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지각 훈련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시 지각 발달,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개별실험연구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Combined With Auditory Perception Training on Sensory Processing, Visual Perception and Atten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ingle-Subject Design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5 no.2, 2017년, pp.66 - 79  

박미영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임영명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김희 (건양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에게 청지각 훈련과 병행한 감각통합 치료를 시행하여 감각처리, 시지각 발달,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발달지연 및 의심소견을 보이는 아동 만 4~7세 아동 3명을 대상으로 2016년 11월부터 2017년 1월 까지 총 9주간 청지각 훈련과 감각통합치료를 병행하여 실시하고 평가 하였다.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1기간(A) 4회, 치료 1기간(B)15회, 기초선2 기간(A')4회로 총 23회기를 적용하였다. 시지각 능력은 기초선 A와 A'기간에 Korean Developmental Test Visual Perception-2(K-DTVP-2)를 통하여 측정하였고 감각처리능력은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로 평가하였다. 주의집중 행동의 유지시간은 기초선 기간에 중재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매 중재 후 10분간 마무리 활동시 소근육 과제를 제공하여 비디오로 촬영하였고 등간기록법(interval recording)의 전간기록법을 사용하여 30초 간격으로 주의집중 발생을 평가하였다. 결과 : 청지각 훈련과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기 전보다 후에 시지각 기능과 감각처리의 점수의 수치상 향상은 있었고, 주의집중에서는 A아동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B, C 아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청지각 훈련을 병행한 감각통합 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시지각 기능과 주의집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일부 발달지연 아동에게서 주의집중의 유의미한 증진이 있었고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향후 발달지연 아동에게 연구기간, 표준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적용한다면 명확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의집중 유도와 학습을 준비하기 위한 치료방법으로 청지각 훈련의 연구가 추가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combined with auditory treatment on the sensory processing, visual perception and atten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Methods : A combined treatment of auditory training and sensory integr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감각통합 중재와 치료적 듣기가 시공간 기술과 쓰기기능을 향상시킨다는 선행연구를 뒷받침 한다(Hall & Case, 2007).
  • 현재 국내의 연구에서도 발달장애 아동과 주의력 결핍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청지각 훈련을 제공했을 때 주의집중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연구가 시작되고 있으나(Choi, 2013; Jeon, 2009), 작업치료 분야에서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지각 훈련과 병행한 감각통합 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 시지각 발달 및 주의집중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 4~7세의 발달지연 아동에게 청지각 훈련과 감각통합 치료를 적용하여 감각처리, 주의집중능력과 시지각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주의집중 시간은 기초선과 중재기에 매회기 반복 측정을 하였고, 시지각 기능과 감각처리의 평가는 중재 전과 후에 실시하여 변화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발달지연이 있는 아동에게 청지각 훈련을 병행한 감각통합 치료를 적용하여 시지각 기능과 주의집중 행동 유지시간과 감각처리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4~7세의 학령전기 아동을 3명으로 실험기간은 2016년 11월에서 2017년 1월 까지였다.
  • 본 연구는 선정조건에 맞는 대상자를 모집한 다음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자세히 소개하였고 목적, 중재 방법, 일정, 개인정보의 보호 등을 충분히 설명하였다. 연구 내용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시지각과 감각처리 능력의 변화는 중재 전후의 점수 차이로 제시하였다. 주의집중은 기초선 A와 A'기간은 청지각 훈련과 감각통합을 적용하지 않고 매회기 주의집중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중재기 B는 매회기 청지각과 감각통합 중재 후 주의집중 시간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각통합 치료의 예시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현재 임상에서는 아동의 주의집중향상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감각통합 치료를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대뇌와 뇌줄기로부터, 청각, 시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 감각을 조절하는 중재방법이다(Hong, 2015). 주의력에 문제가 있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를 사용했을 때 주의력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며(Lin, Lee, Chang, & Hong, 2014), 자폐스펙트럼 아동에게 감각통합 중재를 한 후 전산화신경인지검사로 측정하였을 때 선택적 주의력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2010).
발달지연 아동은 어느 발달 영역에서 발달의 어려움이 나타나는가? 발달지연 아동들은 대근육, 소근육, 음성, 언어, 인지, 일상생활활동 등의 발달영역에서 두개 또는 그 이상으로 발달의 어려움이 나타나게 된다(Shevell et al., 2003).
36개월 이상의 발달지연 아동에게 나타나는 감각처리와 관련된 행동문제는? , 2003). 임상적으로 36개월 이상의 발달지연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과잉 행동, 위축, 주의집중 및 비전형적인 문제를 더 많이 보이고 (Lee, Jung, Jung, & Park, 2016), 특히 감각처리와 관련된 행동 문제로 산만함, 감각방어, 언어 발달 지연, 시공간 기술 등의 문제가 두드러진다(Kim, Shin, & Kim,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lduncin, N., Huffman, L. C., Feldman, H. M., & Loe, I. M. (2014). Executive function is associated with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aged children born preterm or full term. Early human development, 90(6), 299-306. 

  2. Ayres, A. J. (1979).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3. Bundy, A. C., & Murray. E. A. (2002).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2nd ed). Philadelphia: F.A. Davis. 

  4. Bundy, A. C., Lane, S. J., & Murray, E. A. (2002).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A. Davis. 

  5. Choi, J. S., Kang, D. H., & Kim, J. K. (2008).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ie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1), 33-43. 

  6. Choi, S. H. (2013). The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and sound-based intervention on attention in developmental disability. Doctoral dissertation, Seonam University, Namwon. 

  7. Christiansen, C. (1991).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life performance. Occupational therapy: Overcoming human performance deficits, 3-44. 

  8. Cruz, A. C. A., Andrade, A. N. D., & Gil, D. (2013). Effectiveness of formal auditory training in adults with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Revista CEFAC, 15(6), 1427-1434. 

  9. DeShazo Barry, T., Klinger, L. G., Lyman, R. D., Bush, D., & Hawkins, L. (2001). Visual selective attention versus sustained attention in boy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4(4), 193-202. 

  10. Frick, S. M., & Hacker, C. (2001). Listening with the whole body. Madison, WI: Vital Links. 

  11. Gee, B. M., Thompson, K., & St John, H. (2014). Efficacy of a Sound­based intervention with a child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auditory sensory Over­responsivity.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21(1), 12-20. 

  12. Gee, B., Thompson, K., Pierce, A., Toupin, M., & Holst, J. (2015). The effectiveness of auditory stimul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 case -contro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apy and Rehabilitation, 22(1), 35-46. 

  13. Hall, L., & Case-Smith, J. (2007). The effect of sound-based intervention on children with sensory processing disorders and visual-motor delay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2), 209-215. 

  14. Hwang, J. H., Kim, H. J., & Jung, H. R. (2017).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cused on proprioceptive-vestibular stimuli on the handwriting and fine motor function in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15(1), 10-20. 

  15. Hooks, K., Milich, R., & Pugzles Lorch, E. (1994). Sustained and selective attention in boy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3(1), 69-77. 

  16. Hong, E. K. (2009).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postural control and visualmotor integration. The Research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8, 77-99. 

  17. Hong, E. K. (2015). Correlation between sensory modulation and arousal: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13(2), 75-84. 

  18. Jeon, H. Y. (2009). Effects of visual and auditory physical activities on attention behaviors of children with ADHD. Kwang woon University, Seoul. 

  19. Jeon, H. Y., & Yoon, S. A. (2011). Effects of visual and auditory physical activities on attention behaviors of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7(4), 307-328. 

  20. Kim, B. K., Park, S. H., Bang, H. S., Chun, S. H., Han, J. H., & Jeon, B. J. (2010).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the attention capabiliti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4), 113-125. 

  21. Kim, M. H., & Ji, S. Y. (2006). Sensory integration therapy in child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Case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4(1), 29-36. 

  22. Kim, K. M., Shin, H. H., & Kim, M. (2015).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 measure sensory processing of children,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13(2), 31-41. 

  23. Lee, K. S., Jung, B. N. R., Jung, S. J., & Park, J. A. (2016). Developmental patterns, childcare environment,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ged two to three years with developmental delay.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9(2), 63-85. 

  24. Lee, T. M., & Cheung, P. P.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perception and attention in Chinese with schizophrenia. Schizophrenia Research, 72(2), 185-193. 

  25. Lee, N. S., & Park, H. M. (2007). The influence of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ory training on stereotypic behavior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50(1), 89-114. 

  26. Lin, H. Y., Lee, P., Chang, W. D., Hong, F. Y.(2014). Effects of weighted vests on attention, impulse control, and on-task behavior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 149-158. http:// dx.doi.org/10.5014/ajot.2014.009365 

  27. Moller, A. R., & Rollins, P. R. (2002). The non-classical auditory pathways are involved in hearing in children but not in adults. Neuroscience Letters, 319(1), 41-44. 

  28. Miller, L., Coll, J., & Schoen, S. (2007).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 228-238. 

  29. Nourbakhsh, M. R., & Ottenbacher, K. J. (1994). The statistical analysis of single-subject data: A comparative examination. Physical therapy, 74(8), 768-776. 

  30. Nwora, A. J., & Gee, B. M. (2009). A case study of a five­year­old child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not otherwise specified using soundbased intervention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6(1), 25-43. 

  31. Parham, L. D., & Mailloux, Z. (2010). Sensory Integration. In J. Case-Smith & J. C. O'Brien (Eds.).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St. Louis, MO: Mosby. 

  32. Park, J. H., & Kim, I. S. (2011).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cused on proprioceptivevestibular stimuli on adaptive response of children with sensory defensiveness: Case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 9(2), 29-39. 

  33. Park, J. H., Lee, E. J., Noh, J. S., Lee, H. S., & Cha, J. J. (2010).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fter school on functional task performance in 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8(1), 27-40. 

  34. Pearson, D. A., Yaffee, L. S., Loveland, K. A., & Norton, A. M. (1995). Covert visual attention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vidence for developmental immatur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2), 351-367. 

  35. Ratner, F. L., Efimova, V. L., & Efimov, O. I. (2015). Integration of the in time technique in the neurodynamic rrogram of assistance to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8(8), 210-217. 

  36. Reeves, G. D. (2001). From neuron to behavior: Regulation, arousal, and attention as important substrates for the process of sensory integration. In S. S. Roley, E. I Blanche, & R. C. Schaaf (Ed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ensory integration with diverse populations (pp. 89-108). San Antonio. TX: Therapy Skill Builders. 

  37. Shevell, M. I., Ashwal, S., Donley, D., Flint, J., Gingold, M., Hirtz, D., et al. (2003). Practice parameter: Evaluation of the child with global developmental delay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nd the practice committee of the child neurology society. Neurology, 60(3), 367-380. 

  38. Warren, M. (2001). Evaluation and treatment of visual deficits. In H. M. Pendleton, & W. Schultz-Krohn (Ed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5th ed., pp.473-517), St. Louis, MO: Mosby. 

  39. Woldorff, M. G., Gallen, C. C., Hampson, S. A., Hillyard, S. A., Pantev, C., Sobel, D., & Bloom, F. E. (1993). Modulation of early sensory processing in human auditory cortex during auditory selective atten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0(18), 8722-8726. 

  40. Yalcinkaya, F., Muluk, N. B., & Sahin, S. (2009). Effects of listening ability on speaking, writing and reading skills of children who were suspected of auditory processing difficulty.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73(8), 1137-11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