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폭력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II) : 피해성향 아동을 대상으로
Application and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on of Elementary School Violence(II) : for Victimizer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1, 2009년, pp.149 - 164  

허승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학과) ,  최태진 (중부대학교 교직과) ,  박성미 (동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one of the authors of this study, Huh (2008), developed a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love, With friendship I, II" for bullies and victimizers of elementary school violence.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test program II, for victimizers.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to eleven scho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초등학교 폭력 피해성향을 지닌 아동을 대상으로 허승희(2008)의 프로그램Ⅱ를 적용함으로써 폭력 피해 성향 아동의 심리적 취약성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는 통계적 유의미성 검증 결과 보완의 목적으로 실험처치의 실용적 유의미성(Gall & Borg, 1999)을 살펴보기 위하여 효과의 크기 검증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다음으로 본 프로그램의 운영에서 발견된 몇 가지 특기사항들을 토대로 향후 초등학교 피해 성향 아동을 위한 예방 프로그램의 실행에서 유념하여야 할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부분적으로 프로그램의 운영상에서 관찰할 수 있었던 본 프로그램의 한계와도 관계되는 것이며, 또한 학교현장에서의 실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요구되는 개선사항일 수도 있다.
  • 심리적 취약성의 개선 여부는 허승희(2008)의 연구에서 폭력 피해 성향자의 심리적 특성으로 제시한 불안, 낮은 자아존중감, 친사회성 그리고 갈등해결방식의 긍정적 변화 여부로 효과를 살펴볼 것이다. 둘째,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탐색함으로써 보다 현장적용성을 갖춘 프로그램으로 개선하기 위한 보완점을 찾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위한 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효과검증 결과에서 나타난 의미를 찾아보는 한편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몇 가지 특기 사항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장면에서 운영을 위한 개선점과 유의할 점을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일련의 활동들을 훈습하는 단계가 갈등인식 및 문제해결 영역이다. 앞서 행한 자기/타인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이 처한 학교폭력 피해상황을 적절하게 탐색하고 공감과 자기 주장적 방법으로 갈등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프로그램의 종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초등학교 폭력 피해성향을 지닌 아동을 대상으로 허승희(2008)의 프로그램Ⅱ를 적용함으로써 폭력 피해 성향 아동의 심리적 취약성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취약성의 개선 여부는 허승희(2008)의 연구에서 폭력 피해 성향자의 심리적 특성으로 제시한 불안, 낮은 자아존중감, 친사회성 그리고 갈등해결방식의 긍정적 변화 여부로 효과를 살펴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교적 심각성이 낮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예방지향적 개입모형의 마련은 무엇보다도 선결과제로 생각되는 이유는? 따라서 비교적 심각성이 낮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예방지향적 개입모형의 마련은 무엇보다도 선결과제로 생각된다. 이는 초등 아동들의 건강한 전인적 발달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교육적 조치이기 때문이다.
초등학생들을 위한 폭력 예방 프로 그램을 개발하여 적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본 연구의 의의는? 몇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폭력예방과 관련하여 나름대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째, 학교현장에서 담임교사나 상담교사의 주도하에 실행가능한 형태로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는 점, 둘째, 집단상담의 형태를 지님으로써 참여 아동간의 보다 역동적인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는 점, 셋째 여타 프로그램과는 달리 2차 예방의 관점에서 구성된 프로그램이었다는 점 등이다.
외국의 경우 어떠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해오고 있는가? 외국의 경우 이와 같은 문제의식하에 PATHS (Promoting Alternative Thinking Strategies), SSVPC (Second Step Violence Prevention Curriculum), RCCP(Resolving Conflict Creatively Program) 등 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 해오고 있다(Larson, 1994; Leff, Power, Manz, Costigan, & Nabors, 2001 참조). 물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폭력과 관련된 개인심리적 특성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몇 가지의 프로그램(김 순옥, 2001; 서미화, 2002; 전정옥, 2003)을 찾아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선애(1999). 초등학생의 학교주변 폭력 피해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8(3), 437-452. 

  2. 김선애(2003).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실태와 경향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2(3), 321-336. 

  3. 김순옥(2001). 초등학생의 교우 관계 향상을 위한 분노 조절 프로그램 개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종미(1997a). 초등학교에서 발생하는 학교폭력의 성격과 유발요인. 한국심리학회 : 발달, 10(2), 17-33. 

  5. 김종미(1997b). 초등학교 학교 폭력 실태 분석. 초등교육연구, 11, 71-89. 

  6. 김준호.김선미(2003). 학교폭력 실태에 대한 종단적 연구(2001-2002년). 한국청소년연구, 38, 5-47. 

  7. 문화관광부(2001). 청소년백서. 

  8. 문용린.김준호.임영식.곽금주.최지영.박병식.박효정.이규미.임재연.정규원.김충식.이정희.신순갑.진태원.장헌우.박종효.장맹배.강주현.이유미.이주연.박명진((2008). 학교폭력 예방과 상담. 서울 : 학지사. 

  9. 배선영(2000). 아동의 친구관계 질과 갈등해결전략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서미화(2002). 아동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서울대발달심리연구실(2006). 시우보우 프로그램. http://down.edunet4u.net/ KEDTLC/school/elem/index.htm. 

  12. 신성웅.권석우.신민섭.조수철(2000). 학교폭력피해자의 정신병 실태 조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1(1), 124-143. 

  13. 신종순(1991). 고등학생의 문제행동과 자아존중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선화(1998). 시설 아동을 위한 음악 활동 중심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정명실(2003). 아동의 공감수준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조유진(2006). 집단괴롭힘 목격과 피해 경험의 가해화 경로에 대한 중재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청소년폭력예방재단(2002) 내가 바로 지킴이. 청소년 폭력예방재단. 

  18. 최진숙.조수철(1990). 소아불안의 측정, RCM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 신경정신의학, 29(3), 691-701. 

  19. 최태진.허승희.박성미.이희영(2006). 초등학교 폭력 양상 및 과정 분석. 상담학연구, 7(2), 613-632. 

  20. 한국교육개발원(2007).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1. 허승희(2008). 사랑으로, 우정으로-초등학생용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 초등학교 폭력의 노출 수준에 따른 예방프로그램 시스템 구축. 서울 : 한국학술진흥재단. 2006년도 기초연구과제지원 연구 결과보고서. 

  22. 허승희.이희영.최태진.박성미(2007). 초등학교 폭력 유형별 가해 및 피해자의 가해.피해 이유에 대한 지각 분석. 아동교육, 16(1), 259-280. 

  23. 허승희.최태진(2008). 초등학교 폭력예방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I) : 가해성향 아동을 대상으로. 초등교육연구, 21(3), 175-197. 

  24. 황희숙.엄지영(2001). 초등학교 학교 폭력의 실태 분석과 대책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13(1), 63-86. 

  25. Egan, S. K., & Perry, D. G. (1998). Does low selfregard invite victimiz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4(2), 299-309. 

  26. Fraser, M. W. (1996). Aggressive behavior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 an ecological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youth violence. Social Work, 41(4), 347-361. 

  27. Frey, K.S., Hirschstein, M. K., & Guzzo, B. A. (200). Second Step : Preventing Aggression by Promoting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8, 102-112. 

  28. Gall, J. P., & Borg, W. R. (1999). Applying Educational Research(5th). New York: Allyn & Bacon. 

  29. Golly, A. M., Stiller, B., & Walker, H. M. (1998). First Step to Success : Replication and Social Validation of and Early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6, 243-250. 

  30. Greenberg, M. T., & Kusche, C. A. (1996). The PATHS project: Preventive intervention for children. Final Report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Grant Number R01MH4213). 

  31. Hapasalo, J., & Tremblay, R. E. (1994). Physically aggressive boys from age 6 to 12 : Family background, parenting behavior, and prediction of delinquenc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 1044-1052. 

  32. Joo, E. & Han, B. (2000). An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classroom alienated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1), 123-128. 

  33. Kusche, C. A., & Greenberg, M. T. (1995). The PATHS curriculum. Seattle : Developmental Research and Program. 

  34. Larson J. (1994). Violence prevention in the school : A review of selected programs and procedures. School Psychology Review, 23(2) 151-165. 

  35. Lawson, D. (1994). Helping children cope with bullying. London : Sheldon Press. 

  36. Leff, S.S., Power, T., Manz, P.H., Costigan, T. E., & Nabors, L. A. (2001). School-based Aggression Preven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for Violence Prevention. School Psychology Review, 30(3) 344-362. 

  37. Lipsey, M. W., & Wilson, D. B. (2001). Practical meta-analysis. Thousand Oaks, CA : Sage. 

  38. Loeber, R., Tremblay, R. E., Gagnon, C., & Charelebois, P. (1989). Continuity and desistance in disruptive boys' early fighting in school.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I, 39-50. 

  39. O'Moore, A. M., & Hillery, B. (1991). What do teachers need to know? In M. Elliott(Ed.), Bullying : A practical guide to coping for schools(pp.56-59). Harlow : Longman. 

  40. Olweus, D. (1978). Aggression in the schools : Bullies and whipping boys. London : Hemisphere. 

  41. Olweus, D. (1979). Stability of aggressive reaction patterns in male : A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86, 852-857. 

  42. Reynolds, C. R. &Richmond, B. O. (1978). What I Think and Feel : A revised measure of children's manifest anxiet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6, 271-280. 

  43.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N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44. Sharp, D., & Smith, P. K. (1994). Tackling blillying in your school. London and New York : Routledge. 

  45. Stephenson, P., & Smith, D. (1989). Bullying in the junior school, IN D. P. Tattum and D. A. Lane (Eds.), Bullying in schools(pp.7-8). Boston : Trentham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