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인터넷 패션 광고 회피에 관한 연구: 인터넷광고속성을 중심으로
Internet Fashion Advertising Avoidance: Internet Advertising Attribute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7 no.9 = no.255, 2009년, pp.83 - 90  

조세나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이승희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dvertising avoidance of the Internet fashion advertising. Three hundred and thirty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its suburb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were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그 동안의 인터넷 광고 연구는 대부분이 배너광고에 대한 연구(윤성준, 김주호, 2002; 이경렬 김상훈, 2001), 혹은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김성훈, 김지호 2004; 조정식, 2006)등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패션 광고의 속성이 광고회피, 클릭의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변인간의 관계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광고회피의 예측 변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인터넷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패션 제품의 인터넷 광고 활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패션광고 기획에 도움이 되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광고회피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예, Krugman, Cameron, & White, 1995)은 주로 광고의 회피행동을 기계적 회피, 인지적 회피, 그리고 물리적 회피의 세 가지 측면에서 조사하였는데, 이는 대부분이 TV매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유형 중 인터넷 매체에 적용 가능한 기계적 회피와 인지적 회피를 중심으로 조사해 보았다. 첫째, 기계적 회피는 인터넷의 경우 마우스를 조작하여 광고가 게재된 화면을 없앤다거나 스크롤을 내려 광고를 보이지 않게 만드는 행동, 또한 다른 웹페이지로 옮겨감으로써 광고를 회피하는 행동 등을 의미한다(김지호, 김재휘, 2003).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광고의 주요 속성 4가지를 추출하여 광고회피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패션제품의 인터넷 광고회피를 줄이고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패션 광고의 속성이 광고회피, 클릭의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변인간의 관계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광고회피의 예측 변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인터넷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패션 제품의 인터넷 광고 활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패션광고 기획에 도움이 되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광고의 속성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광고회피를 감소시키는 속성을 밝혀내 클릭의도를 높여 결과적으로 구매의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토대로 [그림 1]과같은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가설 설정

  • H1 인터넷 광고의 정보성은 광고회피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1 인터넷 광고의 정보성은 기계적 회피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인터넷 광고의 정보성은 인지적 회피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인터넷 광고의 오락성은 광고회피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인터넷 광고의 오락성은 기계적 회피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인터넷 광고의 오락성은 인지적 회피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인터넷 광고의 지각된 침입성은 광고회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1 인터넷광고의 지각된 침입성은 기계적 회피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2 인터넷광고의 지각된 침입성은 인지적 회피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인터넷 광고의 복잡성은 광고 회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1 인터넷 광고의 복잡성은 기계적 회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2 인터넷 광고의 복잡성은 인지적 회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인터넷 광고회피는 클릭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1 인터넷 광고의 기계적 회피는 클릭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2 인터넷 광고의 인지적 회피는 클릭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인터넷 광고 클릭의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성훈, 김지호(2004). 인터넷 광고에 의해 유도된 감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15(1), 115-130 

  2. 김요한(2004). 광고매체별 광고회피 수준 및 광고회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지호, 김재휘(2003). 인터넷 광고의 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4(3), 165-189 

  4. 김재휘, 김용환(2003). 인터넷 광고의 침입성과 관여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60, 7-35 

  5. 김재휘, 김태훈(2001). 인터넷 광고혼잡도과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배너광고의 수와 침입성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3(1), 55-73 

  6. 박기남, 이훈영(2000). 인터넷 배너광고의 클릭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에 관한 시물레이션 연구. 광고학연구, 13, 269-288 

  7. 윤성준, 김주호(2002). 배너광고는 효과적인가?: 광고형태와 광고내용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3(3), 141-162 

  8. 이경렬, 김상훈(2001). 인터넷 배너광고 정보처리 과정에서 조정변인으로서의 관여도 및 인지욕구의 역할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59, 73-90 

  9. 이근영, 김위근, 권상희(2007). 상호작용성과 맥락이 인터넷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18(1), 131-160 

  10. 이두희, 전기홍, 임승희(2001). 인터넷 이용 동기의 동태적 연구. 소비문화연구, 4(1), 185-201 

  11. 이호배, 정주훈, 박기백(2000).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속성신념과 태도가 홈페이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29(2), 263-290 

  12. 조정식(2006). 실 집행 결과를 통해 살펴본 인터넷 배너 광고와 잡지 광고의 효과-그들은 과연 효과적인가?. 광고학연구, 17(2), 131-160 

  13. 통계청(2008). 2007년 12월 및 연간 사이버쇼핑몰통계조사 결과 

  14. Biel, A. L.(1990). Attributes of likable television commercial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0(3), 38-44 

  15. Bogart, L.(1986). What forces shape the future of advertising research?.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6, 99-104 

  16. Chen, Q., & Wells, W. D.(1999). Attitude toward the internet sit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 27-37 

  17. Ducoffe, R. H.(1996).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6(5), 21-35 

  18. Goldsmith, R. E., Lafferty, B. A., & Newell, S. J.(2000). The impact corporate credibility and credibility on consumer reaction to advertisements and brands. Journal of Advertising, 29(3), 43-54 

  19. Ha, L.(1996). Advertising clutter in consumer magazine: Dimensions and effect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6(4), 76-84 

  20. Hoffman, D. L., & Novak, T. P.(1996).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56, 50-68 

  21. Kaplan, B. M.(1985). Zapping - The real issue is communication.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5(2), 9-12 

  22. Krugman, D. M., Cameron, G. T., & White, C. M. (1995). Visual attention to commercials: the use of in-home observation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4, 1-12 

  23. Lavidge, R. J., & Steiner, G. A.(1961). A model for predictive measurement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Marketing, 25(6), 59-62 

  24. McDonald, C. S.(1997). The once and future web: Scenarios for advertiser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6(4), 76-84 

  25. Raman, N. V., Leckenby, J. D.(1998). Factors affecting consumers web ad visit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2(7/8), 737-748 

  26. Rotzoll, K., Haefner, J. E., & Sandage, C. H.(1989). Perspective: Advertising and Classical Liberal World View, Advertising in Contemporary Society, Ohio, South-Western Publishing 

  27. Speck, P. S., & Elliott, M. T.(1997). Predictors of Advertising voidance in Print and Broadcasting Media. Journal of Advertising, 26(3), 61-76 

  28. Stevenson, J. S., Bruner, G. C., Kumar, A.(2000). Webpage background and viewer attitud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7, 29-24 

  29. Webb, P. H., Ray, M. L.(1979). Effects of TV clutter.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9(3), 7-12 

  30. York, D. A., & Kitchen, P. A.(1985). Channel flickers and video speeder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5(2), 21-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