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장애 환자의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에 따른 음성 변화
Voice Change Associated with Swallowing Disorder Caused by a Stroke After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4, 2012년, pp.1665 - 1671  

변해원 (대림대학교 언어재활과, 아주대학교의료원 노인보건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반복된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NMES)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성의 변화를 음향음성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고, NMES 중재가 음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0년 2월 부터 2011년 3월까지 인천광역시의 2개 병원에서 삼킴장애로 진단을 받은 발성이 가능한 15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2개월 동안 반복된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를 실시하였다. 음성은 강도, 음도($F_0$), 음질(Jitter, Shimmer, NNE; Normalized Noise Energy)을 측정하였고, 중재가 종료된 1주 후에 변화된 음성이 유지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NMES 중재 후 대상자의 삼킴 기능 회복과 함께 음성 강도가 향상되었고, 성대 진동의 주기성(Jitter, Shimmer)이 안정되었다(P<0.05). 그러나 음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NNE는 중재 후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비정상적인 수치를 보였다. 이 결과는 반복된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가 삼킴 능력의 회복과 함께 음성 강도의 향상 및 성대 진동 주기성의 안정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changes in voice using acoustic analysis during the process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targeting dysphagia treatment. Fifteen man with dysphagia caused by stroke was treate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two months and intensity of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2개월 동안의 반복된 경부근육전기자극치 료를 받은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장애 남성 15명을 대상으로 음향음성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가 음성의 강도, 음도, 음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의 결과는 삼킴재활치료 과정에서 반복된 경부 근육전기자극치료가 삼킴 능력의 향상과 함께 성대 진동의 주기성의 안정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향후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에 따른 음성 변화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후두내시경이나 신경근육 검사 등을 포함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 대상자는 연구기간 동안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가 끝나고 음성분석을 실시하기 전까지 어떠한 재활치료도 받지 않았다. 이는 다른 재활치료로 인한 대상자의 피로가 음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통제하고, 동일한 시간대에 음성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음성의 가변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였다. 마이크는 Shure사의 PG48-LC를 사용하였고, 동일한 측정을 위해서 마이크와 입술 간의 거리는 5cm의 거리를 유지하였다.
  • 경부전기자극치료의 이론적 근거가 반복된 훈련을 통해서 손상된 기능을 주변에서 재구성 또는 재배치하는 신경가소성의 원리에 있기 때문에[14], 일회적인 자극에 의한 반응만으로는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에 따른 음성의 변화를 확인하는데 제한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음향음성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반복된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가 음성의 강도, 음도, 음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킴장애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삼킴장애(dysphagia)는 음식을 입에서부터 위장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으로 정의되며,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서 빈번하게 발견된다[1]. 뇌졸중 후 삼킴장애의 발생비율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경우 37%에서 45%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2-5], 초기 급성기 뇌졸중의 환자의 경우 음식물이 기도를 통과하는 흡인(aspiration)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재활 치료가 필요하다[4].
뇌졸중 후 삼킴장애의 발생비율은 어떠한가? 삼킴장애(dysphagia)는 음식을 입에서부터 위장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으로 정의되며,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서 빈번하게 발견된다[1]. 뇌졸중 후 삼킴장애의 발생비율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경우 37%에서 45%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2-5], 초기 급성기 뇌졸중의 환자의 경우 음식물이 기도를 통과하는 흡인(aspiration)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재활 치료가 필요하다[4]. 뇌졸중으로 인한 구강인두 삼킴장애 환자를 위한 치료법은 전통적으로 자세변화, 음식의 양과 속도변화, 음식의 농도나 점도 변화 등의 보상적 치료기 법과 온도-촉각자극법 등이 주로 시행되어 왔으며[1], 특정 삼킴 근육의 만성적인 기능장애가 원인일 경우에는 윤상인두근육 절단술(cricopharyngeal myotomy)등의 수술적 치료가 시행되기도 한다[6].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 이후 대상자의 음도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던 이유는?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 이후 대상자의 음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음도의 변화는 윤상갑상근(cricothyroid muscle)이 담당하는데, Vilkman 등[19]은 윤상갑상근의 경우 후두외부근육의 영향과는 무관하게 작용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가 후두 외부근육의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지라도 대상자의 음도 변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ogemann, J. A., "Evaluation and treatment of swallowing disorders", Texas: Pro-Ed. 1997. 

  2. Gordon, C., Hewer, R. L., & Wade, D. T., "Dysphagia in acute stroke", BMJ, Vol. 295, pp. 411-414, 1987. 

  3. Wade, D. T., & Hewer, R. L., "Motor loss and swallowing difficulty after stroke: frequency, recovery, and prognosis",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Vol. 76, pp. 50-54, 1987. 

  4. Kidd, D., Lawson, J., Nesbitt, R., & MacMahon, J., "Aspiration in acute stroke: A clinical study with videofluoroscopy", QJ Med, Vol. 86, pp. 825-829, 1993. 

  5. Odderson, I. R., Keaton, J. C., & McKenna, B. S., "Swallow management in patients on an acute stroke pathway: quality is cost effective", Arch Phys Med Rehabil, Vol. 76, pp. 1130-1133, 1995. 

  6. Buchholz, D. W., "Cricopharyngeal myotomy may be effective treatment for selected patients with neurogenic oropharyngeal dysphagia", Dysphagia. Vol. 10, No. 4, pp. 255-258, 1995. 

  7. Freed, M. L., Freed, L., Chatburn, R. L., & Christian, M., "Electrical stimulation for swallowing disorders caused by stroke", Respiratory Care, Vol. 46, No. 5, pp. 466-474, 2001. 

  8. Leelamanit, V., Limsakul, C., & Grater, A., "Synchronized electrical stimulation in treating pharyngeal dysphagia", Laryngoscope, Vol. 112, pp. 2204-2210, 2002. 

  9. Kiger, M., Brown, C. S., & Watkins, L., "Dysphagia management: an analysis of patient outcomes using VitalStim therapy compared to traditional swallow therapy", Dysphagia. Vol. 21, No. 4, pp. 243-253, 2006. 

  10. Shin, S. J., Park, J. M., Lee, D. U., Jung, M. E., YU, E. Y., & YU, M. K.,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neck muscles of patients with a swallowing disorder caused by a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7, No. 2, pp. 17-28, 2009. 

  11. Bu¨low, M., Speyer, R., Baijens, L., Woisard, V., & Ekberg, O.,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in stroke patients with oral and pharyngeal dysfunction", Dysphagia, Vol. 23, pp. 302-309, 2008. 

  12. Blumenfeld, L., Hahn, Y., Lepage, A., Leonard, R., & Belafsky, P. C.,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versus traditional dysphagia therapy: a nonconcurrent cohort study", Otolaryngol Head Neck Surg, Vol. 135, No. 5, pp. 754-757, 2006. 

  13. Humbert, I. A., Poletto, C. J., Saxon, K. G., Kearney, P. R., & Ludlow, C. L., "The effect of surface electrical stimulation on vocal fold position", Laryngoscope. Vol. 118, pp. 14-19. 2008. 

  14. Freed, M. L., & Wijting, Y., "Training manual for patient assessment and treatment using VitalStim electrical stimulation", TN: Chattanooga Group, 2003. 

  15. Fowler, L. P., Gorham-Rowan, M., & Hapner, E. R., "An exploratory study of voice change associated with healthy speakers after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o laryngeal muscles", Journal of Voice, E-pub 2010. 

  16. Fant, G., "Acoustic theory of speech production", The Hague: Mounton, 1968. 

  17. Zealear, D. L., Billante, C. R., Courey, M. S., Sant Anna, G. D., & Netterville, J. L., "Electrically stimulated glottal opening combined with adductor muscle botox blockade restores both ventilation and voice in a patient with bilateral laryngeal paralysis", Ann Otol Rhinol Laryngol, Vol. 111, pp. 500-506, 2002. 

  18. Bidus, K. A., Thomas, G. R., & Ludlow, C. L., "Effects of adductor muscle stimulation on speech in abductor spasmodic dysphonia", Laryngoscope, Vol. 110, pp. 1943-1949, 2000. 

  19. Vilkman, E., Sonninen, A., Hurme, P., & Korkko, P., "External laryngeal frame function in voice production revisited: a review", Journal of Voice. Vol. 10, 78-92, 1996. 

  20. Ferrand, C. T., "Speech Science: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ory and clinical practice(2nd ed)", MA: Allyn and Bacon, 2006. 

  21. Titze, I. R., "Principles of voice produ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94. 

  22. Kasuya, H., S. Ogawa., K. Mashima., & Ebihara., "Normalized noise energy as an acoustic measure to evaluate pathological voice", J Acoust Soc Amer, Vol. 80, pp. 1329-1334, 1986. 

  23. Lim, K. Y., Shin, M. S., An, J. B., & Jung, O. L.,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HNR and NNE",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Vol. 8, No. 3, pp. 235-241, 2001. 

  24. Pabon, J. P. H., & Plomp, R., "Automatic phonetogram recording supplemented with acoustical voice quality parameters", J Speech Hear Res, Vol. 31, pp. 710-722, 1988. 

  25. Rosenbek, J. C., Robbins, J., Roecker, E. V., Coyle, J. L., & Woods, J. L., "A Penetration-Aspiration Scale", Dysphagia, Vol. 11, pp. 93-98, 1996. 

  26. Park, J., & Kwon Y.,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 II.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28, No. 3, pp. 508-513, 1989. 

  27. Huang, D. Z., Engr, E., & Engr, S. B., "Vocal assessment user's manual, version 4.5", WA: Tigers DRS. Inc.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