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경색환자의 연하곤란에 대한 전기자극 치료의 효과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for Dysphagia Caused by Cerebral Infarction 원문보기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Electrophysiology, v.7 no.1, 2009년, pp.17 - 21  

권혜민 (효인병원 물리치료실) ,  이정우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윤세원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for dysphagia caused by cerebral infarction. Methods : We recruited nineteen adults after cerebral infarction(14 male, 5 female; mean age, 69y) for our study. Electrical stimulation was used for participants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하곤란 치료는 대부분 식이요법 (유동식의 농도조절), 머리 자세 또는 식괴의 크기 조절, 턱을 당기는 등의 보상적인 치료방법16과 얼음 등으로 앞쪽 구개문(anterior faucial arch)을 자극하는 방법인 온도-촉각자극하는 방법,21 바이오 피드백을 이용하는 방법22들이 있다. 또한 전기자극을 이용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메타분석23에서도 이 분야에 대한 적은 연구 수로 인한 해석의 제한점을 보고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특히 물리 치료 분야에서 이러한 전기자극을 이용한 연하곤란 치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극을 이용하여 뇌경색인 환자의 연하곤란에 대한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하곤란증이 비교적 많이 발견되는 뇌경색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에서 전기자극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비디오 투시검사와 삼킴기능점수, 환자의 임상적 증상에 대한 이학적 검사로 치료 효과를 평가하여 연하곤란증에 대한 전기자극의 치료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하곤란이란 무엇인가? 연하(Swallowing) 장애는 급성 뇌졸중의 약 27~50%에서 나타 나고 무호흡성 폐렴, 탈수 증상과 영양실조 등 합병증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3,4,6 연하곤란은 인두 또는 식도의 내경이 좁아지므로 유발되는 기계적 연하곤란과 연동수축의 약화 또는 부조화에 의하여 유발되는 운동성 연하곤란 또는 구강, 인두, 식도, 뇌 등 여러 기관의 질환에 의해 수반될 수 있는 증상으로 특히 구강-인두 부위에서 발생하는 연하곤란은 음식물 섭취 시 사레, 질식, 흡인으로 인한 폐렴 등을 일으킬 수 있어 임상적으로 중요하 며, 운동성 연하곤란은 신경근육계의 이상으로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연하곤란은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중요한 임상적 문제이다.
연하곤란의 신경 근육학적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 어떤 검사들을 실시하는가? 인두무력증의 가장 많은 원인은 신경 근육학적 이상에서 오는 연하곤란이다. 신경근육학적 원인이 뚜렷하지 않는 경우는 정확한 병력조사, 신경학적 검사, 혈액검사 뇌영상조영술 근육생검 등을 실시하여 신경 근육학적 원인을 배제해야 한다. 특히 뇌간 경색으로 인한 연하곤란이 많기 때문에 뇌의 자기공명촬영이 필요하다.
연하작용은 어떤 부분들로 구분되는가? 인간생명의 연장은 여러 가지에 의해서 결정이 될 것이며, 그 중식생활에서 음식물의 섭취는 에너지원으로서 많은 작용을 한다. 연하작용은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의 세 부분으로 구분하며, 연하시기 중 한곳에 이상이 있으면 연하곤란증이 발생하며, 이 중 인두기 연하곤란은 기도흡인으로 흡인성 폐렴이나 영양실조로 진행될 가능 성이 커서 예방과 치료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ickling KG, Howard R.A Retrospective survey of treatment and mortality in aspiration pneumonia. Intensive Care Med. 1988;14(6):617-22. 

  2. Finestone HM, Greene-Finestone LS, Wilson ES, Teasell RW. Malnutrition in stroke patients on the rehabilitation service and at follow-up: prevalence and predictors.Arch Phys Med Rehabil. 1995;76(4):310-6. 

  3. Gordon C, Hewer RL, Wade DT. Dysphagia in acute stroke. Br Med J (Clin Res Ed). 1987;295(6595):411-4. 

  4. Odderson IR, Keaton JC, McKenna BS. Swallow management in patients on an acute stroke pathway: quality is cost effective. Arch Phys Med Rehabil. 1995;76(12):1130-3. 

  5. Smithard DG, O'Neill PA, Parks C et al. Complications and outcome after acute stroke. Does dysphagia matter? Stroke. 1996;27(7):1200-4 

  6. Smithard DG, O'Neill PA, England RE et al. The natural history of dysphagia following a stroke. Dysphagia. 1997;12(4):188-93. 

  7. Freed ML, Freed L, Chatburn RL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swallowing disorders caused by stroke. Respir Care. 2001;46(5):466-74. 

  8. McHorney CA, Robbins J, Lomax K et al. The SWAL-QOL and SWAL-CARE outcome tool for oropharyngeal dysphagia in adults: Ⅲ. Document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Dysphagia. 2002;18(2), 97-114. 

  9. Kilman WJ, Goyal RK. Disorders of pharyngeal and upper esophageal sphincter motor function. Arch Intern Med. 1976;136(5):592-601. 

  10. Goyal RK, Martin SB, Shapiro J et al. The role of cricopharyngeus muscle in pharyngoesophageal disorders. Dysphagia. 1993;8(3):252-8. 

  11. Martin BJ, Corlew MM, Wood H et al. The association of swallowing dysfunction and aspiration pneumonia. Dysphagia. 1994;9(1):1-6. 

  12. Neumann S, Bartolome G, Buchholz D et al. Swallowing therapy of neurologic patients: correlation of outcome with pretreatment variables and therapeutic methods. Dysphagia. 1995;10(1):1-5 

  13. Miller RM, Langmore SE. Treatment efficacy for adults with oropharyngeal dysphagia. Arch Phys Med Rehabil. 1994;75(11):1256-62. 

  14. 김대열, 한태륜, 이시욱 등.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 곤란에서 전기 자극의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2008, 32(1):9-14. 

  15. 김정환, 이건재, 김상준. 연하 곤란을 동반한 뇌 병변 환자들에서 설골 상부 근육의 전기 자극 치료. 대한뇌졸중학회지. 2007;9(2):134-141. 

  16. 정원미, 김태현, 정한영. 신경근 전기자극을 이용한 연하곤란의 치료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05;13(1):15-23. 

  17. Ott DJ, Pikna LA. Clinical and videofluoroscopic evaluation of swallowing disorders. AJR Am J Roentgenol. 1993;161(3):507-13 

  18. Palmer JB, Kuhlemeier KV, Tippett DC. Protocol for the videofluorographic swallowing study. Dysphagia. 1993;8(3):209-14. 

  19. Castell JA.,Castell DO., Modern solid state computerized manometry of the pharyngoesophageal segment. Dysphagia. 1993;8(3):270-5. 

  20. Perlman AL, Booth BM, Grayhack JP. Videofluoroscopic predictors of aspiration in patients with oropharyngeal dysphagia. Dysphagia. 1994;9(2):90-5. 

  21. Logemann JA, Kahrilas PJ, Kobara M et al. The benefit of head rotation on pharyngoesophageal dysphagia. Arch Phys Med Rehabil. 1989;70(10):767-71. 

  22. Gray M. A direct intervention program for chronic neurogenic dysphagia secondary to brainstem stroke. Dysphagia. 1995;10(1):6-18. 

  23. Carnaby-Mann GD, Crary MA. Examining the evidence on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swallowing: A meta-analysi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7;133(6):564-71. 

  24. Freed ML, Freed L, Chatburn RL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swallowing disorders caused by stroke. Respir Care. 2001;46(5):466-74. 

  25. Blumenfeld L, Hahn Y, Lepaqe A et al.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altion versus traditional dysphagia therapy: a nonconcurrent cohort study.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6;135(5):75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