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공성 PLGA 마이크로입자 제조법의 최적화 연구
Preparation of Highly Porous Poly(d,l-lactic-co-glycolic acid) (PLGA) Microspheres 원문보기

藥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harmaceutical sciences, v.39 no.3, 2009년, pp.167 - 171  

박홍일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  김현욱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  이은성 (가톨릭대학교 생명.환경공학부) ,  이강춘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윤유석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microspheres have been a useful tool as a controlled drug delivery system for peptides and proteins. Recently, porous microspheres have gained great attention as inhalation drug delivery system due to their low aerodynamic densities. Here, we report highly poro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폐흡입제제 개발을 위하여 이와 같은 다공성 마이크로입자의 제조법을 최적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마이크로입자에 다공성을 유도하는 물질 (porogen)에 따른 제조법을 확립하였으며 다공성 마이크로입자의 표면상태를 전자 주사현미경으로 고찰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포의 표면적 및 말단 폐포의 두께는 어떻게 되는가? 1) 최근에 PLGA 마이크로입자를 폐로 전달시킨 후 방출된 약물이 폐포를 경유한 뒤 전신순환하여 약효를 나타내는 폐흡입제제의 개발이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더욱이 폐포는 ~100 m2에 달하는 넓은 흡수 표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말단 폐포의 두께는 0.1~0.5 µm 정도로 매우 얇아 신속한 흡수를 보인다. 또한 약물의 폐 전달 시 간초회통과 효과를 피하여 높은 생물학적이용률을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공성 마이크로입자의 제조법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어떤 결과들을 얻을 수 있었는가? 폐 흡입제제로의 효용성을 지닌 약물전달 입자시스템으로서 크기가 크면서 가벼운 마이크로입자를 제조하고자 Pluronic F127과 발포성 탄산수소암모늄을 사용하여 제제처방 및 제조조건을 변화해가며 다공성 마이크로입자의 제조법을 확립하였다. 균일한 다공성 형성의 정도는 PLGA의 분자량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사용한 porogen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특히 탄산수소암모늄을 사용한 경우에는 초유제에 가하는 초음파의 지속시간이 다공성 마이크로입자의 최종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평가되었다. 이 밖에 분산상과 연속상의 부피비, PLGA와 porogen 양의비, PVA 용액의 농도, 입자고화 시의 시간 및 온도 등 많은 변수들이 제조에 영향을 끼쳤으며 이를 최적화하였다. 그러나 다공성 마이크로입자의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공적 성질 자체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약물의 봉입률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제한점은 펩타이드의 소수성 기능기 도입 등을 통한 봉입률 개선에 관한 향후 연구를 통하여 극복할 예정이며 이를 통하여 보다 완성된 흡입제제로서 다공성 마이크로입자의 가능성을 확보할 것이다.
Poly(lactic-coglycolic acid)를 이용한 마이크로입자는 어디에 사용되어 왔는가?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고분자중합체인 Poly(lactic-coglycolic acid)를 이용한 마이크로입자 (microspheres)는 펩타이드, 단백질 및 유전자 약물의 체내송달을 위한 장기제어방출시스템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이미 다수의 제품도 시판되어 이용되고 있다.1) 최근에 PLGA 마이크로입자를 폐로 전달시킨 후 방출된 약물이 폐포를 경유한 뒤 전신순환하여 약효를 나타내는 폐흡입제제의 개발이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R.C. Mehta, B.C. Thanoo and P.P. Deluca, Peptide containing microspheres from low molecular weight and hydrophilic poly(d,l-lactide-co-glycolide), J. Control. Rel., 41, 249-257 (1996) 

  2. J.S. Patton, C.S. Fishburn and J.G. Weers, The lungs as a portal of entry for systemic drug delivery, Proc. Am. Thorac. Soc., 1, 338-344 (2004) 

  3. J.S. Patton and P.R. Byron, Inhaling medicines: delivering drugs to the body through the lungs, Nat. Rev. Drug Discov., 6, 67-74 (2007) 

  4. DA. Edwards, J. Hanes, G. Caponetti, J. Hrkach, A. Ben-Jebria, M.L. Eskew, J. Mintzes, D. Deaver, N. Lotan and R. Langer, Large porous particles for pulmonary drug delivery, Science, 276, 1868-1871 (1997) 

  5. H.K. Kim, H.J. Chung and T.G. Park,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spheres with “open/closed” pores for sustained release of human growth hormone, J. Control. Rel., 112, 167-174 (2006) 

  6. M.J. Kwon, J.H. Bae, J.J. Kim, K. Na and E.S. Lee, Long actiong porous microparticle for pulmonary protein delivery, Int. J. Pharm, 333, 5-9 (2007) 

  7. Y.S. Nam, J.J. Yoon and T.G. Park, A novel fabrication method of macroporous biodegradable polymer scaffolds using gas foaming salt as a porogen additive, J. Biomed. Mater. Res., 53, 1-7 (2000) 

  8. T.K. Kim, J.J. Yoon, D.S. Lee and T.G. Park, Gas foamed open porous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spheres, Biomaterials, 27, 152-159 (2006) 

  9. K. Naidoo, H. Rolfes, K. Easton, S. Moolman, A. Chetty, W. Richter and R. Nilen, An emulsion preparation for novel micro-porous polymeric hemi-shells, Materials Lett., 62, 252-254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