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시지각 발달과 읽기 : 수.방향.형태항상성 지각이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choolers' Visual Perception on Reading Words in Hangul : Application of the Test of Visual Perception for Reading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2, 2009년, pp.161 - 177  

최나야 (가톨릭대학교 아동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visual perception and reading Hangul words, the 287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evelopmental change in visual perception between three to five years of age.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computer-based screening Test of Visual Perception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요약하면, 연령, 읽기 과제의 유형, 시지각 측정방식, 문자 체계의 특성 등에 따라 시지각과 읽기와의 관계는 다를 수 있다. 가획과 방향성을 자질로 가지며 기하학적인 한글을 읽기 위해서는 시지각이 중요한 변수일 것이라는 가설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한글의 자질을 반영한 검사를 이용해 만 3-5세 유아들의 시지각을 측정하고 읽기 과제의 유형을 다양화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에 비해 시지각과 읽기 간의 관계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의 표준화 검사와 비교해 유아들의 한글 읽기 수준을 예측하는 데에 더욱 적합한 컴퓨터 기반의 간편화 시지각 검사를 고안하여 그 타당성을 살펴보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두 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에 제시하였다.
  • 마지막으로, 형태 항상성 지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인간은 형태를 지각할 때 놀라운 융통성을 발휘한다.
  • 연구 대상 유아들의 일반적 특성을 에 제시하였다.
  • 이 목록은 간단한 언어학적 조작에 따라 CV/CVC음절의 조합을 다양화하고 초·​​​​​​​중·​​​​​​​종성에 걸쳐 자음과 모음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 이상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의 결론을 내리고 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취학 전의 3년은 시지각 발달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지각이란 무엇인가? 시지각이란 시각적인 자극을 선행 경험과 관련지어 인식, 변별, 해석하는 과정이다. 시지각은 유아기에 급격히 발달하며(김정민·송수지, 2007a, 2007b; 김태련·이경숙·​​​​​​​염현경, 1995; 여광응, 1994; Martelli 등, 2002), 이후 교과학습의 기초가 된다.
자모를 읽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이 이루어져야 하는가? 유아들이 문자 학습에 성공하려면 숙련된 시지각 기술이 요구된다. 자모는 시각 자극이므로 읽기를 위해서는 시각적 변별력, 시각적 기억력, 공간관계 이해력, 형태 항상성, 시각적 집단화 등의 기본적 시지각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권오식·​​​​​​​윤혜경, 1996; 여광응, 1989). 어린 유아들도 자모가 곡선, 수평선, 또는 수직선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지식을 습득하고 자모를 식별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병직(2006). 미술학습 능력 검사 도구로서 DTVP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0(1), 193-216. 

  2. 강은환 . 안성혜(2003). 시지각 발달 진단 프로그램의 멀티미디어 구현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003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94-95. 

  3. 권오식 . 윤혜경(1996). 4, 5세 아동의 읽기발달에 관한 연구. 아동 . 가족복지연구, 1, 1-26. 

  4. 김인경(1989). 유아의 공간개념과 읽기, 쓰기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정민 . 송수지(2007a). 성별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시지각 능력 차이. 유아교육연구, 27(6), 239-253. 

  6. 김정민 . 송수지(2007b). 시지각 기능 검사(TVPS-R)를 활용한 한국 아동의 시지각 발달 분석. 정서 . 행동장애연구, 23(4), 241-262. 

  7. 김태련 . 이경숙 . 염현경(1995). 한국아동의 VMI-3R 발달검사 규준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8(1), 12-21. 

  8. 김현자 . 조증열(2001). 학령전 아동에서 음운인식, 시각지각 및 한글 읽기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4(2), 15-28. 

  9. 문수백 . 여광응. 조용태(2003).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 서울 : 학지사. 

  10. 박순길(2006). 뇌성마비아의 시지각 능력과 언어학습 기능과의 관계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8(1), 145-163. 

  11. 여광응(1989). 시지각발달검사(DTVP) 실시요강.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12. 여광응(1994).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 이론과 실제.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13. 윤명희(1995). 유아 학습준비도검사의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3(5), 333-352. 

  14. 윤명희(2002). 웹 기반 유아 학습준비도검사 시스템의 구현. 교육평가연구, 15(1), 185-205. 

  15. 윤혜경 . 권오식 . 안신호(1995). 한글 터득에 관여하는 글자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논총. 14(22), 111-129. 

  16. 이익섭(1992). 국어표기법 연구.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7. 임혜숙(1996). 시지각 읽기장애와 음운 읽기장애의 관계에 관한 일 연구. 교육학연구, 34(1), 347-366. 

  18. 장유경 . 김숙현(2003). 유아의 한글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6(3), 87-101. 

  19. 최나야(2007). 자모 지식, 음운론적 인식 및 처리능력이 유아의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최나야(2007b). 한글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아의 지식이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151-168. 

  21. Adams, M. J. (1994). Beginning to read : Thinking anad learning about print. Cambridge, MA : MIT Press. 

  22. Case-Smith, J., Allen, A. S., & Pratt, P. N. (1996).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3rd ed. Missouri : Mosby. 

  23. Cestnick, L., & Coltheart, M.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processing and visual-processing deficits in developmental dyslexia. Cognition, 71, 231-255. 

  24. Cho, J., & McBride-Chang, C. (2005). Correlates of Korean Hangul acquisition among kindergarteners and second grades. Scientific Studies of Reading, 9(1), 3-16. 

  25. Flavell, J. H., Everett, B. A., Croft, K., & Flavell, E. R. (1981). Young children's knowledge about visual perception : Further evidence for the Level1-Level2 distin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7, 99-103. 

  26. Gabbard, C. (1992). Lifelong motor development. Cubuque, IA : Wm. C. Brown. 

  27. Hiebert, E. H. (1981). Developmental patterns and interrelationships of preschool children's print awareness, Reading Research Quarterly, 16, 236-260. 

  28. Kavale, K. A., & Forness, S. R. (2000). Auditory and visual perception processes and .reading ability : A quantitative reanalysis and historical reinterpretation.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23(4), 253-270. 

  29. Martelli, M., Saweja, G., Mishra, A., Chen, I., Fox. J., Majaj, N. J. (2002). How efficiency for identifying objects improves with age. Perception, ECVP Supplement. 인터넷 자료 : . 

  30. May, D. C., & Marozas, D. S. (1981). Visual perception and discrimination. In C. R. Reynolds & L. Mann(Eds.), Encyclopedia of special education (pp.1631-1632). NY : Wiley. 

  31. McClosky, M., & Rapp, B. (2000). A visually based developmental reading deficit.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43, 157-181. 

  32. McGee, L. M., & Richgels, D. J. (1989). "K is Kristen's" : Learning the alphabet from a child's perspectives. The Reading Teacher, 43(3), 216-225. 

  33. Pelli, D. G., Burns, C. W., Farell, B., & Moore-Page, D. C. (2006). Feature detection and letter identification. Vision Research, 46, 4646-4674. 

  34. Rayner, K., & Pollatsck, A. (1989). The psychology of reading.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35. Sampson, G. (1990). Writing system. 신상순 역(2000). 세계의 문자 체계. 서울 : 한국문화사. 

  36. Solso, R. L. (2001). Cognitive psychology(6th ed.). MA : Allyn & Bacon. 

  37. Taylor, I., & Taylor. M. (1995). Writing and literacy in Chinese, Korean, and Japanese. Amsterdam : Benjami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