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1 no.2, 2009년, pp.143 - 148  

김주현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강원대학교 건강돌봄연구소) ,  이은희 (강릉대학교 간호학과) ,  현혜진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길정희 (춘천정신보건센터) ,  김진순 (당림리 보건진료소) ,  박양숙 (춘천한방병원) ,  박진숙 (강원대학교병원) ,  이호연 (서울의료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linical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a trans-sectional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clinical nurs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medical 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과 강원지역의 종합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영향요인을 지각된 건강상태와 지각된 비만도, BMI, Cholesterol, Hemoglobin 등의 신체적 요인과 우울의 심리적 요인 및 직무만족과 가족지지 등의 사회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건강에 대한 위협은 간호사 개인의 손실뿐 아니라 환자의 간호에도 질적인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간호사들은 자신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신체적 요인으로는 지각된 건강상태와 지각된 비만정도, BMI, Cholesterol, Hemoglobin을, 심리적 요인으로는 우울을, 사회적 요인으로는 직무만족과 가족지지 등의 관계를 파악하여 관련 변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 또한 비만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콜레스테롤의 상승과 관련이 있고 헤모글로빈은 영양 상태 판정에 중요한 요소이다(Jarvis, 200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신체적 요인으로는 지각된 건강상태와 지각된 비만정도, 신체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Cholesterol, Hemoglobin을, 심리적 요인으로는 우울을, 사회적 요인으로는 직무만족과 가족지지 등을 조사하여 그 관계를 파악하고 임상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간호사의 바람직한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향후 좀 더 효율적인 건강증진 제공자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임상간호사들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간호사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연구 결과, 직무만족이 건강증진행위, BMI, 지각된 건강상태 및 가족 지지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우울과는 유의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임상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우울, 가족지지 및 직무만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우울, 직무만족, 가족지지 등을 고려하여 임상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간호사들의 건강증진자로서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건강증진의 개념이 매우 광범위하지만 실제적으로 일차 건강관리 수준의 접근임을 고려할 때 간호사들의 건강증진자로서 역할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로 간호사는 건강생활 실천자의 모델로서 직접간호 제공자, 건강교육자, 건강행위 촉진자의 직무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Park & Kim, 2000). 특히, 서비스 대상인 환자들이 건강하지 못한 상태에 있으므로 간호제공과정에서 장기간 노출된 근무환경은 간호사의 건강을 위협할 수도 있고(Kim, 1997), 불건강한 상태에 있는 간호사는 간호 대상자에 대한 무관심, 환자 간호의 질과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어 간호의 질과 양의 변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Cho, 1999).
건강이란 무엇인가? 건강이란 소극적으로는 질병이 없는 상태고, 가장 적극적으로는 세계보건기구의 이상적이고 규범적인 정의인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으로 정의되는데 이러한 정의는 장애나 질병이 없다는 것에 초점을 두지 않고 신체와 심리적 측면과 사회적인 측면, 즉 인간의 총체적인 안녕 상태라는 긍정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건강에 대한 의식의 변화와 건강 관리 비용의 상승으로 많은 사람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안녕수준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건강증진행위에 관심을 가지게되었다(Lim,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ng, K. S., & Park, H. J. (2008). Correlation assertiveness and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J Korean Clin Nurs Res, 14, 93-102. 

  2. Cha, I. J. (2008). Clinical nurse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3. Cho, Y. S. (1999). A study of the critical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elf-efficacy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4. Choi, H. J. (2008). Comparison of health conditions, sleeping condition,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job between nurses working only during day and those working in shif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5. Choi, S. R. (2006). The factors that affect health-promotion lifestyle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6. Jarvis, C. (2004). Physical examination & health assessment. (5th ed.). St. Loise, MO: Elsevier. 

  7. Jeun, Y. H. (2007). Job stress, health stat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8. Kim, E. K. (2007).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shifting nurses' on the health condi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9. Kim, H. Y.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resourcefuln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hospital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10. Kim, J. E. (2004). Health evaluation of general hospital nurses by their working patter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1. Kim, J. S., & Shin, K. R. (2004). A study on depress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adult women. J Korean Acad Nurs, 34, 352-361. 

  12. Kim, S. K. (2003). Job-related stress and health of professional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Kim, S. O. (1997). A study of health condition and shift service of the nurse in general hospital. J Korean Nurs Adm Acad Soc, 3, 1, 119-133. 

  14. Kim, S. O. (1997). A study of health condition and shift service of the nurse in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15. Kim, S. O. (2003). A study on the fatigu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6. Ko, I. A. (2007). Role conflict of married nurs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Jeju. 

  17. Korea Medical Association. (2009). Retrieved February 11, 2009 from http://www.kma.org/contents/board/mboard.asp?execview&strBoardIDreport&intSeq3449 

  18. Lee, E. H., & So, A. Y. (2009). Comparison of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between middle Aged Koreans and Korean-American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INC 2009, Seoul, Korea. 

  19. Lee, J. S. (2001). The related factors with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some general hospital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20. Lee, M. O., Ryu, S. Y., Byun, I. G., & Park, J. H. (2004).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in some clinical nurses. Unpublished Chosun University, 29(2). 

  21. Lee, W. H., & Kim, C.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36, 925-932. 

  22. Lim, D. S. (2005). A study on the health concept, health promotion and practices behaviors of some soldi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3. Lim, K. H. (2002). A study on shifting nurses health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4. Oh, E. J. (2004).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emergency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 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5. Park, B. Y. (2008).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6. Park, H. J., & Kim, H. J. (2000). A study on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its affecting factors of hospital nurses. Korean J Occup Health Nurs, 9, 94-109. 

  27. Park, M. O. (2007). The influence of health promotion life style, perception of head nurse's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n the work performance among nurses of some veterans hospit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28. Park, Y. J., Lee, S. J., Oh, K. S., Oh, K. O., Kim, J. A., Kim, H. S., et al. (2002). Social support, stressful life events, and health behaviors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J Korean Acad Nurs, 32, 792-802. 

  29.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s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 Res, 36(2), 76-81. 

  30. Yi, S. E., Oh, K., Park, Y. J., Kim, J., Kim, H. S., Oh, K. O., et al. (2004).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health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J Korean Acad Nurs, 34, 903-912. 

  31. Yu, S. J. (2007).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urses on health stat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