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위생사의 흡연실태 및 인식조사
Actual conditions and recognition of dental hygienists for the smoking 원문보기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Education, v.9 no.3, 2009년, pp.306 - 318  

성정민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사회치과학교실 및 구강생물연구소) ,  황지민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사회치과학교실 및 구강생물연구소) ,  김지현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사회치과학교실 및 구강생물연구소) ,  김진경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미생물학교실) ,  최영숙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미생물학교실) ,  장종화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  유수민 (동우대학 치위생과) ,  범경철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  박용덕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사회치과학교실 및 구강생물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re were reports about the decreasing of quit-smoking ratio because of taking professional advices.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moking prevalence rate of the dental hygienist study in nationwide and quit-smoking counseling activity for patients in dental clinic. Methods : The re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의사와 함께 흡연환자의 적절한 상담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치과위생사의 흡연실태와 흡연에 대한 인식조사를 분석하여, 향후 치과에 내원하는 흡연환자 관리 및 상담을 할 수 있는 전문가로서 이들의 기본 인식을 확인하며,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흡연율 및 인식도조사에 대한 실태를 분석한 것으로서, 치과위생사의 지역적, 근무기관별로 제한하여 분석했는데, 치위생과 교육과정에서 체계적인 금연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의 내용 등에 대한 조사가 배제되어 부족한 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표본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치과위생사의 근무연수에 따른 금연교육관련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바,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들의 금연을 위한 상담은 어떠한 인력이 해야하는가? 금연 활동이 의료인 및 보건의료인들의 주 의무는 아니지만, 이들의 전문가적인 견해에서 흡연자에게 금연에 관한 충고와 상담은 이미 기타의 방법보다 금연 성공률이 높다고 알려졌기 때문에 더욱 관심 있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Cummings 등6)은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핀란드, 영국의 의료종사자 설문조사에서 환자들의 금연을 위한 상담은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 등의 치과진료인력이 하는 게 적절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흡연 부산물인 타르가 치아에 부착함으로써 흡연띠를 만들어 내는데, 이것은 치과진료인력에게 발견되어 흡연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흡연실태와 흡연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치과위생사의 전체 흡연율은 3.1%였으며, 2005년 치과의사 흡연실태 조사결과 29.69%의 흡연율과 비교했을 때 치과위생사가 응답한 동일 기관에서 근무하는 치과의사의 흡연율은 31.69%로 흡연율에서 차이가 없었다. 2. 흡연으로 인한 타 질환과의 인과관계 인식에서 ‘신생아 사망은 간접흡연과 연관이 있다’, ‘흡연은 치주질환의 원인’, ‘부모의 흡연은 자녀에게 호흡기 질환 증가요인’항목의 분석을 통해 연령별로는 각각 98.4%, 99.8%, 99.4%의 동의를 얻었으며, ‘신생아 사망은 간접흡연과 연관이 있다’의 질문에서 연령(p=0.001)과 지역(p=0.019)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흡연은 치주질환의 원인 ’항목의 분석을 통해 연령에서(p=0.045)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치과위생사가 응답한 금연정책 방향에서 ‘폐쇄된 공공시설에서의 흡연금지 필요’문항에서 연령(p=0.025)과 지역(p=0.001), 그리고 ‘의료기관에서는 금연이 필요’문항에서는 근무기관(p=0.01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금연에 대한 치과위생사로서의 자세와 역할의 관계에서 ‘치과위생사는 금연에 대한 수련이 필요하다’, ‘치과위생사는 금연을 위한 일정한 역할이 필요하다’, ‘치과위생사는 아이들에게 금연교육을 실시해야 함’항목의 분석을 통해 연령별로는 각각 96.7%, 99.6%, 99.8%의 동의를 얻었으며, ‘치과위생사는 금연을 위한 일정 역할이 필요하다’의 문항에서는 연령(p=0.01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000년 흡연과 관련된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어떠한가? 신2)은 ‘니코틴 중독흡수를 높이는 담배회사의 비밀’이라는 연구에서 흡연이 미치는 영향이 흡연자 자신에게 있어서 구강 및 전신건강에 해악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에도 손상을 미치며, 또한 간접흡연으로써 타인에게도 직접적인 피해를 입히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했다. Ezzati와 Lopez3)의 보고서에 의하면, 흡연은 세계적인 보건의료문제로서 2000년에 흡연과 관련된 질병으로 인해 4백8십만 명이 사망하였고, 2004년에 50년 흡연관련 사망에 관한 추적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으며 각종 질환에 미치는 영향이 상세히 밝혀졌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Doll R, Hill AB. Smoking and Carcinoma of Lung. A Pre-liminary Report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9;77(1):84-93. 

  2. 신동천. 니코틴 중독흡수를 높이는 담배회사의 비밀. 서울:한국금연운동협의회;1999;24-25. 

  3. Ezzati M, Lopez AD. Estimates of global mortality attributable to smoking in 2000 Lancet 2003;362(9387):847-852. 

  4. Doll R, Peto R, Boreham J, Sutherland I. Mortality in relation to smoking: 50years' observations on male British doctors. Br J Canner 2005;92(3):426-429. 

  5. 박용덕, 황경숙, 김남중. 2005년 치과기공사의 흡연실태와 의식조사. 대한치과기공학회지 2006;28(1):161-176. 

  6. Cummings SR, Rubin SM, Oster G. The cost-effectiveness of counseling smoker to quit. J Am Med Assoc 1980;243(8):75-79. 

  7. Hensrud DD, Sprafka JM. The smoking habit of Minesota physicians. Am J Public Health 1993;83(3):415-417. 

  8. Afifah R, Schwarz E. Patient demand for smoking cessation advice in dentist offices after introduction of graphic health warnings in Australia. Aust Dent J 2008;53(3):208-216. 

  9. Goldberg DN, Hoffman AM, Farinha MF et al. Physician delivery of king-cessation advice based on the stages-of-change model. Am J prev Med 1994;10(5):267-274. 

  10. Alexander RE. Stress-related suicide by dentists and other health care workers. Fact or folklore? J Am Dent Assoc 2001;132(6):786-794. 

  11. 박용덕. 2005년 치과의사 흡연실태와 금연교육에 대한 제언.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005;44(10):648-653. 

  12. 한경순, 김윤신, 강재경 외 3인. 수도권지역 성인에서 흡연과 치주상태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32(2):250-260. 

  13. 신윤정. 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제5차 정부간 협상회의의 주요 쟁점사항과 각국 입장. 보건복지포럼 2002;74:118-126. 

  14. 국민건강증진법. 법률 제8852호(일부개정 2008.12.15) 

  15. 이원영. 서울특별시 기초의회 의원들의 흡연규제정책 지지도 및 관련 요인.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5;22(2):77-95. 

  16. Hastreiter RJ, Bakdash B, Roesch MH, Walseth J. Use of tabacco prevention and cessation strategies and techniques in the dental office. J Am Dent Assoc 1994;125(11):1475-1484. 

  17. Lopez-Jornet P, Camacho-Alonso F, Molina Minano F.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risk factors in oral cancer held by dental hygienists in the Autonomous Community of Murcia(Spain):a pilot study. Oral Oncology 2007;43(6):602-606. 

  18. Rosseel JP, Jacobs JE, Hilberink SR et al. What determines the provision of smoking cessation advice and counselling by dental care teams. Br Dent J 2009;206(7):376-377. 

  19. 보건복지부. 2010 새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수립. 서울:보건복지부;2005. 

  20. Hepburn MJ, Johnson JM, Ward JA, Longfield JN. A survey of smoking cessation knowledge, training, and practice among U.S. Army general medical officers. Am J Prev Med 2000;18(4):300-304. 

  21. Furukawa S, Tokunaga R, Abe S, Shinada K, Kawaguchi Y. Dental students'smoking behavior and their attitude towards smoking. Kokubyo Gakkai Zasshi 2005;72(3):201-208. 

  22. Naito T, Miyaki K, Naito M et al. Parental smoking and smoking status of J apanese dental hygiene students: a pilot survey at a dental hygiene school in Japan.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09;6(1):321-3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