지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SCM을 도입 구축하여 지속적으로 운영해야 할 당위성과 필요성을 제시해 준 연구라고 할 수 있다.
  • 그러나 이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력과 협업을 연결한 전략적 성과 측면에서 SCM 추진유형에 따라 SCM 핵심성공요인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술력과 협업의 정도에 따른 추진유형별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 연구결과의 활용을 통하여 SCM을 도입하고 운영 중인 국내 기업들이 추진유형별 전략의 수립을 통해 SCM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함으로써 기업의 경영성과 및 기업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가설 설정

  • 둘째, SCM 핵심성공요인은 변화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변화할 것이다. 따라서 중요 요인의 변화를 초래하는 인자(factors)에 대한 연구 및 일정기간에 걸친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study)가 절실히 수행될 필요가 있다.
  • 가설 3. 정보시스템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조직역량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aufman, Wood and Theyel(2000)는 공급사슬관리 유형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Bensaou and Vankatraman(1996)은 미국기업과 일본기업의 공급사슬관리 기업을 대상으로 공급업체와 구매업체의 파트너십에 따른 공급사슬관리 추진유 형의 프레임워크(framework)의 타당성을 통계분석한 후 파트너십에 따른 공급 사슬관리 추진유형을 시장메카니즘형, 제조업체 주도형, 공급업체 주도형, 전략적 파트너십 추구형으로 구분해 각각에 따라 정보 공유 및 정보교환 메커니즘, 공급사슬관리 관리자 유형, 비즈니스 환경 및 프로세스 특성을 제시하였다. Kaufman, Wood and Theyel(2000)은 기술력과 협업을 연결한 전략적 성과측 면에서 공급사슬관리 유형을 일반 공급업체(낮은 기술력, 낮은 협업), 기술지향 공급업체(높은 기술력, 낮은 협업), 협업지향 공급업체(낮은 기술력, 높은 협업), 문제해결지향 공급업체(높은 기술력, 높은 협업)로 구분하였고, 공급사슬관리 추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술적 측면과 협업 측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기술지향 공급업체의 SCM 핵심성공요인 중 정보시스템 요인은 어떠한 경영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가? 000)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기술지향 공급업체에서는 정보시스템 요인이 다른 핵심요 인에 비해 고객성과(β=.251, T=3.646, p=.031), 내부 프로세스성과(β=.237, T=3.962, p=.000), 학습 및 성장성과(β=.216, T=3.501, p=.000)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역량은 학습 및 성장성과(β=.239, T=3.
SCM이란 무엇인가? 오늘날 많은 기업들은 지속적인 경쟁력 향상과 생존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 비즈니스 프로세스경영(Business Process Management: BPM), 그리고 전사적 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등과 같은 기업 내부 프로세스의 혁신기법은 물론, 기업 외부의 공급업체들과 고객들을 연결하는 기업간 프로세스의 혁신을 위한 기법인 공급사슬관리 (Supply Chain Management: SCM)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다. SCM은 새로운 정보기술의 재배치를 통해 조직을 재구축하고, 상품과 서비스가 경쟁력을 갖도록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업의 업무 효율성을 강화시켜주는 협업전략으로 경영성과를 창출해 주는 혁신기법이라 할 수 있다. 기업들은 이러한 SCM을 활용하여 고객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공급사슬 전반에 걸쳐 있는 참여기업들과 공동으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장형욱과 이상석,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