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질 표면에 오염된 여러 병원성 세균에 대한 건열살균 및 살균소독제의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Dry-Heat Treatment and Chemical Sanitizer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Contaminated on the Surfaces of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9, 2009년, pp.1265 - 1270  

배영민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허성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과) ,  이선영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리기구 및 도구의 재질 표면에 오염된 병원성 세균은 외식 및 단체급식에서 교차 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들이 표면에 형성시킨 biofilm은 세척 및 살균소독 과정에서도 살아남아 식중독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 살균소독제와 $71^{\circ}C$ 건열 살균을 하였을 때 스테인리스 스틸과 폴리프로필렌에 오염된 5종류의 병원성 미생물(E. coli O157:H7, S. Typhimurium, P. aeruginosa, L. monocytogenes, S. aureus)의 부착세포와 biofilm에 대한 저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로 염소계와 $71^{\circ}C$ 건열처리는 모두 유의적인 저해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알코올계살균소독제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폴리프로필렌에서 각각 3.4$\sim$6.4 log, 5.5$\sim$7.4 log CFU/coupon 수준의 감소를 보여 강한 살균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살균소독제 처리는 단체급식소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소독방법이지만, 살균소독제 종류에 따라서 살균 효과 차이가 크고, 미생물의 오염되어 있는 물질 및 오염 방법 등 처리 조건의 차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살균 소독을 위해 보다 다양한 조건과 처리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thogens contaminated on the surface of utensils could contribute to the occurrence of outbreaks due to cross-contamination to foods during the food preparation process. Therefore, the efficacy of chemical sanitizers (chlorine-based and alcohol-based commercial sanitizers) and dry-heat ($7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단체급식소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살균소독 방법인 건열소독방법과 화학소독 방법인 살균소독제(알코올계, 염소계)를 선택하고, 기존의 살균소독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리 도구 등의 재질로 많이 상용되고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폴리프로필렌에 오염된 주요 병원성 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P seudomonas aeruginosa, S. Typhimurium)에 대한 저해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 조리기구 및 도구의 재질 표면에 오염된 병원성 세균은 외식 및 단체급식에서 교차 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들이 표면에 형성시킨 biofilm은 세척 및 살균소독 과정에서도 살아남아 식중독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 살균소독제와 71℃ 건열 살균을 하였을 때 스테인리스 스틸과 폴리프로필렌에 오염된 5종류의 병원성 미생물(E. coli O157:H7, S. Typhimurium, P . aeruginosa, L. monocytogenes, S. aureus)의 부착세포와 biofilm에 대한 저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로 염소계와 71℃ 건열처리는 모두 유의적인 저해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폴리프로필렌 표면에 오염된 다섯 가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건열살균 및 살균 소독제의 저해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각각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살균 효과를 두 가지 다른 종류의 오염 형태(부착세 포와 bioflim)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2)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 different (p<0.05).
  • 3)Detection limit=2.48 log10 CFU/coup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형 급식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는 교차 오염을 야기하는 것은? 식중독은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된 식품 원료를 사용하거나 조리 또는 제조 과정 중 적절한 살균 과정이 누락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생산, 보관, 저장 등 취급시 작업자나 기계․기구로부터 교차 오염을 통하여 발생할 수 있다(3). 그 중 손, 스펀지, 행주, 조리기구 등에 의한 교차 오염도 식중독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4-6). 이러한 교차 오염은 대규모 식품가공 및 생산 과정 중에 일어나는 대형 급식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식중독의 발생 원인은? 식중독은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된 식품 원료를 사용하거나 조리 또는 제조 과정 중 적절한 살균 과정이 누락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생산, 보관, 저장 등 취급시 작업자나 기계․기구로부터 교차 오염을 통하여 발생할 수 있다(3). 그 중 손, 스펀지, 행주, 조리기구 등에 의한 교차 오염도 식중독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4-6).
국내에서 유통되어 사용되는 살균 소독제의 주요원료 성분은?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어 사용되고 있는 살균 소독제의 주요원료 성분은 sodium hypochlorite, sodium dichloro isocyanurate, peracetic acid, quaternary ammonium cation, alcohol, ammonium bicarbonate, peroxyacetic acid, idophor 등이 있으며(7) 이러한 유통 중인 살균 소독제는 크게 그 주요 성분에 의하여 염소계열, 4급 암모늄계열, 알코올계열, 과산화수소계열, 요오드계열 등으로 분류된다(12). 현재 단체 급식소에서는 기구 등의 소독을 위하여 열탕소독, 건열 소독, 화학소독을 사용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Park HO, Kim CM, Woo GJ, Park SH, Lee DH, Chang EJ, Park KH. 2001. Monitoring and trends analysi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occurred in recent years in Korea. J Fd Hyg Safety 16: 280-294 

  2.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http://www.kfda.go.kr/index.html 

  3. Mok CY, Lee NH. 2008. Distribution of ultraviolet intensity and UV leaking of commercial UV sterilizers used in restaur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28-223 

  4. Jiang XP, Doyle MP. 1999. Fate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s Enteritidis on currency. J Food Prot 62: 805-807 

  5. Kusumaningrum HD, Van Putten MM, Rombouts FM, Beumer RR. 2002. Effect of antibacterial dishwashing liquid on foodborne pathogens and competitive microorganisms in kitchen sponges. J Food Prot 65: 61-65 

  6. Scott E, Bloomfield SF. 1990. The survival and transfer of microbial-contamination via cloths, hands and utensils. J Appl Bacteriol 68: 271-278 

  7. Park HK, Park BK, Shin HW, Park DW, Kim YS, Cho YH, Lee KH, Kang KJ, Jeon DH, Park KH, Ha SD. 2005.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es used in domestic food processing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42-1047 

  8. Lee EJ, Park JH. 2008. Inactivation activity of bronze alloy yugi for reduction of cross-contamination of food-borne pathogen on food processing. J Fd Hyg Safety 23: 309-313 

  9. Sutherland I. 2001. Biofilm exopolysaccharides: a strong and sticky framework. Microbiol 147: 3-9 

  10. Nuria FV, Manuela HH, Mercedes MM, Jose Juan RJ. 2008. Effect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bacteria survival on stainless steel surfaces. Food Cont 19: 308-314 

  11. Park SG, Park S. 2004. Effect of sigma factor ${\sigma}^B$ on biofilm form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high osmotic and low temperature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56-460 

  12. Lee SY, Jung JH, Jin HH, Kim YH, Oh SW. 2007. Inhibitory effect of aerosolized commercial sanitizer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J Fd Hyg Safety 22: 235-242 

  13. Lee YS, Lee SH, Ryu K, Kim YS, Kim HI, Choi HC, Jeon DH, Lee YJ, Ha SD. 2007. Survey on practical use of sanitizers and disinfectiants on food utiensils in institutional foodservice. J Fd Hyg Safety 22: 338-345 

  14. Lee JH. 2007.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biofilms. Biochem Mol Biol News 9: 34-39 

  15. Branda SS, Vik S, Friedman L, Kolter R. 2005. Biofilms: the matrix revisited. Trends Microbiol 13: 20-26 

  16. 교육인적자원부. 2004. 학교급식 위생관리지침서 제2차 개정 

  17. Sharma M, Ryu JH, Beuchat LR. 2005.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biofilm on stainless steel by treatment with an alkaline cleaner and a bacteriophage. J Appl Microbiol 99: 449-459 

  18. Kim HI, Jeon DH, Yoon HJ, Choi HC, Eom MO, Sung JH, Park NY, Won SA, Kim NY, Lee YJ. 2008.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sanitizers on food contact surfaces using a surface test method. J Fd Hyg Safety 23: 291-296 

  19. Joseph B, Otta SK, Karunasager I, Karunasagar I. 2001. Biofilm formation by Salmonella spp. on food contract surfaces and their sensitivity to sanitizers. J Food Microbiol 64: 367-372 

  20. Kreske AC, Ryu JH, Pettigrew CA, Beuchat LR. 2006. Lethality of chlorine, chlorine dioxide, and a commercial produce sanitizer to Bacillus cereus and Pseudomonas in a liquid detergent, on stainless steel, and in biofilm. J Food Prot 69: 2621-2634 

  21. Kim YS, Jeon YS, Han JS. 2002. Inhibition effect of sanitizers against E. coli and hygienc condition on the surface of utensils and equipments used to food 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65-9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