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몰로키아 분말 0.5, 1.0, 1.5%를 첨가한 소시지를 제조하여 $4^{\circ}C$에서 28일간 보관하면서 저장중의 품질 변화를 살펴보았다. 소시지의 pH의 경우 저장 28일에는 대조구보다 몰로키아 분말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pH가 더 높게 나타났다. 소시지의 색도는 몰로키아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a^*$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휘발성 염기태 질소의 함량 및 아질산이온 함량도 몰로키아 분말 첨가량이 많을 수록 낮은 값을 보였다. 특히 몰로키아 분말 1.5% 첨가한 소시지가 VBN 함량 및 아질산이온 함량이 가장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조직특성에서 몰로키아를 $0.5{\sim}1.0%$ 첨가한 소시지가 경도, 응집성, 점착성, 파쇄성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몰로키아를 0.5% 첨가한 소시지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유화형 소시지에 몰로키아 분말을 0.5% 첨가하면 저장성 및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소시지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orchorus olitorius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 type sausages during storage at $4^{\circ}C$ for 28 days was evaluated. Sausages were produced containing 0.5%, 1.0% and 1.5% C. olitorius powder. The pH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C. o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몰로키아 분말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한 다음, 냉장 저장하면서 제조한 소시지의 저장성, 기호성, 물성 등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여 몰로키아 첨가 육제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화형 소시지의 성분 규정은? 식육가공품 중에서 유화형 소시지는 수분의 함량이 70% 이하, 지방의 함량이 35% 이하로 규정하고 있어서 지방의 함량이 0~35%까지 다양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Korean Food Regulations 1997). 유화형 육제품의 경우 30% 정도의 지방을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많은 연구자들이 건강상의 위험을 이유로 지방, 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 섭취 함량을 줄일 것을 권고하고 있다(Park SY 등 2005).
몰로키아란? 한편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 L.)는 피나무과(Tiliaceae)에 속하는 녹황색 채소로 원산지는 이집트의 지중해 연안으로, 36.7% 단백질, 29.
몰로키아 분말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를 4℃에서 28일간 보관하면서 저장 중 품질 변화를 확인한 실험에서 pH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5%를 첨가한 소시지를 제조하여 4℃에서 28일간 보관하면서 저장중의 품질 변화를 살펴보았다. 소시지의 pH의 경우 저장 28일에는 대조구보다 몰로키아 분말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pH가 더 높게 나타났다. 소시지의 색도는 몰로키아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a*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zuma K, Nakayama M, Koshioka M, Ippoushi K, Yamaguchi Y, Kohata K, Yamauchi Y, Ito H, Higashio H. 1999. Phenolic antioxidant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10):3963-3966 

  2. Brewer MS, Mckeith F, Martin SE, Dallmier AW, Meyer J. 1991. Sodium lactate on shelf-life, sensor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resh pork sausage. J Food Sci 56(5):1177-1183 

  3. Chin KB, Kim WY, Kim KI. 2005.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flavor compound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w-fat comminute manufactured with grapefruit seed extrac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2):141-148 

  4. Choi SH, Kwon HC, An DJ, Park JR, Oh DH. 2003. Nitrate contents and storge properties of sausage added with green tea powd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4):299-308 

  5. Choi YS, Jeong JY, Choi JH, Han DJ, Kim HY, Lee MA, Kim HW, Paik HD, Kim CJ. 2008. Effects of dietary fiber from rice br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 type sausag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1):14-20 

  6. Cho SH, Seong PN, Park BY, Kim JH, Park EH, Ha KH, Lee JM, Kim DH. 2007. Non-meat ingredient, nutritional composition and labelling of domestic processed meat produ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2):179-184 

  7. Cofrades S, Guerra MA, Carballo J, Fernandes-Martin F, Colmenero FJ. 2000. Plasma protein and soy fiber content effect on bologna sausage properties as influenced by fat level. J Food Sci 65(2):281-287 

  8. Demeyer DI, Vanderkerckhove P. 1979. Compounds determining pH in dry sausage. Meat Sci 3(3):161-165 

  9. El-Mahdy AR, El-Sebaiy LA. 1984. Preliminary studies on the mucilage extracted from okara fruits, taro tubers, jew's mellow leaves and fenugreek seeds. Food Chem 14(4):237-249 

  10. Farag RS, El-Khwas HAM, Mohamed MS.1998. Distribution of carotenoids in some fresh and boiled foods. Adv Food Sci 20(1):1-6 

  11. J. M. Fernandez-Gines, J. Fernandez-Lopez, E. Sayas-Barbera, E. Sendra, J. A. Perez-Alvarez 2004. Lemon albedo as a new source of dietary fiber: Application to bologna sausages. Meat Sci 67(1):7-13 

  12. Han KH, Choi IS, Lee CH. 2006. The physicochemical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sausage added mugwort powd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3):356-361 

  13. Heo SK, Park KH, Yang M, Jeong KJ, Kim DH, Choi JS, Jin SK, Kim I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fat emulsified sausage containing tomatoe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3):297-305 

  14. Innami S, Tabata K, Shimizu J, Kusunoki K, Ishida H, Matsuguma M, Wada M, Sugiyama N, Kondo M. 1998. Dried green leaf powders of jew's mellow (Corchorus), persimmon (Disophyros kaki) and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ower hepatic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increase fecal bile acid excretion in rats fed a cholesterol-free diet. Plant Foods Human Nutr 52(1):55-65 

  15. Jung IC, kang SJ, Kim JK, Hyon JS, Kim MS, Moon YH. 2003. Effects of addition of perilla leaf powder and carcass grade on the quality palatability of pork saus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3):350-355 

  16. Kang IH, Lee HC, Chin KB. 2008.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and shelf-life effects of low-fat sausages manufactured with various levels of activated lactoferrin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4):408-414 

  17. Kim DS, Ahn BW, Yeum DM, Lee DW, Kim ST, Park YH. 1987.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Bull Korean Fish Soc 20(4):463-468 

  18. Kim IS, Jin SK, Park KH, Jeong KJ, Kim DH, Yang M, Chung Y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fat sausage containing curcumin extract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3):255-261 

  19. Kim SM, Cho YS, Sung SK, Lee IG, Lee SH, Kim DG. 2002. Developments of functional sausage using plant extracts from pine needle and green te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1):20-29 

  20. Kim SM, Cho YS, Yang TM, Lee SH, Kim DG, Sung K. 2000. Developments of functional sausage using extracts from Schizandra chinensi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0(4):272-281 

  21. Korean Food Regulations. 1997. Food standards and criterions: Meat products. Korean Food Industrial Association. pp. 225-229 

  22. Langlosis BE, Kemp JD. 1974. Microflora of fresh and drycured hams and affected by fresh ham storage. J Animal Sci 38(3):525-529 

  23. Lee JR, Jung JD, Hah YJ, Lee JD, jin SK, Lee CY, Sung NJ, Do CH. 2004a. Effects of addition of citron peel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J Anim Sci Technol (Kor.) 46(2):849-858 

  24. Lee JR, Jung JD, Hah YJ, Lee JW, Lee JI, Kim KS, Lee, JD. 2004b. Effects of addition of mugwort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 type sausage. J Anim Sci Technol (Kor.) 46(2):209-216 

  25. Lee JR, Jung JD, Lee JI, Song YM, Jin SK, Kim IS, Kim HY, Lee, JH. 2003. The effects of emulsion type sausage containing mulberry leaf and persimmom leaf powder on lipid oxidation, nitrate, VBN and fatty acid compositio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1):1-8 

  26. Lee MA, Han DJ, Choi JH, Choi YS, Kim HY, Jeong JY, Paik HD, Kim CJ. 2008. Effects of hot air dried kimchi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fat sausag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2):146-153 

  27. Lee SK, Kang SM, Kim YS, Kang CG. 2005. Quality comparison of emulsion-type sausages made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fed pork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2):210-217 

  28. Osbum WN, Keeton JT. 1994. Kongac flour gel as fat substitute un low-fat preriror pork sausage. J Food Sci 59(3):484-490 

  29. Oshodi AA. 1992. Comparison of protein, minerals and vitamin C contents of some dried leafy vegetables. Pak J Sci Ind Res 35(3):267-269 

  30. Park JG, Her JH, Li SY, Cho SH, Youn SK, Choi JS, Park SM, Ahn DH. 2005.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orage property and quality in the traditional seasoning beef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113-119 

  31. Park SY, Chin KB, Yoo SS. 2005. Flavor compound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w-fat functional sausages manufactured with chitosan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3):285-294 

  32. Pearson AM, Young RB. 1989. Muscle and meat biochemistry. Academic Press. NY. pp 457-460 

  33. Song HI, Moon GI, Moon YH, Jeong IC. 2000.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hamburger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0(1):72-78 

  34. Steenblock RL, Sebranek JG, Olson DG, Love JA. 2001. The effects of oat fiber on the properties of light bologna and fat free frankfurters. J Food Sci 66(9):1409-1415 

  35. Takasaka O. 1975. Measurement and freshness of meat products. Syokuhin Kougyou 18(4):105-1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