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육효능감, 직무효능감,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In-Home Child Care Helpers: Focusing on Child-Care Efficacy, Job 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2, 2016년, pp.71 - 78  

유하나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care efficacy, job 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on the job satisfaction of in-home child care helpers who are called Idolbomi. Methods: Participants for this survey were 153 in-home child care helpers who work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 개인적인 요인들인 건강증진 행위와 효능감의 관계를 탐색할 필요가 있어 시도되었으며, 궁극적으로 아이돌보미 직무만족을 향상시켜 아동 돌봄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보육효능감, 직무효능감,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아이돌봄 지원 사업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아이돌보미가 양적으로 증가하였고, 서비스 이용자도 꾸준히 증가하는 시점이다[1]. 양적인 확산과 더불어 아이돌보미의 보육의 질에 대한 측면을 고민해야 할 시점에, 아동 돌봄의 질적 유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어, 본 연구가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이돌봄 지원 사업이란? 2006년 정부주도의 아이돌봄 지원 사업이 시범운영 되 었고, 2007년부터는 본격적인 공공서비스가 제공되었다[1]. 아이돌봄 지원 사업이란 부모의 다양한 자녀 양육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정 내 개별 돌봄 서비스의 활성화를 통해 취업 부모들의 양육부담 경감 및 개별 양육을 희망하는 수요에 탄력적 대응, 경력단절 중장년 여성의 고용증진, 취약계층의 육아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한 여성가족부의 사업으로, 이 사업에서 양성된 양육전문 돌보미를 ‘아이돌보미’ 라고 칭하며, 이들은 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3개월-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가정에 파견되어 부모의 돌봄 공백시간 동안 아동의 개별 보육을 담당하게 된다[1].
아이돌보미의 역할은? 어린 아동의 경우 스스로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적절한 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부모나 주된 양육자에게 의존적이며 그들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사실이다. 아이돌보미는 아이들의 신체적 발육과 건강한 정서발달 지원 등 제 2의 부모 역할 및 아동을 안전하게 보살피고 교육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므로[1], 아동의 성장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에게는 아동 양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 자원이 될 것이다. 따라서 양육전문 돌보미로 활동하는 아이돌보미가 아동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아동간호사는 관심을 가져야 한다.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주는가? 아이돌보미의 양적 확산뿐만 아니라 가정 보육의 질적인 측면을 보장하기 위하여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 최근 연구에서 아이돌보미의 보수와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3], 아이돌보미의 직무 불안정성과 여가시간의 부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4].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의 요인으로 보수나 직무 불안정성과 같은 제도적인 부분에서의 미흡함은 점차 보완될 것으로 생각되지만, 직무만족에 개인적인 요소로서의 아이돌보미의 건강지각 및 건강관리 행위, 자기효능감 등은 거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탐구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Outline of child care service in 2015.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5. 1-220. 

  2. Kil KS, No S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4;42(11):123-136. 

  3. Hwang HS, Yun MJ.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helpers in Seoul Cit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12;50(4):63-71. http://dx.doi.org/10.6115/khea.2012.50.4.063 

  4. Jung SH, Kim JH.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service provider'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2013;14(2):275-304. 

  5. Bandura A.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986;4(3):359-373. http://dx.doi.org/10.1521/jscp.1986.4.3.359 

  6. Judge TA, Bono JE. Relationship of core self-evaluations traits-self-esteem, generalized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emotional stability-with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 meta 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1;86(1):80-92. http://dx.doi.org/10.1037/0021-9010.86.1.80 

  7. Kang JW, Kwon JA. The study of efficacy on in-home child caregivers. The Research of Child Education and Care. 2012;8(2):61-76. 

  8. Kang GS, Kim JH.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4;23(3):123-133. http://dx.doi.org/10.5807/kjohn.2014.23.3.123 

  9. Cha KJ, Song MR.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working in college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3;20(3):259-268.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3.259 

  10. Kim HJ.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belief and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06;15(1):45-53. 

  11. Kang RH. A study of the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006;25(1):71-88. 

  12.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Internet].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1995 [cited 2014 April 3]. Available from: http://www.brandeis.edu/roybal/docs/Health-Promoting%20Lifestyle%20Profile%20II%20_website_PDF.pdf. 

  13. Stuifbergen AK, Becker HA.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94;17(1):3-13. http://dx.doi.org/10.1002/nur.4770170103 

  14. Gottlieb NH, Green LW. Life events, social network, lifestyle, and health: an analysis of the 1979 national survey of personal health practices and consequences.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84;11(1):91-105. 

  15. Cho YS, Park J, Ryu SY, Kang MG, Min S, Kim HS et al.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health promotion life style on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ospitals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2;26(1):5-15. http://dx.doi.org/jkphn.2012.26.1.005 

  16. Seo HM, Hah YS.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Applicat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7):1288-1297. 

  17. Park HJ, Jung HS, Lee JH. Effects of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teach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9;22(2):183-191. 

  18. Lee CH, Koh 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job satisfaction, efficacy,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9;16(2):49-70. 

  19. Jeong NO. Influence of parents' parenting 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arly childhood.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9;15(2):236-244. http://dx.doi.org/10.4094/jkachn.2009.15.2.236 

  20. Lee SM, Kim SM. A basic study on public nanny servic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strategi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11;49(4):51-65. 

  21. Byun MH, Kang KJ, Chung HJ. Evaluation the childcarer (IDOLBOMI) demonstration service and policy direction.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2007;11(2):67-83. 

  22. Lee YR, Park SN, Chu MS. Impa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provid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4;21(1):26-35. 

  23. Lee YR, Chu MS, Park SN, Kim HI, Choi HS. Effects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on perception of health behavior,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in child care help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4;28(1):138-148.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1.138 

  24.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25. Hyun JH. The effects of practice on student teachers' perceived efficacy for child care and teaching.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3;24(6):117-131. 

  26. Kim H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occupational stress,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officeworking mother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2011. p. 1-66. 

  27. Bae HJ. A study o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8. p. 1-86. 

  28. Lee EH, So AY, Lee KS. Comparison of health locus of control, depression, wellbeing,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in middle aged Korean and Korean-American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2):157-165.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2.157 

  29. Jang HS, Kim YH, Suh YS, Kim HS, Moon MH, Ok RS. A correlational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self-efficacy, family function and menopausal symptoms of climacteric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0;6(4):606-618. 

  30. Ahn HJ.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people who provide childcare [master's thesis]. Jeollanamdo: Chodang University; 2014. p. 1-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