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원 향토음식에 대한 관광객의 인지도 및 만족도
Tourist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Native Local Foods of Namwon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4 no.4, 2009년, pp.385 - 390  

김병숙 (전북과학대학 호텔조리영양계열) ,  김연주 (남원농업기술센터) ,  이영은 (원광대학교 식품영양학과.생활자원개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unique native local foods of Namwon an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reinvigoratethe tourist industry and local econom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native local foods of Namwon were surveyed in 483 tourists (246 men and 237 women 53% visiting Namwon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향토음식과 관련한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들이 조사 지역의 지역민을 대상으로 한 인지도(Lee & Choon 1990; Han & Song 2003; Choi 등 2004; Lee2006), 선호도 및 관광상품화 등에 관한 조사연구(Choi 등 2006)이며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여 향토음식을 발굴하고 관광자원으로써 개발하기 위한 시도(Yoo & Song 1995; Min2006)는 매우 드문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원을 찾은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남원 향토음식의 인지도 및 체험, 관광지에서의 음식 성향 및 만족도 등에 관한 사항을 설문 조사하여 남원만의 특색 있는 향토음식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관광의 도시 전라북도 남원을 찾은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남원 향토음식의 인지도 및 체험, 관광지에서의 음식 성향 및 만족도 등을 파악하여 향후 남원만의 특색 있는 향토음식을 개발하여 관광 활성화와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토음식의 특징은 무엇인가? 향토음식은 각 고장이 갖는 지형, 풍토, 기후 등의 자연적 요인들에 지배받는 특산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그 지방의 고유한 음식으로서 그 지역민들이 오랫동안 먹어왔고, 현재에도 먹고 있는 음식을 뜻한다(Lee & Choi 2004; Lee 등2005). 향토음식은 기후, 지리적 조건 및 그 고장이 겪어온 사회 환경이 작용하여 재료, 조리방법, 양식 및 규범 등의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면서 전수되어온 소중한 문화유산으로써 다른 고장의 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특성이나 맛과 모습을 지닌다(Yoon 1983; Yoon 1993). 이러한 향토음식은 교통교류도 적고 특수재료의 생산 한계성 때문에 광범위하게 퍼지지 못하고 생산지 사람에게만 이용되었으며 생산지에서만 오랫동안 만들어져 독특한 맛을 내어왔다.
향토음식이란 무엇인가? 향토음식은 각 고장이 갖는 지형, 풍토, 기후 등의 자연적 요인들에 지배받는 특산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그 지방의 고유한 음식으로서 그 지역민들이 오랫동안 먹어왔고, 현재에도 먹고 있는 음식을 뜻한다(Lee & Choi 2004; Lee 등2005). 향토음식은 기후, 지리적 조건 및 그 고장이 겪어온 사회 환경이 작용하여 재료, 조리방법, 양식 및 규범 등의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면서 전수되어온 소중한 문화유산으로써 다른 고장의 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특성이나 맛과 모습을 지닌다(Yoon 1983; Yoon 1993).
향토음식이 현재 처해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향토음식은 교통교류도 적고 특수재료의 생산 한계성 때문에 광범위하게 퍼지지 못하고 생산지 사람에게만 이용되었으며 생산지에서만 오랫동안 만들어져 독특한 맛을 내어왔다. 그러나 사회가 개방화·서구화 되면서 식품의 수입개방과 토양과 수질 등의 환경오염 등으로 음식의 맛은 변화되어 지역의 특징적인 음식문화가 퇴색되고 차별성이 없어져 그 지역의 독창적이고 경쟁력 있는 문화자원과 소득원이 소멸될 위기에 처해 있다(Yoon 198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남원시 농업기술센터. 남원시 전통향토음식 발굴 및 밥상개발. 2005 

  2. 한국조리과학회. 조리과학용어사전. 교문사. 2003 

  3. Choi SK, Ha MO, Lee YJ, Byun GI. 2006. A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the popularization and merchandising of local foods in the Ulsan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2(3):346-354 

  4. Chung HS. 2000. A study of traditional Korean food as cultural tourism product in gyeonggi area, Suncheon Cheong Am College paper Series No 24 

  5. Choi SK, Ha MO, Lee YJ, Park. 2004. A Verification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native cuisine. Korean J. Food Culture,19(3):285-294 

  6. Han KS, Song BC. 2003. A study on discover and perception of the native local foods in Wonju region. Korean J. Food Culture,18(4):365-378 

  7. Korea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A study of traditional cuisine as tourism resource, 1993 

  8. Lee SY, Choon SH. 1990. A study on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native foods in Cheju-Do,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5(3):317-330 

  9. Lee YJ, Choi SK. 2004.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for native foods in Gyeonju area. Korean J.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7(1):157-174 

  10. Lee YJ, Seo YJ, Joo HS, Choi SK. 2005.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or the menu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food of Japanese tourists. Korean J. Food Culture, 20(2): 283-291 

  11. Lee YL. 2006. Analysis of current use of local food of adults in Gyeongju classified by age. Korean J. Food Culture, 21(6):577-588 

  12. Lee YL. 2006. The impact of recognition for local food on the frequency of visiting for local food restaura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840-848 

  13. Min KH. 2006. Menu evaluation for native foods in Jeonju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2(1):96-104 

  14. Oh HS. 1998. A study on cooking characteristics of Cheju's local food. Culinary Research, 5(1):131-147 

  15. Yoon SS. Traditional life in Korea, Suhak Publishing Co, 34-35, 1983 

  16. Yoon SS. 한국 식생활의 통사적 고찰. Korean J. Food Culture, 8(2):212, 1993 

  17. Yoo US and Song TH. 1995. A study of the conciousness on the Korean folk foods. Korean J. Soc. Food SCI., 11(2):145-1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