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integrity of interproximal hard/soft tissue has been widely accepted as the key determinant for success or degree of root coverage following the connective tissue graft. However, we reason that the gingival biotype of an individual, defined as the distance from the interproximal papil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은이 퇴축된 치아에 결합조직이식을 시행한 후 각 개인의 치은형태의 한 지표인 P-M 거리와 치근피개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는 치간부 경-연조직의 해부학적 요소에 근거한 치은 퇴축 심도의 전통적인 분류에 따라 결합조직이식 결과에 있어 차이가 있다는 통설에 이의를 제기하며, 환자 고유의 치은형태에 따른 치은만곡도가 결합조직이식 후 치근피개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치은이 퇴축된 치아에 결합조직이식을 시행한 후 각 개인의 치은형태의 한 지표인 P-M 거리와 치근피개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는 치간부 경-연조직의 해부학적 요소에 근거한 치은 퇴축 심도의 전통적인 분류에 따라 결합조직이식 결과에 있어 차이가 있다는 통설에 이의를 제기하며, 환자 고유의 치은형태에 따른 치은만곡도가 결합조직이식 후 치근피개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조군으로 설정된 반대측의 동명치아와 실험치아의 근원심 치아길이가 비슷한 값을 가지므로 P-M 거리를 이용하여 유사한 치은만 곡도를 가지는지 알 수 있다.
  • 어떤 개체의 타고난 치은형태(gingival biotype)의 한 지표를 인접 치간유두의 연장선에서 협측 치은연의 최근단측정점간의 수직거리(이하 P-M 거리)로 정의할 때, 이 수직거리는 그 개체의 정상적인 치은연의 분포를 결정짓는 결정요소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고, 치은 퇴축을 보이는 어떤 치아에 결합조직이식 후 이루어지는 치근피개 정도에 영향을 끼칠 결정적 요소일 것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전제적 가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환자 고유의 치은형태에 따른 치은만곡도가 치근피개를 위한 결합조직 이식 후 형성되는 치은변연 수준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가설 설정

  • Miller의 분류에 따른 치간부 경-연조직의 해부학적 요소가 치근피개도(완전 또는 부분적 피개)를 결정하는 요소일수도 있겠으나 이는 정성적인 측면의 표현이며, 실제적으로 주어진 요건에서 어떤 치아의 치근피개 정도를 결정하는 데에는 환자 요소가 긴요하게 관여할 것이라는 가정을 할 수 있다. 어떤 개체의 타고난 치은형태(gingival biotype)의 한 지표를 인접 치간유두의 연장선에서 협측 치은연의 최근단측정점간의 수직거리(이하 P-M 거리)로 정의할 때, 이 수직거리는 그 개체의 정상적인 치은연의 분포를 결정짓는 결정요소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고, 치은 퇴축을 보이는 어떤 치아에 결합조직이식 후 이루어지는 치근피개 정도에 영향을 끼칠 결정적 요소일 것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전제적 가설이다.
  • Miller의 분류에 따른 치간부 경-연조직의 해부학적 요소가 치근피개도(완전 또는 부분적 피개)를 결정하는 요소일수도 있겠으나 이는 정성적인 측면의 표현이며, 실제적으로 주어진 요건에서 어떤 치아의 치근피개 정도를 결정하는 데에는 환자 요소가 긴요하게 관여할 것이라는 가정을 할 수 있다. 어떤 개체의 타고난 치은형태(gingival biotype)의 한 지표를 인접 치간유두의 연장선에서 협측 치은연의 최근단측정점간의 수직거리(이하 P-M 거리)로 정의할 때, 이 수직거리는 그 개체의 정상적인 치은연의 분포를 결정짓는 결정요소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고, 치은 퇴축을 보이는 어떤 치아에 결합조직이식 후 이루어지는 치근피개 정도에 영향을 끼칠 결정적 요소일 것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전제적 가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환자 고유의 치은형태에 따른 치은만곡도가 치근피개를 위한 결합조직 이식 후 형성되는 치은변연 수준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은 퇴축이란? 치은 퇴축은 변연치은 조직과 상피결합조직 부착의 파괴로 인해 치근표면이 구강 내로 노출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1). 치은 퇴축의 요인으로는 치주염, 잇솔질에 의한 자극, 치아의 위치이상, 치아이동, 부적절한 수복물, 의원성 요인 등을 들 수 있다2-8).
치은 퇴축의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치은 퇴축은 변연치은 조직과 상피결합조직 부착의 파괴로 인해 치근표면이 구강 내로 노출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1). 치은 퇴축의 요인으로는 치주염, 잇솔질에 의한 자극, 치아의 위치이상, 치아이동, 부적절한 수복물, 의원성 요인 등을 들 수 있다2-8). 치은 퇴축으로 인한 치근면 노출은 심미손상과 지각과민, 치근우식, 치경부 마모, 심미수복의 어려움 등을 야기할 수 있다9).
최근 치은 퇴축 치료에서 심미성 개선 외에도 무엇의 성이 강조되는가? 치은 퇴축에 대한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치근을 완전히 피개하여 심미적이고 자연 스런 모습을 회복하는 것이다10). 최근에는 이러한 심미성의 개선 외에 수복물 주위의 심미성과 안정성 개선, 치은 biotype의 개선 등 영속성의 견지에서도 치근면 피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antarelli GA, Ciancaqlini R, Campanari F, Dinoi C, Ferraris S. Connective tissue grafting employing the tunnel technique : a case report of complete root coverage in the anterior maxilla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1;21(1):77-83 

  2. Hall WB. Present status of soft tissue grafting J Periodontol. 1977;48(9):587-597 

  3. Baker DL, Seymour GJ. The possible pathogenesis of gingival recession. A histological study of induced recession in the rat. J Clin Periodontol. 1976;3(4):208-219 

  4. Khocht A, Simon G, Person P, Denepitiya JL. Gingival recession in relation to history of hard toothbrush use. J Periodontol. 1993;64(9):900-905 

  5. Smukler H, Landsberq J. The toothbrush and gingival traumatic injury. J Periodontol. 1984;55(12):713-719 

  6. Boyd RL. Mucogingival considerations and their relationship to orthodontics. J Periodontol. 1978;49(2):67-76 

  7. Donaldson D. Gingival recession associated with temporary crowns. J Periodontol. 1973;44(11):691-696 

  8. Wilson RD. Marginal tissue recession in general dental practice: a preliminary study.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83;3(1):40-53 

  9. Allen EP, Miller PD Jr. Coronal positioning of existing gingiva: short term results in the treatment of shallow marginal tissue recession. J Periodontol. 1989;60(6):316-319 

  10. Blanes RJ, Allen EP. The bilateral pedicle flap-tunnel technique: a new approach to cover connective tissue graft.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9;19(5):471-479 

  11. Pennel BM, Tabor JC, King KO et al. Free masticatory mucosa graft. J Periodontol. 1969;40(3):162-166 

  12. Miller PD Jr. A classification of marginal tissue recession.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85;5(2):8-13 

  13. Langer B, Langer L.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graft technique for root coverage. J Periodontol. 1985;56(12):715-720 

  14. Roccuzzo M, Bunino M, Needleman I, Sanz M. Periodontal plastic surgery for treatment of localized gingival recessions: a systematic review. J Clin Periodontol. 2002;29 Suppl3:178-194 

  15. Miller PD Jr. Root coverage using the free soft tissue autograft following citric acid application. Ⅲ. A successful and predictable procedure in areas of deep-wide recession.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85;5(2):14-37 

  16. Melcher AH. On the repair potential of periodontal tissues. J Periodontol. 1976;47(5):256-260 

  17. Seibert J, Lindhe J. Esthetics and periodontal therapy. In: Textbook of clinical periodontology. 2nd ed. Copenhagen: Munksgaard;477-514 

  18. Muller HP. Eger T. Gingival phenotypes in young male adults. J Clin Periodontol. 1997;24(1):65-71 

  19. Olsson M, Lindhe J. Periodontal characteristics in individuals with varying form of the upper central incisors. J Clin Periodontol. 1991;18(1):78-82 

  20. Claffey N, Shanley D. Relationship of gingival thickness and bleeding to loss of probing attachment in shallow sites following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J Clin Periodontol. 1986;13(7):654-657 

  21. Sanavi F, Weisgold AS, Rose LF. Biologic width and its relation to periodontal biotypes. J Esthet Dent. 1998;10(3):157-163 

  22. Weisgold AS. Contours of the full crown restoration. Alpha Omegan. 1977;70(3):77-89 

  23. Weisgold AS, Arnoux JP, Lu J. Single-tooth anterior implant: a world of caution. PartⅠ. J Esthet Dent 1997;9(5):225-233 

  24. Olsson M, Lindhe J, Marinello C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own form and clinical features of the gingiva in adolescents. J Clin Periodontol. 1993;20(8):570-577 

  25. Pontoriero R, Carnevale G. Surgical crown lengthening: a 12-month clinical wound healing study. J Periodontol 2001;72(7):841-848 

  26. Langer B, Calagna LJ. The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graft. a new approach to the enhancement of anterior cosmetic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82;2(2):22-33 

  27. Lindhe J, Karring T, Lang NP. Clinical Periodontology and Implant Dentistry. 4th ed. Blackwell Munksgaard 2003:611-613 

  28. Zucchelli G, Testori T, De Sanctis M. Clinical and anatomical factors limiting treatment outcomes of gingival recession: a new method to predetermine the line of root coverage. J Periodontol. 2006;77(4):714-7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