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가상현실 시스템(Virtual Reality System)을 이용한 훈련이 척수손상환자의 앉기 균형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System on Sitting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Patient with Spinal Cord Injury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1 no.2, 2009년, pp.31 - 38  

정재훈 (국립재활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examined the effect of training using a Virtual Reality System on the sitting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with a spinal cord injury. Method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6 persons) and control group (5 persons). The experimental gr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척수손상환자에게 가상현실 시스템을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경우 앉기 균형감각과 일상생활동작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 이 연구는 척수손상환자의 균형과 일상생활동작의 기능향상을 위해 가상현실 시스템을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을 척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 6주간 1일 40분 주 3회 실시하였을 경우, 척수손상평가척도와 기능적 뻗기 검사, 앉기 유지 시간의 변화를 알아보아 척수손상환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재활 훈련 방법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물리치료 프로그램에서 제공하지 못했던 시각 및 청각 자극을 제공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을 이용하여 척수손상환자의 균형증진 훈련을 실시한 결과, 척수손상평가척도의 평균 점수는 실험군(p=0.
  • 이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시스템을 이용한 낙하산 조정하기, 풍선 터트리기, 컨베이어에서 상자 운반하기, 자동차경주하기, 스노우보드 타기 운동 방법이 척수손상평가척도, 기능적 뻗기 검사, 앉기 유지 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비교함으로써 척수손상환자의 일상생활동작 향상과 균형 증진에 바람직한 운동 방법으로 사용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수손상의 발생이 매년 증가하는 이유는? 최근 교통과 산업의 발달로 우리나라에서도 척수손상의 발생이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Chung1에 의하면 우리나라 척수손상 환자의 발생빈도는 인구 백만 명당 20.5명으로, 그 중 42%가 교통사고에 의한 손상이었다.
가상현실 시스템은 무엇을 통해 환자가 스스로 치료에 참여하도록 만드는가? 15‐19 가상현실 시스템은 실제상황에서 직면할 수도 있는 위험을 줄이고, 실제상황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상황을 안전한 조건하에서 환자가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17 또한, 치료에 대한 즐거움과 동기를 증대시켜 환자가 스스로 치료에 참여하도록 만든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가상현실 시스템은 음악치료, 기공치료, 근막치료 기술과 같이 대체 의술의 하나로 포함되고 있다.
우리나라 척수손상 환자의 발생빈도는? 최근 교통과 산업의 발달로 우리나라에서도 척수손상의 발생이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Chung1에 의하면 우리나라 척수손상 환자의 발생빈도는 인구 백만 명당 20.5명으로, 그 중 42%가 교통사고에 의한 손상이었다. 척수손상 후에 나타나는 증상에는 운동 및 감각기능의 소실, 대․소변 기능 장애, 성 기능 장애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 운동기능의 장애로 야기되는 손상 부위 이하의 근력 감소와 감각소실로 인한 걷기, 서기, 앉기 자세에서의 균형 장애는 척수손상환자의 일상생활의 범위를 제한하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ung NS, Chung CK, Lee WC et al. Estimation of incidence rate and factors related to occurrence of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in seoul. J Korean Acad Univ Trainde Phys Therapists. 1999;6(2):1-15. 

  2. Nam YH, Juhn YS, Sung IY et al. Current stautu on 110 members in the korean welfare association of spinal cord disabled. J Korean Acad Rehab Med. 1985;9(2):120-5. 

  3. Nashner LM. Evaluation of postural stability, movement and control. In: Clinical Exercise Physiology, Philadelphia, Mosby, 1994. 

  4. Nevitt MC, Cummings SR, Kidd S et al. Risk factors for recurrent nonsyncopal falls. A prospective study. JAMA. 1989;261(18):2663-8. 

  5. Judge JO, King MB, Whipple R et al. Dynamic balance in older persons: effects of reduced visual and proprioceptive input.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1995;50(5):263-70. 

  6. Kaminski TR, Bock C, Gentile AM. The coordination between trunk and arm motion during pointing movements. Exp Brain Res. 1995;106(3):457-66. 

  7. Dean C, Shepherd R, Adams R. Sitting balance I: trunk-arm coordination and the contribution of the lower limbs during self-paced reaching in sitting. Gait Posture. 1999;10(2):135-46. 

  8. Pigeon P, Yahia LH, Mitnitski AB et al. Superposition of independent units of coordination during pointing movements involving the trunk with and without visual feedback. Exp Brain Res. 2000;131(3):336-49. 

  9. Seelen HA, Vuurman EF. Compensatory muscle activity for sitting posture during upper extremity task performance in paraplegic persons. Scand J Rehabil Med. 1991;23(2):89-96. 

  10. Janssen-Potten YJ, Seelen HA, Drukker J et al. Postural muscle responses in the spinal cord injured persons during forward reaching. Ergonomics. 1999;42(9):1200-15. 

  11. Schmitz T.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In: O'SullivanS, Schmitz T, eds, Physical Rehabilitation and assessment and treatment, Philadelphia, FA Davis, 1994:533-76. 

  12. Bolin I, Bodin P, Kreuter M. Sitting position-posture and performance in C5-C6 tetraplegia. Spinal Cord. 2000;38(7):425-34. 

  13. Janssen-Potten YJ, Seelen HA, Drukker J et al. Chair configuration and balance control in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401-8. 

  14. Aissaoui R, Boucher C, Bourbonnais D et al. Effect of seat cushion on dynamic stability in sitting during a reaching task in wheelchair users with paraplegia. Arch Phys Med Rehabil. 2001;82(2):274-81. 

  15. Christiansen C, Abreu B, Ottenbacher K et al. Task performance in virtual environments use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1998;79(8):888-92. 

  16. Grealy MA, Johnson DA, Rushton SK.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fter brain injury: the use of exercise and virtual reality. Arch Phys Med Rehabil. 1999;80(6):661-7. 

  17. Rose FD, Brooks BM, Attree EA et al.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virtual environments in memory retraining after vascular brain injury: indications for future strategy? Disabil Rehabil. 1999;21(12):548-54. 

  18. Rizzo AA, Buckwalter JG, Humphrey L et al. The Virtual classroom: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for the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of attention deficits. Cyberpsychol Behav. 2000;3:483-99. 

  19. Kim JH, Kim CS.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standing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Ther. 2005;17(3):351-7. 

  20. Cunningham D, Krishack M. Virtual reality promotes visual and cognitive function in rehabilitation. Cyberpsychol Behav. 1999;2(1):19-23. 

  21. Schultheis MT, Rizzo AA.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rehabilitation. Rehabil Psychol. 2001;46(3):296-311. 

  22. Catz A, Itzkovic, Steinberg F et al. The Catz-Itzkovic SCIM : A revised version of the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Disabil Rehabil. 2001;23(6):263-8. 

  23. Warren, M. Evaluation and treatment of visual deficits. In: Pedritti LW, eds, Occupational Therapy, Baltimore, Mosby, 2006:198-211. 

  24. Horak FB. Clinical measurement of postural control in adults. Phys Ther. 1987;67(12):1881-5. 

  25. Allison L. Balance disorders. In: Umphred DA, 3rd eds, Neurological Rehabilitation, Baltimore, Mosby, 1995;803-33. 

  26.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 et al.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1990;45(6):192-7. 

  27. Lunch SM. Leahy P, Barker SP.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a 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 in subjects with spinal cord injury. Phys Ther. 1998;78(2):128-33. 

  28. Kim YR, Min WK. The in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functional reach test in subjects with spinal cord injury. J Korean Acad Univ Trainde Phys Therapists. 1999;6(3):51-8. 

  29. Janssen-Potten YJ, Seelen HA, Drukker J et al. The effect of footrests on sitting balance in paraplegic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5):642-8. 

  30. Chen CL, Yeung KT, Bih LI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itting stability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paraplegia. Arch Phys Med Rehabil. 2003;84(9):1276-81. 

  31. Minkel JL. Seating and mobility considerations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Phys Ther. 2000;80(7):701-9. 

  32. Gaal RP, Rebholtz N, Hotchkiss RD et al. Wheelchair rider injuries: causes and consequences for wheelchair design and selection. J Rehabil Res Dev. 1997;34(1):58-71. 

  33. Kim YH, Park JW, Woo YK et al.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Balance Scores and Posturographic Assessment using Virtual Reality in Patients with Stoke. The New Medical Journal. 2003;46(11):54-64. 

  34. Wernick-Robinson M, Krebs DE, Giorgetti MM. Functional reach: Does it really measure dynamic balance? Arch Phys Med Rehabil. 1999;80(3):262-9. 

  35. Betker AL, Szturm T, Moussavi ZK et al. Video game?based exercises for balance rehabilitation: a single-subject design. Arch Phys Med Rehabil. 2006;87(8):1141-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