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의 뇌졸중 환자들의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실태를 측정하고,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수준에 따른 뇌졸중 발생의 상대위험도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자는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처음 진단받은 후 입원한 환자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100명을 환자군으로 하였고 동일한 지역에서 뇌졸중 병력이 없고 환자군과 연령이 비슷한 지역사회 주민 15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조사는 반정량적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이용하여 조사자와 직접 면접을 통하여 2004년 7월부터 2005년 2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뇌졸중 환자군과 대조군의 1일 평균 에너지와 영양소 섭취량을 성별로 비교하면 남자의 경우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에너지와 모든 열량 영양소, 비타민 $B_1$, $B_6$, 나이아신, 엽산, 비타민 E, 인, 칼륨, 아연, 식이섬유의 섭취량과 단백질 및 지방 에너지 섭취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의 경우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방, 비타민 C, 엽산, 비타민 E, 철분 및 식이섬유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았고 탄수화물 에너지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에너지 및 영양소별 섭취수준과 관련된뇌졸중 발생 상대위험도를 성별로 보면, 남자는 에너지,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B_1$과 E, 나이아신, 아연, 총지방산, 단일불포화 지방산, 다가 불포화지방산 그리고 n-6 지방산의 높은 섭취수준이 뇌졸중 발생의 상대 위험도를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지방, 비타민 A, 비타민 $B_2$$B_6$, 나이아신, 비타민 C와 E, 철, 나트륨과 칼륨 및 셀레늄, 모든 지방산들, 그리고 콜레스테롤, 타우린, 식이섬유의 높은 섭취수준이 뇌졸중의 발생 위험도를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중 나이아신, 비타민 E, 지방산들은 성별에 따라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반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규모가 작고 특정지역에 국한 하여 조사가 이루어졌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성별에 따라 상반되는 결과를 보인 영양소들에 대해서는 향후 조사지역을 광역화하고, 보다 대규모의 대상자 집단에 대해 심도 있는 조사를 통해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energy and nutrients intakes of stroke patients in Daegu Gyeongbuk region, and to analyze the relative risk of stroke related to the intake levels of energy and nutrients. The case subjects (n=100) were selected from newly diagnosed stroke patients at Ky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의 뇌졸중 환자들의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실태를 측정하고,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수준에 따른 뇌졸중 발생의 상대위험도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자는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처음 진단받은 후 입원한 환자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100명을 환자군으로 하였고 동일한 지역에서 뇌졸중 병력이 없고 환자군과 연령이 비슷한 지역사회 주민 15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 전보(33)에서 본 연구자들은 지역사회 뇌졸중 환자들의 생활 습관과 식행동 특성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본보에서는 전통적으로 맵고 짠 자극적인 맛의 선호가 강한 식문화의 특색을 보이는 대구․경북 지역의 뇌졸중 환자와 대조군을 대상으로 열량 및 영양소 섭취 실태를 조사하여 이 지역 뇌졸중 환자의 영양 섭취 특성,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 수준에 따른 뇌졸중 발생의 상대 위험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인구 10만 명 당 몇 명인가? 통계청 보고(32)에 따르면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인구 10만 명 당 59.6명으로 암 중에서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폐암의 29.1명보다 2배나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뇌졸중의 예방과 관리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보건 차원의 문제로 부각된 이유는 무엇인가? 의학기술의 발달, 조기 치료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변화와 건강관리로 뇌졸중의 생존율은 증가되었으나 뇌졸중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후유증이나 합병증에 의해 야기되는 생산력 저하 및 과다한 의료비용의 지출은 개인이나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엄청난 손실을 초래하므로 뇌졸중의 예방과 관리는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보건 차원의 주요한 문제로 부각되었다(1,2). 따라서 뇌졸중은 발병한 후 치료를 위한 방법을 발전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발병하기 전에 위험인자를 찾아 제거함으로써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단백질의 섭취수준에 따른 상대위험도가 남녀가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09)정도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에서는 섭취수준에 따른 위험도에 유의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남녀 간의 차이는 남자들에서는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단백질 섭취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여자에서는 환자 대조군 간의 차이가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단백질 결핍과 낮은 혈청 알부민 농도는 동맥경화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보고(9,50,51)가 있어 본 연구의 남자 대상자의 결과와는 상반되나 여자 대상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단백질 섭취가 높은 경우 위험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7)

  1. Seok SH. 1999. Epidemiology and pathological mechanism of stroke. J Korean Geriatr Soc 3: 5-17 

  2. 배철환. 2004. 뇌졸중. 신원문화사, 서울. p 13-40 

  3. Gariballa SE. 2000. Nutritional factors in stroke. Stroke 84: 5-17 

  4. Go UY, Kim JS. 1997.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hypertension and dietary intake in a rural adult population. Korean J Preventive Medicine 30: 729-740 

  5. Park JA, Yoon JS. 2001. The effect of habitual calcium and sodium intakes on blood pressure regulating hormone in free-living hypertentive women. Korean J Nutr 34: 409-416 

  6. Cho SH. 1994. Dietary lipid and atherosclerosis. J Korean Soc Food Nutr 23: 170-179 

  7. Kimura N, Toshima H, Nakayama Y, Mizuguchi T, Fukami T. 1972. Population survey on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he ten years experience in the farming village of Tanushimaru and the fishing village of Ushibuka. J pn Heart J 13: 118-127 

  8. Gillum RF, Ingram DD, Makuc DM. 1994. Relation between serum albumin concentration and stroke incidence and death: The NHANES I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Am J Epidemiol 140: 876-888 

  9. Kuller LH, Eichner JE, Orchard TJ, Grandits GA, McCallum L, Tracey R. 1991. The relation between serum albumin level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the multiple risk factor intervention trial. Am J Epidemiol 134: 1266-1277 

  10. Kagan A, Popper JS, Rhoads GG, Yano K. 1985. Dietary and other risk factors for stroke in Hawaiian Japanese men. Stroke 16: 390-396 

  11. McGee D, Reed D, Stemmerman G, Rhoads G, Yano K, Feinleib M. 1985. The relationship of dietary fat and cholesterol to mortality in 10 years. Int J Epidemiol 14: 97-105 

  12. Lindenstrom E, Boysen G, Nyboe J. 1994. Influence of total cholesterol, HDL and triglyceride on risk of cerebrovascular disease. Br Med J 309: 11-15 

  13. Gillman MW, Cupples LA, Millen BE, Ellison RC, Wolf PA. 1997. Inverse association of dietary fat with development of ischaemic stroke in men. J Am Med Assoc 278: 2145-2150 

  14. Simon JA, Fong J, Bernert JT, Browner WS. 1995. Serum fatty acids and the risk of stroke. Stroke 26: 778-782 

  15. Simon JA, Fong J, Bernert JT, Browner WS. 1995. Serum fatty acids and the risk of stroke. Stroke 26: 778-782 

  16. Iso H, Sato S, Umemura U, Kudo M, Koike K, Kitamura A, Imano H, Okamura T, Naito Y, Shimamoto T. 2002. Linoleic acid, other fatty acids and the risk of stroke. Stroke 33: 2086-2093 

  17. Hirvonen T, Virtamo J, Korhonen P, Albanes D, Pietinen P. 2000. Intake of flavonoids, carotenoids, vitamins C and E, and risk of stroke in male smokers. Stroke 31: 2301-2306 

  18. Yokoyama T, Date C, Kokubo Y, Yoshiike N, Matsumura Y, Tanaka H. 2000. Serum vitamin C concentration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subsequent 20-year incidence of stroke in a Japanese rural community. Stroke 31: 2287-2294 

  19. Barer D, Leibowitz R, Ebrahim S, Pengally D, Neale R. 1989. Vitamin C status in patients with stroke and other acute illnesses. J Clin Epidemiol 42: 625-631 

  20. De Keyser J, De Klippel N, Merkx H, Vervaeck M, Herroelen L. 1992. Serum concentrations of vitamin A and E and early outcome after ischaemic stroke. Lancet 339: 1562-1565 

  21. Hennekens CH, Buring JE, Manson JE, Stamper M, Posner B, Cook NR, Belanger C, LaMotte F, Gaziano JM, Ridker PM, Willett W, Peto R. 1996. Lack of effect of long-term supplementation with beta carotene on the incidence of malignant neoplasm and cardiovascular disease. N Engl J Med 334: 1145-1149 

  22. He K, Merchant A, Rimm EB, Rosner BA, Stampfer MJ, Willett WC, Ascherio A. 2004. Folate, vitamin $B_6$ , and $B_{12}$ intakes in relation to risk of stroke among men. Stroke 35: 169-174 

  23. Bazzano LA, He J, Ogden LG, Loria C, Vupputuri S, Myers L, Whelton PK. 2001. Dietary potassium intake and risk of stroke in US men and wome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Stroke 32: 1473-1480 

  24. Iso H, Stampfer MJ, Manson JE, Rexrode K, Hennekens CH, Colditz GA, Speizer FE, Willett WC. 1999. Prospective study of calcium, potassium and magnesium intake and risk of stroke in women. Stroke 30: 1772-1779 

  25. McCarron DA, Morris CD. 1985. Blood pressure response to oral calcium in persons with mild to moderate hypertension.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trial. Ann Inter Med 103: 825-831 

  26. Belizan JM, Sainz E, Menendez LA, Villar J. 1981. Rise of blood pressure in calcium-deprived pregnant rats. Am J Obstret Gynecol 141: 163-169 

  27. Choi MK, Kim YJ, Song JE, Sung CJ. 1996.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blood pressure and Na, K, Ca and Mg in cerebral apoplexy patients. J Korean Soc Food Nutr 25: 1-10 

  28. Kim JD, Choe M, Ju JS. 1995. A study on correlation be tween blood pressure and dietary Na, K intake pattern in the family members of normal and 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s. J Korean Soc Food Nutr 24: 24-29 

  29. Kwon CS, Park KH, Yoon SH, Jang HS. 1999. The status of serum lipids and antioxidant vitamins in female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Korean J Nutr 32: 24-29 

  30. Park MH, Park YS, Park YS, Choi YS. 1991. Studies on family caregiving, clothing and nutrition of disabled elderly-(part 3) Food behavior and nutrition of elderly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J Korean Home Econ Assoc 29: 85-95 

  31. Kim SM, Jung YM. 2002.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in relation to food habit and attitude of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95-305 

  3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http://www.nso.go.kr 

  33. Sung SJ, Jung DG, Lee WK, Kim YJ, Lee HS. 2009. Life style and eating behavior of stroke patients in Daegu; Gyeongbuk province,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19-332 

  34. Suh SW, Koo BK, Choi YH, Lee HS. 2003. Life-style and eating behaviors of the stomach cancer patients in Daegu and Kyungpook area, Korea. Korean J Nutr 35: 380-393 

  35. Paik HY, Ryu JY, Choi JS, Ahn YJ, Moon HK, Park YS, Lee HK, Kim YI. 199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dietary assessment of Korea adults in rural area. Korean J Nutr 28: 914-922 

  36.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1999. Analysis on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37. Kim WY, Yang EJ. 1998.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s. Korean J Nutr 31: 220-230 

  38. Korean advanced food research institute. 1998. Food measurement with the eye. Seoul 

  39. Kerlinger FN. 1986. Foundations of behavioral research. 3th edition.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New York, USA. 404-415 

  40. Nishimune T, Sumimoto T, Yakusiji T, Kunita N. 1991.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Japanese foods. J Assoc Off Anal Chem 74: 350-359 

  41. Baek JW, Koo BK, Kim KJ, Lee YK, Lee SK, Lee SH. 2000. Nutritional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pook Sung-Ju area (1)-Estimation of nutrient intakes-. Korean J Nutr 33: 438-453 

  42. Kwon CS, Park KH, Yoon SH, Jang HS. 1999. The status of serum lipids and antioxidant vitamins in female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Korean J Nutr 32: 24-29 

  43. Kim HK, Yoon JS. 1989.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elderly women living in urban community. Korean J Nutr 22: 175-184 

  44.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Nutrition Survey (I) 

  45. Song YS, Chung HK, Cho MS. 1995.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female elderly residents in nursing home-I. Nutritional and biochemical health status-. 1995. Korean J Nutr 28: 1100-1116. 

  46. Abbott RD, Behrens GR, Sharp DS, Rodriguez BL, Burchfiel CM, Ross GM, Yano K, Curb JD. 1994. Body mass index and thromboembolic stroke. Stroke 25: 2370-2376 

  47. Walker SP, Rimm EB, Ascherio A, Kawachi I, Stampfer MJ, Willett WC. 1996. Body size and fat distribution as predictors of stroke among US men. Am J Epidemiol 144: 1143-1150 

  48. Folsom AR, Rasmussen ML, Chambless LE, Howard G, Cooper LS, Schmidt MI, Heiss G. 1999. Prospective associations of fasting insulin, body fat distribution, and diabetes with risk of ischaemic stroke. Diabetes Care 22: 1077-1083 

  49. Suk SH, Sacco RL, Boden-Albala B, Cheun JF, Pittman JG, Elkind MS, Paik MC. 2003. Abdominal obesity and risk of ischemic stroke. Stroke 34: 1586-1592 

  50. Phillips A, Shaper AG, Whincup PH. 1989. Association between serum albumin and mortality from cardiovascular disease, cancer and other causes. Lancet 16: 1434-1436 

  51. Gillum RF, Mckuc DM. 1992. Serum albumin, coronary heart disease and death. Am Heart J 123: 507-513 

  52. Sauvaget C, Nagano J, Hayashi M, Yamada M. 2004. Animal protein, animal fat and cholesterol intakes and risk of cerebral infarction mortality in the adult health study. Stroke 35: 1531-1537 

  53. Fraser GE. 1994. Diet and coronary heart disease: beyond dietary fats and low-density-lipoprotein cholesterol. Am J Clin Nutr 59: 1117-1123 

  54. Ascherio A, Rimm EB, Hernan MA, Giovannucci EL, Kawachi I, Stampfer MJ, Willett WC. 1999. Relation of consumption of vitamin E, vitamin C, and carotenoids the risk for stroke among men in the United States. Ann Intern Med 130: 963-970 

  55. Gale CR, Martyn CN, Winter PD, Cooper C. 1995. Vitamin C and risk of death from stroke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a cohort of elderly people. Br Med J 310: 1563-1566 

  56. Kurl S, Tuomainen TP, Laukkanen JA, Nyyssonen K, Lakka TA, Sivenius J, Salonen JT. 2002. Plasma vitamin C modifies the association between hypertension and risk of stroke. Stroke 33: 1568-1573 

  57. Bazzano LA, He J, Ogden LG, Loria C, Vupputuri S, Myers L, Whelton PK. 2002. Dietary intake of folate and risk of stroke in US men and women (NHANES I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Stroke 33: 1183-1189 

  58. Al-Delaimy WK, Rexrode KM, Hu FB, Albert CM, Stampfer MJ, Willett WC, Manson JE. 2004. Folate intake and risk of stroke among women. Stroke 35: 1259-1263 

  59. Keli SO, Hertog MGL, Feskens EJM, Kromhout D. 1996. Dietary flavonoids, antioxidant vitamins, and incidence of stroke. Arch Intern Med 154: 637-642 

  60. Ascherio A, Rimm EB, Hernan MA, Giovannucci EL, Kawachi I, Stampfer MJ, Willett WC. 1998. Intake of potassium, magnesium, calcium, and fiber and risk of stroke among US men. Stroke 98: 1198-1204 

  61. Langford HG. 1983. Dietary potassium and hypertension: epidemiologic data. Ann Intern Med 98: 770-772 

  62. MacGregor GA. 1983. Sodium and potassium intake and the blood pressure. Hypertension 5: 79-84 

  63. Fang J, Madhavan S, Alderman MH. 2000. Dietary potassium intake and stroke mortality. Stroke 31: 1532-1537 

  64. Prospective Studies Collaboration. 1995. Cholesterol,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stroke: 13,000 strokes in 450,000 people in 45 prospective cohorts. Lancet 346: 1647-1653 

  65. Emond MJ, Zareba W. 1997. Prognostic value of cholesterol in women of different ages. J Women Health 6: 295-307 

  66. Eastern stroke and coronary heart disease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1998. Blood pressure, cholesterol and stroke in Eastern Asia. Lancet 352: 1801-1807 

  67. Thrift AG. 2004. Cholesterol is associated with stroke, but is not a risk factor. Stroke 35: 1524-15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