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누룩에서 분리한 효모를 이용한 찹쌀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
Characterization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Glutinous Rice Wines Prepared with Different Yeasts of Nuruk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3 = no.205, 2009년, pp.296 - 301  

김혜련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단) ,  권영희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단) ,  조성진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단) ,  김재호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단) ,  안병학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효모가 찹쌀 발효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전통 누룩에서 분리한 보유효모 Y18-2(Andong), Y54-3(Chungju), Y90-2(Hapchun), Y90-9(Hapchun) Y272-7(Boryung)과 시판효모 LP(La Parisienne, Saccharomyces cerevisiae)를 대조군으로 효모종류를 달리하여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휘발성 향기성분을 비교하였다. 17일 발효 후 최종 알코올 함량은 모든 술이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13.40{\pm}0.70%$)보다 높게 나타나 양호한 발효상태를 보였으며 pH는 4.06-4.32, 총산은 0.33-0.44% 수준으로 나타났고 아미노산은 Y90-9를 사용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형분 함량은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착색도는 Y90-9를 사용한 발효주가 가장 낮게 나타나 좋았으며 자외부흡수는 Y90-2를 사용한 발효주가 가장 낮게 나타나 쓴맛이 가장 적을 것으로 추측되고 환원당 함량은 고형분 함량이 가장 높았던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나 단맛이 가장 강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산 중 함량이 가장 많은 succinic acid는 Y90-9를 사용한 발효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감칠맛 성분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좋지 않은 신맛에 기여하는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시판효모를 사용한 발효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생성되는 대표적인 유리당성분 maltose와 glucose는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았던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GC와 GC-MSD를 사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Alcohol 10종, Ester 19종, Acid 8종, Aldehyde 1종, 기타 1종으로 39종이 검출되었고 Y18-2를 사용한 발효주에서 가장 많은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에서는 ethanol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은데 반해 Y18-2와 Y90-9를 사용한 발효주에서는 ester류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hexadeca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찹쌀 발효주에서 효모 종류에 따른 향기성분의 많은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발효주 제조 시 원료, 담금 방법 및 발효 조건 등을 최적으로 맞 추고 향기성분 생성이 우수한 효모를 사용한다면 색, 맛과 함께 향미가 우수한 찹쌀발효주가 제조되리라고 여겨지며 관련된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yeasts (La Parisienne (LP), Y18-2, Y54-3, Y90-2, Y90-9 and Y272-7) from nuruks on the quality of Glutinous rice win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evaluated. Glutinous rice wines prepared with different yeasts wer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누룩에서 분리한 알코올과 유기산, 향기 생성능이 우수한 보유효모를 찹쌀을 원료로 하는 발효주 제조 시 starter로 첨가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휘발성 향기성분을 비교하고 서로 다른 효모에서 기인하는 찹쌀 발효주의 당, 유기산 등의 맛 성분과 발효과정 중 생성된 향기성분 특성의 차이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전통주 품질의 표준화와 과학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전통 발효주인 약·탁주 속에는 어떤 종류의 곰팡이, 효모 및 세균이 생육하고 있는가? 쌀을 주원료로 하는 우리 전통주는 일반적으로 자연상태의 곰팡이, 효모 및 세균을 이용하여 제조한 누룩을 발효에 필요한 효소 및 미생물 원으로 사용하여 곡물위주의 병행복발효 방식으로 양조되었다(2). 약·탁주의 발효 공정은 주모와 곡자를 사용하는 형태이므로 여러 가지 미생물이 생육하고 있으며 약·탁주 속에는 Mucor속, Rhizopus속, Aspergillus속 등의 곰팡이, Saccharomyces, Phichia, Candida, Hansenular, Troulopsis 속 등의 효모 그리고 Micrococcus, Bacillus, Lactobacillus, Leuconostoc, Aerobacter속 등의 세균들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5).
찹쌀과 멥쌀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전통주 제조에 이용되는 곡물 중 찹쌀 원료에 관한 연구로는 찹쌀주인 진양주의 찹쌀 벼 도정도(6), 발효온도(7), 찹쌀과 멥쌀 원료비교에 관한 보고(8)와 찹쌀 보리쌀 탁주의 향기성분에 관한 Lee와 Choi(9)의 보고, 첨가원료 종류에 따른 발효주에 관한 전보 Kim 등(10)이 있으며, 전통주 발효 관련 효모에 관한 연구로는 Jung 등(11)의 하양주의 효모 균주에 관한 보고, 제주 좁쌀약주의 발효 우수 균주에 관한 Kim 등(12,13)의 보고, 효모에 따른 약주의 품질특성에 관한 Shin 등(14,15)의 보고, 약·탁주 발효과정 중 미생물 균총의 변화에 관한 Seo 등(16)의 보고와 우수 효모균주의 분리 및 동정에 관한 보고(17-19)가 있을 뿐 효모 균주에 따른 발효주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는 Lee 등(20)의 보고 외에는 전무한 상태며 원료 곡물로 찹쌀을 사용한 발효주에서 효모종류에 따른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는 본 연구가 처음인 것으로 사료된다. 원료 곡물 특성 상 찹쌀은 전체의 80% 정도를 차지하는 전분이 amylopectin 95%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멥쌀과 차이를 보이고 지방질 또한 Shin과 Rhoe(21)의 보고에 의하면 두배정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므로 원료 찹쌀을 이용하고 효모종류를 달리한 발효주의 휘발성 향기성분 연구는 기존의 멥쌀을 이용한 발효주 연구와 비교자료로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우리나라 전통 발효주인 약·탁주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우리나라 전통 발효주인 약·탁주는 담금 후 누룩 중의 젖산균,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의한 효소작용으로 인해 원료 성분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당, 아미노산, 유기산 등의 맛 성분과 효모에 의한 알코올 발효로 생성되는 휘발성 풍미성분이 색과 함께 품질의 조화를 이루게 된다(1). 쌀을 주원료로 하는 우리 전통주는 일반적으로 자연상태의 곰팡이, 효모 및 세균을 이용하여 제조한 누룩을 발효에 필요한 효소 및 미생물 원으로 사용하여 곡물위주의 병행복발효 방식으로 양조되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Rhee SJ, Lee Jetty CY, Kim KK, Lee CH. Comparison of the traditional (samhaeju) and industrial (cheongju) rice wine brewing in Korea. Food Sci. Biotechnol. 12: 242-247 (2003) 

  2. Chang KJ, Yu TJ.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sogokju, and commercial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307-313 (1981) 

  3. Lee ZS, Lee TW. Studies on the microflora of takju brewing. Korean J. Microbiol. 8: 116-133 (1970) 

  4. Lee SR. Hankuk eui Balhyo Sikpum (Fermented Foods of Korea). Ewha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222-294 (1986) 

  5. Shin YD, Cho DH. A study on the microflora changes during takju brewing. Korean J. Microbiol. 8: 53-64 (1970) 

  6. Eun, JB, Jin TY, Wang MH. The effect of waxy glutinous rice degree of milling on the quality of jinyang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46-551 (2007) 

  7. Jin TY, Chung HJ, Eun JB. The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jinyang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14-418 (2006) 

  8. Park YM, Kim SJ, Hwang IS, Cho KH, Jung ST.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jinyangju prepared with glutinous rice and nonglutinous rice. Korean J. Food culture. 20: 346-351 (2005) 

  9. Lee TS, Choi JY.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38-643 (1998) 

  10. Kim HR, Jo SJ, Lee SJ, Ahn BH.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prepared from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51-557 (2008) 

  11. Jung HK, Park CD, Park HH, Lee GD, Lee IS, Hong JH.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hahyangju prepar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HA3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59-667 (2006) 

  12. Kim JY, Koh JS. Screening of brewing yeasts and saccharifying molds for foxtail millet-wine making.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78-84 (2004) 

  13. Kim JY, Koh J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eju foxtail millet- wine by isolated alcoholic yeast and saccharifying mold.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85-91 (2004) 

  14. Shin KR, Kim BC, Yang JY, Kim YD. Characterization of yakju prepared with yeasts from fruits 1. Volatile components in y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94-800 (1999) 

  15. Shin KR, Kim BC, Yang JY, Kim YD. Characterization of yakju prepared with yeasts from fruits 2.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801-804 (1999) 

  16. Seo MY, Lee JK, Ahn BH, Cha SH. The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1-66 (2005) 

  17. Kang TY, Oh GH, Kim KN.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 strains producing high concentration of ethanol with high viability.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8: 309-315 (2000) 

  18. Seo MJ, Ryu SR. Screening and characteristics of ethanol tolerant strain Saccharomyces cerevisiae SE211.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0: 216-222 (2002) 

  19. Park JC, Ok M, Cha JY, Cho Y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high-glutathione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from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and optimal producing condition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 46: 348-352 (2003) 

  20. Lee HS, Lee TS, Noh BS.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93-599 (2007) 

  21. Shin HS, Rhee JY. Comparative studies on the lipid content and neutral lipid composition in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137-142 (1986) 

  22. Kim HR, Baek SH, Seo MJ, Ahn BH. Feasibility of cheongju brewing with wild type yeast strains from nuruk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4: 244-249 (2006) 

  23. NTSTS Institute. Textbook of alcoholic beverage-making.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Seoul, Korea (1997) 

  24. Japan Sake Brewers Association. A book with notes National Tax Service Methods of Analysis, 4th ed. Tokyo, Japan. pp. 27-30 (1993) 

  25.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959) 

  26. Bruce WZ, Kenneth CF, Barry HG, Fred SN. Wine Analysis and Production. Chapman & Hall, New York, NY, USA. pp. 370-372 (1995) 

  27. Bruce WZ, Kenneth CF, Barry HG, Fred SN. Wine Analysis and Production. Chapman & Hall, New York, USA. pp. 447-449 (1995) 

  28. Han EH, Lee TS. Noh BS, Lee DS.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1997) 

  29. So MH, Lee YS, Noh WS.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 226-232 (1999) 

  30. Arctander S. Perfume and Flavor Chemicals (Aroma Chemicals). Montclair, NJ, USA. p. 1325 (1969) 

  31. Yuda, J. Volatile compounds from beer fermentation. J. Soc. Brew. Japan 71: 818-830 (1976) 

  32. Encyclopedia CHIMICA. Kyolis Publishing & Printing Co. Ltd. Tokyo, Japan. Vol. 11, p. 110, p. 811, p. 847, Vol. 2, p. 481 (1964) 

  33. Lee JS, Lee TS, Choi JY, Lee DS.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nonglutinous rice t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9: 249-254 (1996) 

  34. Lee TS, Choi JY.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38-643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